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혁로

다른 표기 언어 柳赫魯
요약 테이블
출생 1863(철종 14), 충남 아산
사망 1940
국적 일제강점기, 한국

요약 한말의 개화파이며 일제강점기의 관료·대지주.

이명은 혁로. 아버지는 하급무인이던 상오이다. 1882년(고종 19) 수신사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무과에 급제한 후 1884년 갑신정변 때 행동대원으로 참가하여 통신연락과 정찰을 맡았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후 일본으로 망명하여 유학생 기숙사인 친린의숙을 경영하면서 박영효와 김옥균의 신분보호를 맡았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 때 일본군과 함께 왕궁에 침입했다. 통감부 개설 후에 귀국하여 군무아문참의·육군부령·포공국장 등을 역임하고 1907년 평안북도관찰사가 되었다. 1910년 한일합병과 함께 경기도참여관이 되었으며, 1916년 충청북도지사, 1919년 전라북도지사를 역임했다. 1921년 중추원참의가 되어 1940년까지 여러 차례 중임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행정

행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유혁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