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헌충 張獻忠, Chang Hsienchung이끌고 중국 중서부에 있는 쓰촨 성으로 가서, 스스로 왕위에 올라 '대서국왕'임을 선포했다. 아울러 화폐를 주조하고 인재 선발을 위하여 과거제도를 실시했다. 그러나 문관정부를 세우려는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군사적인 통치에 더 큰 관심을 가져 무자비한 정책을 추구했다. 관(官)에서 편찬된 〈명사 明史〉에...
- 출생 :
- 1606, 중국 산시 성[陝西省] 연안 부(延安府 : 지금의 옌안 시[延安市])
- 사망 :
- 1647. 1. 2, 쓰촨 성[四川省] 시충[西充]
- 국적 :
- 중국, 명(明)
-
홀기 笏記내용 홀(笏)은 중국에서는 이미 주대(周代)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처음에는 문관이 모양을 꾸미는 장식품의 일종으로, 임금에게 보고할 사항이나 건의할 사항을 간단히 적어서 잊어버리지 않도록 비망하는 것이었다. 신분에 따라 규격과 색채와 질이 정해져서 중국에서는 옥·상아·서각(犀角) 등이 사용되었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책례 冊禮등작제는 중국 주변의 국가 통치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공·책봉 체제로 변모하는 한편, 내작은 왕실 성원과 공신을 대상으로 한 책봉으로 분화되었다. 조선의 책봉제는 당송의 제도를 참조하면서도, 당시 명나라의 율령인 대명률의 의친(議親)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그에 따라 봉작의 대상자에게는 형사상의 특혜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삼검 三檢한편, 중국의 경우와 우리나라의 형편이 같지 못한 점을 고려하여, 『무원록』에 음주(音註)를 가하고 주해(註解)를 붙인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이 1438년...치사에 관한 재판에 있어 실증적인 검시를 소홀히 하였으나, 이 제도가 시행되면서부터는 사건에 대한 범인과 증인들의 추고(推考)나 심문만으로는 판결할...
- 시대 :
- 조선
- 성격 :
- 법률, 삼심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 세종
- 분야 :
- 과학/의약학
-
능원 陵園陵墓) 제도의 영향이 커서 비석, 사자, 석인상 등의 배치 및 석인상의 복식, 사자상의 형태 등이 매우 닮아 있다. 반면에 통일신라의 독자적인 석조물로는 호석...支神像)을 조각하고 주변에 난간석을 두르는데, 이러한 호석과 난간석은 중국 묘제에서 찾을 수 없는 고유한 모습이다. 이 호석과 난간석은 고려시대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
1919년, 3・1운동, 의미와 영향하는 제도를 없앴다. 또한 언론 ・ 출판 ・ 집회 ・ 결사의 자유를 부분적으로 인정하겠다며 1920년 한국인이 운영하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창간을...3배 이상으로 늘리는 등 경찰력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군인 출신이 아닌 문관도 조선총독이 될 수 있다'는 사이토 총독의 말은 그 후 한 번도 실현되지...
- 시대 :
- 1919년
- 국가/대륙 :
- 한국
-
혁대 革帶나라는 중국 복식과는 달리 선사시대부터 저고리와 바지를 입는 유고복식(襦袴服飾)을 하였는데 이는 원래 아한대 지방의 기마 생활에 편리한 의복이라 하겠다. 이러한 경우 긴저고리 위에 띠를 둘러 옷을 여몄을 것이며 가죽으로 만든 혁대도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북도 영천시 어은동에서 출토된 청동기...
- 성격 :
- 복식
- 유형 :
- 물품
- 재질 :
- 가죽
- 분야 :
- 생활/의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