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근정과
    음식 정보 연근정과(蓮根正果)는 연근을 얇게 썰어 물엿과 설탕물에 조린 한국 전통향토음식이다.웹 인용 껍질 벗긴 연근을 0.7cm 두께로 둥글게 썬 다음 연근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설탕과 소금을 넣어 끓인다. 센불로 끓인 뒤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이고 서서히 졸인다. 반쯤 줄어들면 물엿을 넣고 투명해질 때...
    도서 위키백과
  • 연근
    연근전은 연근에 밀가루와 밀가루집을 묻히고 기름에 지진 전이다. 한국 전통혼례 음식이기도 하다.웹 인용 또한 경상북도에서는 연근전을 연뿌리전이라고도 부른다.웹 인용 연근을 지름이 가는 3~5cm를 골라 깨끗이 씻은 뒤 껍질을 벗겨내어 0.7cm 정도로 둥근 모양으로 썰어 식초물에 담가 둔다. 소금을 넣은 물에...
    도서 위키백과
  • 연근조림 영양정보
    분류 :
    조림류
    1회 제공량 :
    25g
    칼로리 :
    19.0kcal
  • 연근조림
    출처 필요 연근조림은 연근을 주재료로 한 한국의 밑반찬 중 하나이다. 위벽을 보호하고 지혈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서 위키백과
  • 연차 (음식) Lotus tea, 蓮茶
    낮은 열을 가한 물에 우려내어 2~3컵 분량의 차를 만든다.서적 인용 연꽃차 또는 연화차(蓮花茶)는 연꽃으로 만든 차이다.뉴스 인용 연방차(蓮房茶)는 말린 연근을 우려낸 차이다. 연밥차, 연씨차 또는 연자차(蓮子茶)는 쪄낸 뒤에 말린 연근씨를 우려낸 차이다. 2~3컵 분량의 차의 경우 5~10g의 연근씨를 낮은 온도의...
    도서 위키백과
  • 정과 正果
    한 수단으로 개발된 음식이다. 재료 중에는 천문동·산사·인삼 같은 약재도 쓰인다. 한편, 모과·유자와 같이 특유한 향미를 가진 과일이나 배도 쓰이고 연근·생강·무 등 근채를 별미롭게 한 것도 있다. 꿀에 재거나 조려 만든 정과는 필요할 때에 그 건더기를 꿀물에 띄워 수정과(水正果)로 만들어 음료의 하나로...
    성격 :
    음식
    유형 :
    물품
    재질 :
    견과, 근채, 생과
    분야 :
    생활/식생활
  • 우근응이 우분죽
    내용 『증보산림경제』·『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 다같이 우분죽(藕粉粥)이라 쓰고 있다. 만드는 법은, 먼저 연근을 잘게 썰어 맷돌에 갈아서 보에 밭친다. 그것을 다시 갈아 고운 베로 밭쳐 찌꺼기 없이 곱게 한 다음 물을 조금 붓고 가라앉힌다. 윗물을 따라내고 앙금은 거두어 말려 통풍이 잘 되는 주머니에 담아...
    성격 :
    음식, 죽
    유형 :
    물품
    재질 :
    연근, 율무녹말, 연근녹말
    용도 :
    주식용, 보양용
    분야 :
    생활/식생활
  • 연꽃 Indian lotus
    씨가 검게 익는데 이것을 연밥이라고 하며 까서 먹기도 한다. 연은 씨앗채로 식용하고 잎은 연잎차로 또는 연잎 밥의 재료로 사용하며 뿌리줄기의 굵어진 부분은 연근으로 비타민과 미네랄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 좋은 반찬의 재료가 되는 쓰임새가 많은 식물이다. 구별하기 연과 같은 수련과의 수련을 같은 연으로...
    분류 :
    수련과
    꽃색 :
    분홍색, 백색
    학명 :
    Nelumbo nucifera
    개화기 :
    7월~8월
  • 인삼산업법 人蔘産業法
    정하는 바에 따라 경작지를 관할하는 조합에 신고할 수 있고(제4조), 5년근 이상의 수삼을 수확하려는 경우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조합에 연근의 확인을 신청할 수 있다(제9조).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수삼의 수급조절 및 가격안정을 위해 인삼경작자와 생산자단체 사이의 계약경작을 권장 및 알선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산후 음식
    찜 청둥호박으로 호박죽이나 호박탕 등을 해 먹으면 산후 부기를 빼는 데 효과가 있다. 씨를 파낸 호박에 꿀을 넣고 중탕하거나 호박찜을 해 먹어도 좋다. 연근과 쑥으로 생즙을 내 매일 아침저녁에 1컵씩 마셔도 효과적이다. 재료 청둥호박 ½개, 돼지고기 150g, 목이버섯 12개, 생강 1쪽, 대파 1뿌리, 식용유 1큰술...
  • 연못 종로구
    종로구 행촌동 대신중고등학교 부근의 골짜기를 막아 못을 만들고 연을 심었던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곳에서 생산된 연근은 어수골과 골우물 사람들의 생계에 도움을 주었으며, 천연동의 서지에서 나는 연근보다는 못하지만 달고 찰기가 있어 웃돈을 더 주고 거래되었다고 한다. 연못의 북쪽에 있던 연근을 말리는...
    유형 :
    자연물
  • 수안마을
    마을 입구에 있고 마을 전체가 정원처럼 잘 가꾸어져 있다. 서낙동강 나루터 너머엔 연을 심은 곳이 있는데 마을 사람들이 직접 수확해 연근 과자, 연근 피클 등 다양한 연근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조용하고 작은 마을이지만, 곳곳에 볼거리와 먹을거리가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다. 또, 수안마을에서는 매년 6...
    위치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수안리 48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1건

연근
연근
연근
연근
연근
연근
연근과 생선, 연근과 육류
연근정과
연근조림
연근 고르는 법
연근과 당근
생산지와 생산시기
연근유자 물김치용 연근 데치기
연근유자 물김치용 연근 손질하기
연근유자 물김치용 연근 식초에 절이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