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된다. ② 일조:일조량은 관개수(灌漑水)에 지장을 받지 않는 한 많을수록 수확량이 늘어난다. ③ 강우량:우천인 경우는 벼의 몸을 쇠약하게 하는 이외에 개화기에는 수정에, 성숙기에는 여뭄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강우량과 수확량의 관계는 기온의 경우만큼은 밀접하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관개수가 충분한 조건...
    분류 :
    벼과
    성격 :
    식물, 작물
    유형 :
    동식물
    학명 :
    Oryza sativa L.
    분야 :
    과학/식물
  • 영흥군 쌍성, 永興郡
    이다. 역사 [고대] 이 군에서 구석기시대 · 신석기시대의 유물 ·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영흥읍 영동리 · 용산리 · 소라리 등에서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 동모(銅鉾) · 동검 · 다뉴경(多紐鏡) 등이 발견되었으므로, 적어도 이 시기부터는 사람이 거주하였음이 확실하다. 이 군은 남옥저(南沃沮)에 속하여...
    시대 :
    근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고등학교 高等學校, High School
    이처럼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에는 다양한 명칭의 중등교육이 실시되었으나 전기 중등교육과 후기 중등교육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는 아니었다. 따라서 중학교, 고등학교,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 고등여학교 등 다양한 명칭의 중등교육 기관에서 3년 혹은 4년의 과정을 이수한 후 추가로 이수하는 예과나 고등과...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강화도 외규장각 145년 만의 귀향, 조선 왕실 의궤는 그날을 기억할까
    바다와 갯벌로 둘러싸인 천혜의 요새였다. 외침에 시달렸던 우리 선조들은 이 천혜의 요새에 마니산, 정족산(鼎足山) 사고(史庫)와 외규장각을 세웠다. 개화기 전야, 외규장각은 프랑스 군대에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그 후로 강화도는 더 이상 요새가 아니다. 치열한 역사의 현장 강화도는 신화가 숨 쉬는 곳이기도...
    건립시기 :
    1782년(정조 6년) 설치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 서울 한양도성
    쌓은 시기를 구분할 수 있어, 조선시대 성 쌓는 기술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600여 년간 조선왕조를 수호하던 한양도성은 개화기에 국력이 쇠퇴함에 따라 그 기능을 점차 상실해 갔으며,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에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사람들의 지혜와 합리성으로...
    시대 :
    조선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 산1-3외
    종류 :
    석성
  • 신문박물관 펜으로 세상을 바꾸는 기자가 될래요
    따라 전시된 각양각색의 신문을 보면서 각국의 당시 주요 사회 이슈가 어떤 것이었는지, 문화적 차이와 특성을 비교해볼 수 있는 코너다. 다음으로 신문의 역사를 차근차근 살펴볼 수 있다. 아이들에게는 조금 생소하고 어려운 내용이지만 개화기, 식민지시대, 독재정권기 등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시대에 따라 변해...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 동아일보사
  • 뉴잉글랜드 New England
    초기 몇십 년 동안에는 이 지역이 국가 관세제도와 연방당의 정책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19세기에 나타난 뉴잉글랜드의 문화적 특징으로는 문학적인 면에서 개화기에 있었다는 점과 절제, 노예제 폐지, 감옥과 정신병자 보호시설의 개선, 유년노동 중지 등의 개혁열의로 나타난 그들의 복음주의적인 깊은 헌신 등을 들...
    위치 :
    미국 북동부 대서양 연안 지역
    인구 :
    14,800,000명 (2022년 추계)
    면적 :
    186,458 ㎢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유서 類書
    나라의 역사적 사실(史實)과 제도 · 인물 · 풍속 등에 관한 방대한 변증내용이, 시문문에는 우리 나라와 중국의 시와 문장에 대한 논의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성호사설유선』은 안정복(安鼎福)이 『성호사설』의 내용에 첨삭을 가하여 요약, 개편한 것이다. 이 책의 분류체재는 『성호사설』의 문(門)을 편(篇)으로...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한글 맞춤법 맞춤법, 한글 맞춤法
    이라는 용어는 개화기에는 문자의 음절구성법을 뜻하는 것이었기에 ‘맞춤법’보다는 지극히 좁은 뜻으로 쓰였던 것이다. 한글맞춤법의 제정은 크게 다섯 단계로...에서 제시된 음소적 표기를 바탕으로 하여 형태음소적 표기 방향으로 부분적인 개정이 이어졌던 것이다. (1) 훈민정음단계 한글맞춤법의 역사는 한글...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두루마기
    만든 솜두루마기와 누비두루마기를 흔히 입었다. 두루마기는 매우 널리 입혀졌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하층민까지 보편화되었다. 그후 고종(高宗)대에 도포가 비활동적이라는 이유로 좀더 단순화된 두루마기가 평상시의 예복이 되었다. 개화기에 착용하기 시작한 두루마기는 이미 복제에 대한 신분상의 구분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구황식품 救荒食品, emergency food
    땃두릅뿌리·묏두릅뿌리·승엄초뿌리·신감채뿌리 등이다.이러한 식물의 채취시기는 식용 부위에 따라 달라 싹·잎·뿌리는 3월부터 5월 하순경이며 꽃은 개화기, 과실은 성숙기가 알맞다. 이러한 구황식품이 흉년 때만이 아닌 평상시에도 먹는 식품으로 전환되면서 식생활이 다양해졌다. 구황시에는 주로 나무껍질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맥주 麥酒, beer
    맥주병을 한아름 안고 찍은 사진이 남아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이 무렵부터 맥주가 극히 일부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일본의 경우는 개화기에 접어들면서 맥주가 알려졌고, 1874년에는 맥주공장도 세우게 되었다. 그러다가 이 땅에 일본의 세력이 밀려들어 옴에 따라 일본 맥주도 들어오게...
    시대 :
    현대
    성격 :
    음식, 술
    유형 :
    물품
    재질 :
    보리, 홉(hop)
    용도 :
    음료용
    분야 :
    생활/식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