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재봉 金在鳳
    일제강점기 코르뷰로 국내부 책임비서,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생애 및 활동사항 경상북도 안동 출신. 1908년 대구계성학교를 졸업한 뒤 경성공업강습소 염직과 3년을 마쳤다. 1920년 『해주일보(海州日報)』 경성지사에서 기자로 활동하였다. 1921년 6월 경성지방법원에서 ‘다이쇼(大正) ...
    시대 :
    근대
    출생 :
    1891(고종 28)
    사망 :
    1944년
    경력 :
    코르뷰로 국내부 책임비서,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풍산(豊山)
  • 김재봉 金在鳳
    사회주의 운동가.|초대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를 지냈다. 1908년(융희 2) 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한 뒤 1909년 경성공업강습소에 입학하여 염직과 3년을 졸업했다. 그뒤 고향에 돌아가 습득한 기술로 사업을 벌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적극 참여하고 일제 경찰을 피해 고향을 떠났다. 1920년 서울에서 해주일보 경...
    출생 :
    1890(고종 27)
    사망 :
    194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김재봉 주서, 金在鳳
    1891년 5월 19일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풍산읍(豊山邑) 오미동(五美洞)에서 세가 좋은 참봉댁에서 김문섭(金文燮)의 다섯 아들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풍산, 자를 주서(周瑞)라 하고, 호는 근전(槿田)이다. 이중교(二重橋) 투탄의거 주인공인 김지섭과 같은 마을 같은 문중 출신이다. 가학으로 전통 학문...
    출생 :
    1891년 5월 19일, 경상북도 안동(安東)
    사망 :
    1944년 3월 22일
    관련 사건 :
    조선독립단, 조선공산당
    본관 :
    풍산
    주요활동 :
    1920년 조선노동대회 가입, 1922년 이르쿠츠파 고려공산당 중앙위원, 1924년 화요회 결성, 1925년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포상훈격 :
    2005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민국 임시정부, 화요회, 조선공산당
  • 김재봉 (축구 선수)
    축구 선수 정보 김재봉(1996년 9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이다. 광주대학교 시절 팀을 U리그 권역 우승팀으로 만든 뒤 3학년을 마치고 2018 시즌을 앞둔 상황에서 성남 FC에 입단하여 신인 시즌에는 9경기에 출전하며 팀의 준우승과 함께 차기 시즌 K리그1 승격에 일조했다. 성남의 K리그1...
    도서 위키백과
  • 김재봉 金在鳳, 金在凤
    1890년 ~ 1944년)은 일제강점기에 활약했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다. 초대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를 지냈다. 코민테른 산하 꼬드뷰로의 지시를 받고 국내에 파견되어 꼬드뷰로 국내부를 만들어 이를 기반으로 1925년 4월 조선공산당을 만든다. 1925년 11월 1차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검거되어 6년형을 받았다. 1931년...
    도서 위키백과
  • 화요회 신사상연구회, 火曜會
    誠)·이승복(李昇馥)·조규수(趙奎洙)·이준태(李준(準)泰)·강상조(姜相照)·홍덕유(洪悳裕)·원우관(元友觀)·박돈서(朴敦緖)·김찬(金燦)·김홍작(金鴻爵)·김재봉(金在鳳)·권오설(權五卨)·안기성(安基成)·이봉수(李鳳洙)·김경재(金璟載) 등이 신사상을 연구하려는 목적으로 조직했다. 일종의 학술연구단체로...
    시대 :
    근대
    설립 :
    1924년
    성격 :
    표현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6년 4월 14일
    설립자 :
    홍명희, 홍증식, 구연흠, 박일병
    분야 :
    역사/근대사
  • 제1차 공산당 사건 국내 사회주의 운동을 탄압한 최초의 사건
    炳)을 비롯해 화요파와 북풍파, 상해파 등에 속한 각 지역별 대표가 참여했다. 화요회가 주도 세력이 되어 다른 계파들과 연합한 형태였다. 책임비서를 맡은 김재봉(金在鳳)은 이 자리에서 개회사를 통해 “일제를 타도하고 조선 민족을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노동자, 농민 계급의 전위당인 공산당이 필요하다.” 하고...
    시대 :
    1925년
  • 공산주의운동 共産主義運動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총국의 코르뷰로(이동휘 · 정재달 · 한명서 등 3명의 한인위원)는 이르쿠츠크 군정학교를 졸업하고, 당시 블라디보스토크에 와 있던 김재봉(金在鳳)과 신철(辛鐵, 본명 辛容琪)에게 국내에 공산당을 조직할 지령을 내려 파견하였다. 즉, 김재봉은 공산당을, 그리고 신철은 공청(共靑)을 조직할...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신철 신용기(辛容箕), 辛鐵
    중학교를 졸업한 자에 한하여 입학자격이 있다는 조건 때문에 이르쿠츠크군정학교에 입학, 졸업하였다. 1923년 4월 코르뷰로의 공작원으로 서울에 들어와서 김재봉(金在鳳)과 더불어 국내의 유력인사인 신백우(申伯雨)·윤덕병(尹德炳)·원우관(元友觀, 일명 元貞龍)·이영(李英)·김유인(金裕寅)·임봉순(任鳳淳) 등과...
    시대 :
    근대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사회주의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아시아와 유럽의 공산주의
    몸담고 있던 이동휘(李東輝), 정재달(鄭在達), 한명서(韓明瑞) 등 3명의 한인위원은 이르쿠츠크 군정학교를 졸업하고 당시 블라디보스토크에 와 있던 김재봉(金在鳳)과 신철(辛鐵)에게 국내에 잠입하여 공산당을 조직할 것을 지령했다. 4월과 5월에 각각 입경한 신철과 김재봉은 주로 북성회(北星會)와 접촉을 가졌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 全朝鮮民衆運動者大會
    서울청년회·북풍회 등으로 나뉘어 각각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분파활동을 전개하였다. 1923년 6월 서울청년회 계열을 제외하고 김찬(金燦)·김재봉(金在鳳)·신철(辛鐵), 상해파(上海派)의 이봉수(李鳳洙), 조선노동연맹회의 윤덕병(尹德炳)·신백우(申伯雨), 북성회의 김약수(金若水), 무산자동맹회...
    시대 :
    근대
    발생 :
    1925년 4월
    성격 :
    민중운동, 민중대회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화요회, 서울청년회
  • 박헌영 朴憲永
    위해 국내침투를 시도하다가 체포되어 1년 6개월간 복역했고, 1924년 출옥 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1925년 4월 17일 김약수·김재봉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창당대회를 열어 공산당을 조직했고, 18일 고려공산청년회를 결성해 책임비서를 맡아 조직활동을 전개하다가 구속되었다. 1927년...
    출생 :
    1900, 충남 예산
    사망 :
    1955. 12, 평양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김재봉
김재봉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김재봉 전후면
김재봉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국사편찬위원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