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정치 조회순 목록
-
패스트 트랙 (Fast Track) 한국 <국회법> 제85조 2(안건의 신속처리)를 달리 부르는 말. 사안의 시급성에 따라 입법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정한 법적 절..
-
필리버스터 (무제한 토론, Filibuster) 다수당의 일방적인 법안 처리를 막기 위해 장시간 발언으로 국회 의사진행을 지연시키는 무제한 토론. 이 용어는 원래 16세기의 공인된 해적선이..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공수처, 高位公職者犯罪搜査處) 고위공직자의 직무 관련 부정부패를 수사·기소하는 독립기관. 약칭은 '공수처'이다. 1998년 당시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권력형 부패범죄 처..
-
비례대표제 (proportional representation) 선거에서 득표수에 상응하는 의석을 각 정당이 획득하도록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 다수당에 유리한 다수대표제에 비해, 비례대표제는 소수집단에게도..
-
뉴라이트 (신우익, New Right) 기존의 보수와 다른 신흥 우파가 표방하는 이념. 주로 좌파 운동권 출신이 전향하여 기존의 진보와 보수에 대한 극복을 주장하고, 실용주의 노선..
-
12·12군사반란 (12·12사태, 十二十二軍事叛亂)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정승화 육군 참모 총장 등을 불법적으로 강제 연행하고 군권을 장악하..
-
치킨게임 (겁쟁이게임, Chicken Game) 2대의 차량이 마주보며 돌진하다가 충돌 직전 1명이 방향을 틀어서 치킨, 즉 겁쟁이가 되거나 아니면 양쪽 모두 자멸하게 된다는 게임의 이름으..
-
레임덕 (권력누수현상, Lame Duck) 임기 말 권력누수 현상 절름발이 오리라는 뜻이며, 현직에 있던 정치 지도자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나타나는 것으로 정치 지도자의 권위나 명령이..
-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차이는 무엇인가? 사유 재산의 제거와 재화의 집단 소유제를 지향하는 두 체계 사이에는 사실상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둘 사이에 몇 가지 차이가..
-
12·12 군사반란 (十二十二 軍事叛亂) 1979년 12월 12일 군부의 실세였던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 등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군사반란 사건. 이들이 이끌던 군부 내 사..
-
공화국 (republic) 국민의 대표가 통치하는 정치체제. 공화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국민이 선출한 대표자가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위하여 통치를 행하는 것이 일..
-
파시즘 (결속주의, fascism) 모든 국가주의적 전체주의 운동이나 그 정부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용어. 이탈리아어 파쇼(fascio)에서 유래했다. 파시즘의 가장 중요한 특..
-
대통령 선거 (Presidential Election) 대통령을 선출하는 선거 대통령을 선출하는 선거다. 대통령제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에서 시행한다. 한국의 대통령 선거는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
-
레임덕 (임기말 증후군, Lame Duck) 대통령 등 정치 지도자의 지도력이 임기 말에 떨어지는 현상. 영단어 'lame'은 '절름발이의', '다리를 저는'의 뜻으로, 레임덕은 '절뚝..
-
전체주의 (totalitarianism)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 극단적으로 집단의 이익만을 강조하는 정치 사상 또는 체제. 이탈리아의 무솔리니가 파시즘 국가를 지칭하기 위해 만들었다..
-
제19대 대통령 선거 (第十九代 大統領 選擧)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을 선출했던 선거. 전임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됨에 따른 대통령직 궐위로 인해 선거 일정이 변경되어 2017년 5월 ..
-
오픈프라이머리 (개방형 예비선거, open primary) 투표자가 자신의 정당 성향이나 소속 정당을 밝히지 않고 투표할 수 있는 예비 선거. 완전국민경선제라고도 부른다. 막강한 권력을 가진 정치인이..
-
이데올로기 (이념, Ideologie) 이데올로기는 세계를 설명하고 변화시키는 것을 뒷받침하는 관념체계이다. 이데올로기라는 말은 프랑스 혁명기에 철학자 데스튀트 드 트라시가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