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증국번

다른 표기 언어 Tseng kuofan , 曾國藩
요약 테이블
출생 1811. 11. 26, 중국 후난 성[湖南省] 샹샹[湘鄕]
사망 1872. 3. 12, 난징[南京]
국적 청(淸), 중국

요약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하여 청조의 붕괴를 막는 데 공헌했다. 태평천국운동은 대규모의 종교적·정치적 봉기였으며 약 2,000만의 인명을 희생시킨 청대 최대의 반란이었다.
1833년 향시에 합격했고 이후 진사 시험에 급제하여 한림원에 보임되었다. 예부우시랑을 거쳐 병부시랑·이부시랑 등을 역임했다. 1850년 무장봉기한 태평천국 군대가 1852년에 이르러 중국 중남부지방의 양쯔 강 유역을 장악하여 청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했다. 1853년초 그는 후난에서 상군이라는 임시 군대를 조직했으며, 1864년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했다. 그 뒤 강남성의 총독을 2번 역임했고, 직례성의 총독을 지냈다. 1865년과 1866년 중국 북부지방에서 일어난 염군의 난을 진압하기 위하여 토벌군 사령관이 되었으나 정부 감찰관들의 비난을 받고 사임했다.

증국번(曾國藩)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하여 청조의 붕괴를 막는 데 공헌

ⓒ Sven Manguard/wikipedia | CC BY-SA 3.0

개요

자는 백함(伯涵), 호는 척생(滌生). 시호는 문정(文正). 태평천국운동(1850~64)을 진압하여 청조(淸朝)의 붕괴를 막는 데 공헌했다.

관리로서의 초기생애

증국번은 사회적 야심을 갖고 있던 할아버지 증옥병(曾玉屛)이 일으킨 부농(富農)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1833년 향시(鄕試)에 합격했고 이후 진사(進士) 시험에 급제하여 한림원(翰林院)에 보임되었는데, 한림원은 전국에서 뛰어난 학자들이 모여 있는 기관으로 궁중의 서식(書式)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수도에서만 13년 이상 근무했다. 이 시기에 정호(程顥)·정이(程頤)·주희(朱熹) 같은 송대(宋代) 철학자들의 저작을 읽게 되었고 유교경전의 해석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지식의 연마와 함께 관운(官運)도 높아져갔다.

예부우시랑(禮部右侍郞)을 거쳐 병부시랑(兵部侍郞)·이부시랑(吏部侍郞) 등을 역임했다. 변화 없는 일상생활을 따분하게 여겼고 백성들을 좀더 실제적으로 돕고 싶어했다. 1850년에서 1852년초까지 황제의 잘못된 태도, 정부의 재정정책, 직언하는 관리들에 대한 정부의 잘못된 조치 등에 대해 맹렬한 비난을 퍼부었다.

군사적인 공적

1852년 어머니가 죽자, 고향으로 돌아가 3년간의 거상기간(居喪期間)을 보낼 수 있도록 허가해 줄 것을 조정에 건의했다.

이 허가는 곧 내려졌으나 거상기간 중 함풍제(咸豊帝)에 의해 다시 현직에 복귀하게 되었다. 1850년 무장봉기한 태평천국 군대가 1852년에 이르러서는 중국 중남부지방의 비옥한 양쯔 강 유역을 장악하여 청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했기 때문이다. 태평천국운동은 대규모의 종교적·정치적 봉기였으며 약 2,000만의 인명을 희생시킨 청대 최대의 반란이었다. 1853년초 그는 후난[湖南]에서 상군(湘軍)이라는 임시 군대를 조직했고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하는 책임을 점점 더 크게 떠맡게 되었다.

1864년에 태평천국운동은 진압되었다.

진압이 성공할 수 있었던 첫번째 이유는 태평천국의 지도층 내부에서 심각한 권력투쟁이 일어나 반란군이 분열되었기 때문이다. 2번째는 증국번의 탁월한 지도력과 인내심 때문이었다. 1854년 그는 해전(海戰)에서 2번 패했고 1861년에는 치먼[岐門:항저우(杭州) 연안에서 서쪽으로 약 48.3㎞ 지점]에서 적군에게 포위된 적도 있었다. 더욱이 자금과 인원이 부족하여 고통을 받은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으나 12년 동안 인내심을 가지고 토벌작전에 임했다. 토벌작전중에 그는 정치란 도덕심만으론 충분하지 않으며, 지도자는 하급자들의 헛된 탐욕을 때로는 받아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858년 7월 군사적인 책임을 맡게 되면서(그는 이 시기에 아버지의 거상 때문에 1년 반 동안 고향에 돌아가 있었음) 자신이 받은 편지에 꼼꼼하게 답장했고, 청원자(請願者)들을 잘 만나주었으며, 선별적이기는 했지만 관대하게 부하들의 승진을 주선했다. 그결과 군대 내에서 인기가 높은 가운데 기강을 유지할 수 있었다.

후기의 행정적 활동

태평천국운동을 진압한 1864년은 그의 생애에서 최고절정기였다.

그뒤로는 주로 행정관을 지내게 되었는데, 강남성(江南省:지금의 장쑤 성[江蘇省], 안후이 성[安徽省])과 장시 성[江西省:남동부 해안으로부터 내륙으로 약 160.9㎞ 떨어져 있음]의 총독을 2번 역임했고, 직례성(直隸省:지금의 허베이 성[河北省])의 총독을 지내기도 했다. 1865년 5월과 1866년 10월 중국 북부지방에서 일어난 염군(捻軍)의 난을 진압하기 위하여 토벌군 사령관이 되었으나 정부 감찰관들의 비난을 받고 사임했다.

1864년 이후에는 수도에서 일할 기회가 없었으나, 자신의 명예와 권세를 잘 이용하여 국가의 여러 가지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그가 키워준 인물인 이홍장(李鴻章)은 정부 내에서 엄청난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는데 그 같은 권력을 행사한 중국 관리는 몇 되지 않을 정도였다. 이홍장의 권력은 위안스카이[袁世凱] 에게 계승되었고, 그 권력 때문에 청은 마침내 붕괴되었다(청이 붕괴되자 위안스카이는 중화민국의 총통이 되었음). 증국번의 지원을 받아 미국 예일대학교를 졸업한 룽훙[容閎]은 상하이에서 제철공장을 설립했는데 이것이 나중에 강남제조국(江南製造局)이 되었고 현재 그곳에는 조선소가 들어서 있다.

청 정부가 해외파견 유학생제도를 도입한 것도 그의 추천에 의한 것이었다. 그는 4남 4녀의 형제가 있었으며 2남 5녀의 자식을 두었다. 이들 모두에게 애정으로 대했고 자신의 경험을 쓴 편지를 자주 보냈다. 중국근대화에 큰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여성관은 다소 구식이었다. 즉 여자가 남성의 우위를 참고 인정해야만 가정의 평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이었다.

그는 청으로부터 문관에게 수여된 시호 가운데 가장 높은 영예인 문정(文正)을 하사받았다.

평가

1920년대 이래로 증국번의 역사상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어왔다.

국민당 지도자들 같은 보수주의자들은 그가 유교의 상징이요 도덕심의 모범이라고 찬양했는가 하면, 몇몇 국민당 창당인사나 대부분의 공산당 인사들은 그가 민중·민주주의를 탄압했다는 이유로 격렬하게 비난했다. 그는 본질적으로는 유생이었으나 보수주의적 정책의 독단에 빠지지 않았으며 고대 개혁가의 철학을 충실하게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증국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