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중현 대옥(大玉), 洪重鉉정언이 되어 그해 이동근(李東根)과 함께 장계를 올려 김석주(金錫胄)의 죄상을 밝혀 처벌할 것을 청하고, 다시 남용익(南龍翼)의 교문(敎文)을 문제삼아 따지라는 계(啓)를 올리기도 하였다. 1693년 홍문록(弘文錄)에 오르고, 지평이 되어 책무태만으로 사헌부로부터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1694년 부교리가 되고 같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60년(현종 1)
- 사망 :
- 1726년(영조 2)
- 경력 :
- 홍문록(弘文錄), 지평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
천자풀이 千字─이루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를 들면 “하늘천 따따지/가마솥에 누릉지/딸딸 긁어서/배꼭다리 한 그릇”(禮安地方), “높고 높은 하늘천(天)/깊고 깊은 따지(地)/홰홰친친 가물현(玄)/불타졌다 누릉황(黃)”(春香傳 完本) 등이 있다. 글자풀이 노래는 비단 이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 「한글풀이...
- 성격 :
- 민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강준호 姜俊鎬미국의 무어(Moor,D.)에게 압승하고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그뒤 1954년 제2회 마닐라아시아경기대회와 1958년 동경아시아경기대회에 참가하였으나 메달을 따지 못하자 지도자의 길을 택하였다. 1963년 육군에서 제대한 뒤 1967년 5월부터 1년간 당시 청와대 경호실장 박종규(朴鍾圭)가 운영하던 삼청동 골든 올림피아 짐...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8년
- 사망 :
- 1990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체육인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누룽지날 부모님 생각하며 누룽지를 먹습니다8일은 누룽지날, 누룽지 긁어주시던 어머님의 따스한 손길 옛날 서당에서 천자문을 외우던 아이들은 장난으로 "하늘 천 따 지 깜 밥 눌은 밥" 또는 "하늘 천 따지 가마솥에 누룽지"라고 했다지요? 누룽지는 별 군것질거리가 없던 옛날 아이들에게는 귀중한 먹을거리였으며, 《동의보감》에는 누룽지를 취건반이라고 하여...
- 날짜 :
- 매달 08일
-
백록동규해 白鹿洞規解번째는 ‘일을 처리하는 요체〔處事之要〕’에 대한 것으로 “의로움을 따르고 이로움은 도모하지 않는다(正其義不謀其利).”는 원칙과 “도를 밝히고 공은 따지 않는다(明其道不計其功).”는 정신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다섯 번째는 ‘인간관계의 요체〔接物之要〕’에 대한 것으로 “자신이 원하지 않는...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朴英
- 창작/발표시기 :
- 18세기 후반
- 성격 :
- 주석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대학교 규장각
-
겨장 쩜장곳에서 띄우다가 잘게 부숴 놓는다. 4. 밤이슬을 맞히면 메주 냄새가 날아가므로 여러 날 바싹 말린 후 빻아서 메줏가루를 만든다. 5. 고추는 씻어서 꼭지를 따지 말고 10일 정도 소금물에 삭혀서 2~3일 전에 건져서 물기를 제거해 둔다. 6. 보리쌀은 씻어서 바로 빻아 엿기름물에 1시간 정도 삭혀서 끓인 다음 따뜻할...
- 분류 :
- 발효식품류 > 장류 > 된장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