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인민당 朝鮮人民黨임정봉대론을 주장하며 이에 대립하였다. 사상적으로 좌·우의 중도노선에 있던 여운형은 우익진영의 협력을 잃게되었고,공산주의자들은 같은 해 9월 11일 조선공산당을 결성하였다. 한편, 민족주의자들은 같은 달 16일, 한국민주당을 결성하였고, 10월 10일에는 아놀드(Arnold,A.V.) 미군정 장관이 조선인민공화국을...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이르쿠츠크 러시아 공산당 한족부조직하는 한편, 1920년 1월 22일 남만춘·조훈·윤협(尹協)·이재형(李載亨)·안화춘(安和春) 등이 모여 이르쿠츠크 러시아 공산당 산하에 한족부를 조직했다. 이르쿠츠크 러시아 공산당 한족부는 그해 7월 12일 이르쿠츠크에서 열린 소비에트 러시아 및 시베리아 조선공산주의단체 대표자대회에 참여하여, 이동휘(李東...
-
조선신문 朝鮮新聞개설 1936년 2월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에서 창간되어 1936년 9월 4일 폐간된 재일조선인 신문이다.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의 책임비서였던 김학의(金鶴儀, 이명 김천해), 이운수(李雲洙), 박태을(朴台乙) 등이 재일조선인 노동자의 문화 향상과 사회적·계급적·민족적 자각을 환기할 것을 목적으로 창간했다. 내용 재일...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 창작/발표시기 :
- 1935년(창간준비호), 1936년(창간), 1936년 9월 4일(폐간)
- 성격 :
- 신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약 4,000부(월1회 발행)
- 간행/발행 :
- 박태을, 이운수, 김학의(김천해)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민족통합을 이룬 6・10만세운동, 권오설 ・ 이선호 ・ 박래원 ・ 이동환 權五卨 ・ 李先鎬 ・ ..드러내는 꼴이 될 것이라는 자기모순에 빠지며, 결국 11명의 학생만 재판에 회부해 ‘사건’을 크게 축소시켰다. 6・10만세운동을 계획 ・ 추진했던 조선공산당과 천도교계열의 인사들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만세운동과 별개로 처리하는 편법을 동원했다. 융희황제 인산일에 울분과 감정을 이기지 못한 소수 학생들이...
- 출생 :
- 권오설 1897년, 경북 안동이선호 1904년, 경북 안동박래원 1902년, 서울이동환 1901년, 전북 정읍
- 사망 :
- 권오설 1930년이선호 1950년박래원 1982년이동환 1982년
- 포상훈격 :
- 권오설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선호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박래원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이동환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
조선독립동맹 朝鮮獨立同盟그대로 유지하면서 미·소분할 점령하의 국내정세를 관망하다가, 1946년 1월 15일 ‘조선동포에게 고함’이라는 입국 최초의 인사말을 발표하였다. 조선독립동맹은 공산당과의 경합관계를 조심스럽게 피하면서 북한지역에서 공식적인 정치활동을 벌였다. 그들은 되도록 정체를 드러내지 않고, 중국공산당의 신민주주의...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조선신민당 朝鮮新民黨우의에 기초하여 세계평화를 실현할 것을 밝혔다. 이는 모택동(毛澤東)의 ‘신민주주의(新民主主義)’를 당시의 북한 현실에 원용한 것이다. 따라서, 조선신민당은 공산당보다 덜 급진적이었으며, 노동자 · 농민보다는 소시민 · 지식층 · 중산층에 당의 기반을 두었다. 그러나 조선신민당은 독자적 활동을 제대로 해...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