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야생화 조회순 목록
-
구절초 (넓은잎구절초, Korean chrysanthemum) 이름의 유래는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하여 구절초라 한다. 줄기의 마디가 단오에는 다섯 중양절에는 아홉 마디..
-
비수리 (노우근, Lespedeza cuneata)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들풀. 한국, 일본, 타이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키는 1m 정도이고 반관목처럼 보인다. 잎..
-
개망초 (계란꽃, Annual fleabane) 쌍떡잎식물로 통꽃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꽃의 모양이 계란과 비슷하다하여 계란꽃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어린 묘의 상태로 겨울을 지난 후..
-
자리공 (장녹, Phytolacca esculenta) 석죽목 자리공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북아메리카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여 한국의 남부 지방에서 잘 자란다. 낮은 산야..
-
해바라기 (향일화, sunflower) 아메리카산 한해살이로서 각지에서 심고 있으며 높이가 2m에 달하고 전체적으로 굳센 털이 났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심장상 난형 또는..
-
제비꽃 (오랑캐꽃, manchurian violet) 봄날 우리나라 산과 들에 가장 흔하게 피는 꽃이 제비꽃이다. 제비꽃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올 무렵에 피는 꽃이라서 붙여진 명칭으로, 양지 ..
-
코스모스 (길국화, Common cosmos) 하늘거리는 핑크색 꽃잎을 보면 봄에 여인이 입은 밝은색 원피스가 바람에 이는 모습이 연상된다. 꽃색도 선명하면서 다양할 뿐만 아니라 꽃피는 ..
-
와송 (지붕지기, Orostachys japonicus) 돌나물과 바위솔속에 속하는 다년생초.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산지의 바위에서 주로 자란다. 잎이 두꺼운 다육식물로, 바위에서 자란 솔잎같다고 하..
-
달맞이꽃 (산지마, Evening Primrose) 도금양목 바늘꽃과 두해살이풀. 남아메리카의 칠레가 원산지이며 한국 곳곳에서 귀화식물로 자란다. 저녁까지 오므라들던 꽃이 밤이 되면 활짝 벌어..
-
명아주 (는장이, Goosefoot) 우리나라 전 지역의 밭이나 길가, 빈터, 강둑 등지에서 흔하게 무리지어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몸 전체가 흰색 가루로 덮여있다. 줄기는 1.5~..
-
접시꽃 (촉규화, hollyhock) 접시꽃은 역사가 오래된 꽃으로 우리나라 전국에서 자란다. 봄이나 여름에 씨앗을 심으면 그해에는 잎만 무성하게 영양번식을 하고 이듬해 줄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