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의 마지막 구국 혼을 불태우다, 김홍집 도원(道園), 金弘集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큰 전쟁을 치르면서도 500년의 역사를 굳건히 유지했던 조선도 19세기 말 그 운명을 다했다. 조선은 정조의 죽음 이후 60년간 이어진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세도정치로 생긴 폐해가 극에 달해 있었다. 전국적으로 민란이 일어났고, 게다가 물밀듯이 밀려오는 외세의 압력까지 더해져 조선은 그...
    도서 재상열전 | 태그 한국사 , 조선
  • 김홍집 파란만장했던 정치가의 길
    난도들에게 맞아 죽다 1896년 한겨울인 2월 11일, 설날을 앞두고 장안은 온통 혼란의 도가니에 빠졌다. 친러파들이 고종을 러시아공사관으로 옮기고 새로이 친러정권을 수립한 것이다. 이범진(李範晉), 이완용(李完用)의 무리가 러시아공사관에서 고종을 싸고돌며 새로운 내각을 탄생시켰다. 묵은 내각, 곧 개화정권이라...
    출생 :
    1842년
    사망 :
    1896년
  • 김홍집 경능(景能), 金弘集
    김홍집은 개항기 당상경리사, 독판교섭통상사무, 좌의정 등을 역임한 관리이자 정치인이다. 1842년(헌종 8)에 태어나 1896년(고종 33)에 사망했다. 1867년 벼슬을 시작해 좌의정에까지 올랐다. 인천 개항 등의 현안문제를 타결하기 위해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왔고, 이때 가져온 『조선책략』은 개항기 개화정책에 많은 ...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김홍집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선 후기 온건개화파로 근대적 제도개혁에 힘쓴 정치가. 본관은 경주, 자는 경능, 호는 도원으로 1867년 급제한 이후 외교정책의 책임자로서 대외교섭을 담당했으며, 격동기 민심수습과 근대적 제도개혁에 힘썼다. 1894년 12월 군국기무처가 해체될 때까지 총리대신으로 제1차 갑오개혁을 주도하면서 과거제 폐지, 은본...
    출생 :
    1842(헌종 8)
    사망 :
    1896(고종 33)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경주(慶州)
    시호 :
    충헌(忠獻)
    자 :
    경능(敬能)
    호 :
    도원(道園)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홍집 Kim Hong-jip, 金弘集 (政治家)
    1842년~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김홍집, 한국민족문화대사전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우리역사...
    도서 위키백과
  • 김홍집 (1971년생 야구인)
    야구 선수 정보 김홍집 (金弘集, 1971년 1월 30일 ~ )은 KBO 리그 전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다. 인천고등학교 출신으로 단국대학교 시절 국가대표로 차출될 만큼 뛰어난 활약을 하였는데, 당시 구대성, 이상훈과 더불어 '좌완 빅3'로 불리었다. 좌완 투수면서 140 km 중반의 빠른 직구를 주무기로 투구하는 그는 대학...
    도서 위키백과
  • 김홍집 (음악가)
    음악가 정보 김홍집(1970년 ~ )은 음악 감독으로서 고려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였다. 그는 자우림과 황보령의 음반 프로듀싱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인디 음반 제작에서 시작하여, TV 드라마 주제곡, 영화 음악 감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활동을 펼쳐온 음악가로, 기존 영화음악의 관습적인 틀을 깨고 신선하고 감각적...
    도서 위키백과
  • 김홍집 (1969년생 야구인)
    야구 선수 정보 김홍집(1969년 9월 16일 ~ )은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의 포수이다. 토성중학교 경남고등학교 동아대학교 (1988학번)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김홍집 내각과 단발령
    명성왕후가 시해된 지 한 달 뒤인 1895년 11월, 일본은 친일 김홍집 내각을 앞세워 을미개혁의 하나로 단발령을 발표했다. 고종은 일본군이 왕궁을 포위한 가운데 개화파 대신들의 강요로 “신민에게 먼저 모범을 보인다.”라며 단발을 하게 되었다. 거리에서는 경찰이 길을 막고 강제로 사람들의 머리카락을 자르기도...
  • 수신사 修信使
    조언을 했다. 따라서 조선정부는 일본정부의 진의와 개화정책을 알아보기 위해 제2차 수신사를 일본에 파견할 것을 결정하고 1880년 5월 예조참의 김홍집을 수신사로 파견했다. 1차 수신사는 의례적인 일본방문이었던 데 비해, 2차 수신사는 강화도조약 이래 조선측의 외교 통상에 걸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김홍집 선생 묘
    문화재 정보 김홍집 선생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다. 1986년 6월 16일 고양시의 향토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조 말기의 초대 내각총리를 지낸 김홍집 선생의 묘소이다. 당대의 비석과 장명등 석물 등이 배치되어 있다. 김홍집
    도서 위키백과
  • 갑오개혁 甲午改革
    있던 조선 정부가 이를 내정간섭이라 하여 거절하자 일본군은 7월 23일 궁중에 난입하여 무력으로 민씨 일가를 타도하고 흥선 대원군을 다시 영입하는 한편, 김홍집(金弘集) 등 개화파 인사들로 신내각을 구성하게 하였다. 이어 7월 27일에는 내정개혁 추진기구로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었다. 여기에는 회의총재(會議總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3건

김홍집
김홍집
김홍집
김홍집
김홍집
김홍집
김홍집
김홍집(金弘集, 1842~1896년)
수신사
김홍집 사진
김홍집(金弘集)
김홍집(金弘集, 1842~1896)
이스라엘 잉어 양식 성공한 김홍집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