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실 胎室태는 태아의 생명력을 부여한 것이라고 인정, 태아가 출산된 뒤에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보관하였다. 보관하는 방법도 신분의 귀천이나 계급의 고하에 따라 다르다. 특히 왕실인 경우에는 국운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더욱 소중하게 다루었다. 태실은 일반적으로 태옹(胎甕)이라는 항아리에 안치하는 것이 통례...
- 문화재 지정 :
-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재 제60-1호
- 성격 :
- 용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비례준 髀禮準태양, 음정(陰精)의 종주로서 태양과 짝이 되는 태음, 목성 · 화성 · 금성 · 수성 · 토성 등 오행성의 형체 · 명칭 · 광색(光色) · 대소(大小) · 고하(高下) · 변동(變動), 무수한 작은 별로 구성된 은하[天漢]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수법준」에서는 기존의 『주비산경(周髀算經)』 가운데 주공(周公)과...
- 시대 :
- 조선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탄보묘 황조별묘, 誕報廟몸을 돌보지 않고 그 배에 뛰어들어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1832년(순조 32) 다시 관원을 보내 치제하였고, 탄보묘에 조복을 갖추어둔 뒤 조관이 그 섬에 공사간의 일로 갔을 때 직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알묘의 예를 행하도록 왕명으로 지시하였다. 1837년(헌종 3)에도 관원을 보내 제사를 지낸 바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건립시기 :
- 1597년, 1666년(중수)
- 성격 :
- 사당, 관왕묘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충무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전적 수사본 용주사어제봉불기복게사본, 典籍 手寫本받아 삼가 게어(偈語)를 지음으로써 삼업(三業)의 공양을 드리며 보은의 불공을 드립니다.”고 밝히고, 초서분일(初序分一) 곧 사람과 하늘을 대신해서 고하는 처음 차례분(次例分)에서 “혜일(慧日)같은 대성(大聖)의 존귀하심이여 그 위덕을 헤아려 알지 못하나니 종을 쳐서 사주(四洲)에 고하여 뭇 백성을 깨우쳐...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당상관 堂上官따라 진급하는 순자법(循資法)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공덕과 능력에 따라 가자(加資)·가계(加階)될 수 있었다. 그리고 직사(職事)에 관계없이 산관(散官)의 고하에 따라 국왕이 그때 그때 좌차(座次)를 정하는 좌목(座目)에 의해 임명했을 뿐 아니라, 상피(相避)의 적용을 받지 않는 특전을 받았다. 또한, 퇴직 후 봉조하...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누가 ‘리버틴’을 ‘난봉꾼’으로 만들었는가?, 리버틴 libertine2번, 주중에 3번의 설교에 참석해야만 했다. 이걸 집행하기 위해 ‘도덕 경찰관’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아무 때나 불시로 주민들의 집을 방문했다.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건 한 달에 한 번 이상 그런 방문을 받아야 했다. 여자들이 옷을 경건하게 입었는지, 허락된 요리 이외의 것을 먹었는지, 기도문을 잘...
-
내시 內侍허용되었지만, 직접 정치에 참여할 수 없었다. 그나마 당상관 이상의 품계가 수여될 때는 국왕의 특지가 있어야 하였다. 즉, 조선시대 내시의 구실은 품계의 고하를 막론하고 궐내의 음식물 감독, 왕명 전달, 궐문 수직, 청소 등의 잡무에 국한되어 있었다. 지위가 하락하고 실세가 축소된 반면, 의무 규정은 더욱 강화...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