항목
-
신응희 申應熙장관, 황해도장관, 중추원 칙임관 대우 참의 등을 지냈다. 1928년 2월 12일 사망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가숙(家塾)에서 한학을 배웠다. 김옥균(金玉均)과 박영효(朴泳孝)의 권유로 1883년 5월 서재필(徐載弼), 서재창(徐載昌), 박응학(朴應學), 정행징(鄭行徵), 임은명(林殷明), 신중모(申重模), 윤영관(尹泳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59년(철종 10) 11월 5일
- 사망 :
- 1928년 2월 12일
- 경력 :
- 전라남도관찰사, 함경남도장관, 중추원 참의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갑신정변, 을미사변, 군대해산, 3·1운동
- 직업 :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평산(平山)
-
서재필 과연 진정한 독립운동가인가일본어를 배우고 돌아왔을 때에 조정의 촉망이 그에게 쏠렸다. 당시는 개화파가 한창 기세를 올리고 있었다. 그도 개화파의 한사람으로 김옥균, 서광범, 박영효, 홍영식 등과 어울려 개화사상에 깊이 빠져 있었다. 그들은 묵은 제도를 뜯어고치고 근대화를 이룩하려고 정열을 바쳤다. 곧 청년지식인 그룹의 한 사람으로...
- 출생 :
- 1864년
- 사망 :
- 1951년
-
-
-
박문국 博文局내용 박영효(朴泳孝)의 건의에 따라 같은 해 8월에 설치되었다.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직후 조선은 시대적 요구에 응하여 여러가지 부국책을 추진하였는데, 박문국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의 산하기관인 동문학(同文學)의 신문발행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명칭은 유길준(兪吉濬)이...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83년(고종 20) 8월
- 폐지일 :
- 1888년 7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위정척사운동과 갑신정변 甲申政變이 때문에 정부가 추진한 개화정책에 역행하는 걸림돌이 되었다. 위정척사운동과는 반대로 개화사상의 선각자인 박규수·유홍기 등의 지도를 받은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은 개항을 전후하여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여 개화파를 이루었다. 이들 가운데 김홍집, 김윤식은 민씨 정권과 결탁하여 점진적 개혁을 추진...
- 시대 :
- 19세기 후반
-
이주회 풍영(豊泳), 李周會고종 18)경 일본에 다녀온 적이 있다. 1895년 1월 영관(領官)으로 병정 600명을 지휘하여 일본군과 합동으로 순천의 동학군을 공격하였다. 이 공적으로 박영효(朴泳孝)가 추천하여 군부감독·경리국장·군부협판이 되고, 군부대신서리를 지냈다. 박영효가 역적혐의로 일본에 망명한 뒤 이 직위에서 물러났다. 민비시해를...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43년(헌종 9)
- 사망 :
- 1895년(고종 32)
- 경력 :
- 군부대신서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민비시해
- 직업 :
- 관료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김옥균 고균, 金玉均되었다. 그는 한두 해 전부터 개화통상론자이며 정계의 거물이던 박규수의 사랑방에 드나들면서 유대치(劉大致), 오경석(吳慶錫) 등의 지도를 받고,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홍영식(洪英植) 등과 교유하면서 개화 사상을 접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뜻이 맞는 인물들과 교류하면서 일종의 정치적 결사체를 조직...
- 출생 :
- 1851년
- 사망 :
- 1894년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을미사변 乙未事變고종을 포로로 삼고 반일의 핵심인 왕후 세력을 권력에서 밀어낸 뒤 일본이 요구하는 개혁안을 통과시켰다. 이후 1년 남짓 동안 일본은 김홍집(金弘集), 박영효(朴泳孝) 등으로 구성된 친일 내각을 조종하며, 두 차례의 갑오개혁을 통해 청나라 간섭 배제, 왕권 약화, 근대적 내각제도 확립 등의 개혁안 수백 건을 제정...
- 시대 :
- 189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