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속활자 金屬活字
    갑인자로 찍어낸 활자본 이후에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따라서 이 책은 조선 전기의 지방활자본으로 추정되므로 12세기 중엽 기원설을 뒷받침할 수 없다. 고려시대에 금속활자로 책을 인쇄한 사례는 13세기 전기에 나타나고 있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중조본(重彫本)의 권말에 있는 최이(崔怡)의...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고려 무신의 난 발생
    죽인 뒤 의종과 태자를 귀양 보내고 의종의 동생인 왕지단을 19대 임금(명종, 재위 1170년~1197년)으로 세웠다. 이로써 200여 년간 고려 사회를 지배해 온 문벌 귀족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향후 100년간 계속될 무신 정권의 시대가 열렸다. 무신의 난은 문신을 우대하고 무신을 천대하던 문벌 귀족 시대의 문제점이...
    시대 :
    1170년
    국가/대륙 :
    한국
  • 王, king
    한국 역사에서는 원시사회가 해체되고 계급분화가 일어나면서 소집단 내에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는 자가 등장해 정복과 복속을 통하여 각 집단들이 더 큰 정치체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국가가 성립되었다. 넓은 지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최고 지배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지위를 강화해갔다. 왕이라는 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사찰 절, 寺刹
    절을 한자로 사라 하고 가람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범어의 상가라마(Sangharama)를 한자로 음역한 것이다(→ 불교건축). 이는 중원 또는 정사라는 뜻으로 남자승려·여자승려·남자신도·여자신도와 같은 4중이 모여 사는 집이라는 뜻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불교 , 사찰
  • 대관 臺官
    역할을 담당했다. 대관제도는 중국의 진(秦)·한(漢) 때 확립되었는데, 통일신라의 사정부와 발해의 중정대(中正臺)는 대관이 속해 있는 감찰기관이었다. 고려의 대관은 어사대(후에 감찰사, 사헌부)의 관리로 문종 때의 직제에 의하면 판사·대부·지사·중승(中丞)·잡단(雜端) 각 1명, 시어사·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가사 소수의, 袈裟
    일반적으로 흑의(黑衣)를 입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의 법흥왕(法興王)이 입었다는 피방포(被方袍)가 기록에 보이는 가장 오래된 가사이다. 고려시대에는 위로는 금란가사(金爛袈裟)에서 아래로는 백저착의(白紵窄衣)까지 그 종류가 다양했다. 〈고려도경 高麗圖經〉에 실려 있는 승의제도(僧衣制度)에 의하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한국의 성씨
    원시사회부터 발생한 인류문화의 보편적 현상이다. 한국의 성씨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일찍부터 한자식이지만, 중국성씨가 보급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역사적·문화적 독자성과 결합되었으므로 한국 고유의 특수성이 있다. 한국의 성씨 한국의 성은 다른 나라와 같이 가족 전체를 표시하는 공동 호칭이 아니라 부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성씨
  • 기록문학 記錄文學
    문학 장르의 명칭은 아니다. 장르가 잡다하거나 분화되어 있지 않으며 사실성과 기록성을 중시한다. 기록문학도 문학인가, 기록문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논자에 따라, 시대와 문화권에 따라 유동적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당악 唐樂
    향악에 대칭하여 사용된 중국음악을 말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관인문학 官人文學
    사(士)요, 정치에 종사하면 대부(大夫)"라는 말의 합성어인 것처럼 이들은 문학적인 교양을 지닌 문인학자인 동시에 정치행정을 담당하는 관인이었다. 조선시대에는 관인의 정치행위와 문인의 문학행위가 분리되지 않아 관인이 곧 문인이고, 문인이 곧 관인이 되는 사회였다. 사대부들은 지방의 중소지주들로서 안정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가람배치 伽藍配置
    내용에 더욱 비중을 두어 구도(求道)의 길을 걷고자 한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이러한 양상을 보여주는 가람은 부석사·해인사·범어사·화엄사 등이다. 고려시대에는 풍수지리설의 영향으로 모든 가람은 자연지세와 어울리는 입지 및 배치를 한 산지가람배치가 주류를 이루게 되나, 불일사나 흥왕사 등과 같이 이전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과전법 科田法
    통제가 용이하지 않아 고려 말기처럼 공전이 침식되는 폐단이 있기 때문에 이를 막아보려는 의도도 내포되어 있었다. 군전은 외방에 거주하는 한량관리들에게 관...자손에게 상속이 허용되었으며 또한 면세의 혜택이 있었다. 전조의 수취는 공전·사전 모두 논은 조미 30두(斗), 밭은 잡곡 30두였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