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94년 > 특집 > 광복 50년 주요 사건ㆍ사고 > 1945~1950년 >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결성 45년 9월 11일 서울에서 박헌영(朴憲永)의 조선공산당이 결성됐는데 이의 평양지국 형식으로 북한의 여러 좌파는 10월 10일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을 형성하고 12월 17일 북조선 공산당(책임비서 김일성(金日成))으로 개칭했다.
  • [북한] 2005년 > 초점-조선노동당 60년 현재와 미래 그리고 과거 > 역사로부터의 이해 > 당명칭과 기념일 북조선공산당 중앙조직이 아니라 조선공산당 분국이었다는 것이다. 해방 직후 서울에 조선공산당이 재건되었고 아직 분단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1919년 코민테른 결정 1국1당주의 원칙 에 따라 평양에 별도의 공산주의 정당을 설립할 수 없었기 때문에 조선공산당 서북5도 책임자 및 열성자대회를 열어 조선공산당...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김상혁 > 경력 정치경제과 재학 중 재일본조선청년총동맹ㆍ조선인유학생 학우회ㆍ조선인사상단체 신성회ㆍ신흥과학연구회ㆍ재일본조선인단체협의회 등에서 활동 1927.5 조선공산당 일본부 입당 1927.11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책임비서, 12월 신간회 도쿄지회 서무부 간사 1929.8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검거사건을 피해 귀국 1930.6...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김상혁 정치경제과 재학 중 재일본조선청년총동맹ㆍ조선인유학생 학우회ㆍ조선인사상단체 신성회ㆍ신흥과학연구회ㆍ재일본조선인단체협의회 등에서 활동 1927.5 조선공산당 일본부 입당 1927.11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책임비서, 12월 신간회 도쿄지회 서무부 간사 1929.8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검거사건을 피해 귀국 1930.6...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강문석 > 경력 로 건너가 중국공산당에 입당, 장쑤성(江蘇省)위원회 법남구(法南區) 한인지부에 배속 1932.10 프랑스조계 경찰에 체포, 국내로 압송되어 투옥 1945.9 조선공산당 서기국원 겸 선전부장, 산업노동조사소 소장 1945.11월 조선공산당 중앙위원에 선출 1946년 1월 서울에서 열린 모스크바3상회의를 지지하는 군중대회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강문석 로 건너가 중국공산당에 입당, 장쑤성(江蘇省)위원회 법남구(法南區) 한인지부에 배속 1932.10 프랑스조계 경찰에 체포, 국내로 압송되어 투옥 1945.9 조선공산당 서기국원 겸 선전부장, 산업노동조사소 소장 1945.11월 조선공산당 중앙위원에 선출 1946년 1월 서울에서 열린 모스크바3상회의를 지지하는 군중대회에...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ㄱ > 김일성 > 경력 국 소속 제88특별여단(하바로프스크 소재)근무, 소련군 소좌 1945.9.19 소련군 따라 원산으로 입북 1945.9.21 평양 귀환 1945.10.13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집행위원 1945.12.17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책임비서 1946.2.8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위원장 1946.8 북조선노동당 부위원장(제1차 당 대회) 1947.2.22 북조선...
  • [연합] 1994년 > 특집 > 광복 50년 주요 사건ㆍ사고 > 1945~1950년 > 정판사 위폐사건 45년 10월~46년 2월 조선공산당은 정치자금 조달과 경제교란을 위해 조선정판사(朝鮮精版社)에서 조선은행권(100원(圓)권) 1,300만 圓을 위조했다. 5월 초까지 공산당 간부 이관술(李觀述)ㆍ권오직(權五稷), 정판사 사장 박락종(朴洛鍾) 등 14명이 검거됐는데 공산당은 이를 부인하고 해방일보(解放日報), 조선인민보...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ㅂ > 박헌영 > 경력 1919년 고려공산청년동맹 가입 1925년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 함흥형무소 복역 1931년 보석 후 상하이서 공산당 재건 노력 1933년 일검에 피검, 서대문형무소 복역 1939년 출감 후 서울서 비밀공작, 광주벽돌공장 노동자로 잠입, 지하운동 1945.9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1946.1 남조선노동당 부위원장 1946.2 민주주의...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ㅂ > 박헌영 출생 연ㆍ월ㆍ일 학력 경력 1900~55년 경성 제1고보 1919년 고려공산청년동맹 가입 1925년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 함흥형무소 복역 1931년 보석 후 상하이서 공산당 재건 노력 1933년 일검에 피검, 서대문형무소 복역 1939년 출감 후 서울서 비밀공작, 광주벽돌공장 노동자로 잠입, 지하운동 1945.9 조선공산당 책임...
  • [북한] 2003년 > 북한인명록 > ㄹ > 리현상 조선인민유격대 남부군 사령관 1953.9.18 지리산 빗점골에서 토벌대에 의해 사살 1906년 충남 금산에서 출생 1927년 보성전문학교 법과에 입학한 뒤 조선공산당 및 고려공산청년회 산하의 학생부위원회 상무위원ㆍ책임비서 등으로 활동했으며, 1928년 8월 반일동맹휴학을 주도하던 중 일제 경찰에 체포돼 4년간 복역...
  • [연합] 1998년 > 문화 > 학술 > 각종 학술대회 > 1922 코민테른 한국대표단 56명 전모 확인 구사했던 당시 독립운동계의 1급 외교관 김규식이 조선대표단 단장을 맡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독립군의 전설적인 명장 홍범도 장군을 비롯해 뒷날 조선공산당 초대 책임비서가 된 김재봉, 해방 후 정치거물 여운형, 뒷날 국회의원이 된 문시환, 나용균 등도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 코민테른에 남겨진 자료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8건

조선공산당 창당 문서
조선공산당 관련 보도(『시대일보』 1926.6.19)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 보도(『동아일보』 1929.11.1)
조선공산당 재건공작회사건 보도(『중앙일보』 1933.4.30)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 보도(『동아일보』 1929.11.1)
조선공산당 재건공작회사건 보도(『중앙일보』 1933.4.30)
김기호의 이름이 기록된 「조선공산당사건 검거에 관한 건」2(1926.10.11)
김기호의 이름이 기록된 「조선공산당사건 검거에 관한 건」2(1926.10.1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