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지 지리지, 地誌
    삼국사기』는 순수한 전국지지가 아니라 삼국에서 통일신라까지의 역사 전체를 기록한 역사서이며, 그 안에 지지가 들어가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고려 고려시대에 편찬된 지지로서 현재까지 전해지는 것은 『삼국사기』의 지리가 유일하며, 고려에 대해 편찬한 지지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세종의 명을 받은...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금석문 金石文
    자료는 거의가 묘도문자였다. 그러므로 역사적 인물에 대한 객관적 비판이 없고 모두 좋은 면만이 서술되어 있어서 인명사전으로서의 가치를 제대로 지닌 것이라...이런 점에서 고려의 묘도문자와 조선의 그것은 성격이 서로 다르다. 고려시대에는 사료가 빈곤하고, 특히 불교사료는 『고려사』나 『동국통감』에서 전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서예
  • 고려시대 산수화
    12세기경을 전후하여 대두했는데, 이영(李寧)이 그린 〈예성강도〉와 〈천수사남문도 天壽寺南門圖〉가 중국에서도 높게 평가되었던 점으로 보아 상당히 발전된 수준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를 통해 대두된 산수화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가장 활발한 양상을 보이며 전개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상속 相續, Inheritance
    실질적 합리성을 도모하였다. 현대 상속제도의 변화와 의미 상속제도는 역사에 바탕을 두고 변화하였다.「민법」에서도 호주상속과 재산상속을 규정하였는데...헌법이념에 불합치하는 것으로 선언되어 폐지되었다. 재산상속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남녀균분상속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법적으로도 강력하게 보호...
    시대 :
    현대
    성격 :
    재산계승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대∼현대
    분야 :
    사회/가족
  • 한국사 韓國史, history of Korea
    한국의 역사는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청동기시대에는 권력자가 발생하였고, 고조선이 가장 먼저 성읍국가로서 건국하였다. 삼국시대에는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적 귀족국가가 형성되었다. 불교를 수용하여 왕권강화 및 귀족들의 특권강화를 정당화했다. 삼국시대 말기에 동양의 국제정세는 남북세력과 신라와 수(隋...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자수 刺繡
    걸려 빛나는 공덕을 더욱 화창하게 드러내도다.”라고 찬하였다. 중국에서는 역사상 걸출한 자수작가의 이름이 『열녀전(烈女傳)』에 올라, 그들의 이름이 정사...없다. 원해는 옛 문헌에 나와 있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자수작가이다. 1172년 고려의 명종이 광학장에 들러 헌강왕의 수초상(繡肖像)에 예를 올린 사실로...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와당 瓦當
    비천(飛天) 등 동물계 문양을 대칭으로 곁들여서 긴 공간을 균형 있게 처리하였고, 수막새기와도 동일하지만 주연에 연주문을 찍어 더욱 장식효과를 냈다. 고려시대에는 신라 양식을 계승한 당초문계의 문양이 장식되나 형태의 변화와 함께 햇무리무늬라는 새로운 문양이 나타나고 범자(梵字)가 등장하였다. 조선시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고려시대 불교사
    한국 불교사에서 가장 큰 변화를 일으킨 것은 고려시대의 불교이다. 현재 한국 불교의 성격은 이때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신라 말에 전래한 선은 고려에 와서 독자적인 전개를 해서 9산선문을 형성했고, 현재 조계종의 원류가 이 시대에 확립되었다. 그리고 신라에 없었던 천태종이 성립되었고, 선종과 함께 교종도...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음악 音樂
    연주전통에 의하여 파생된 곡임을 고려하여 볼 때, 한국음악에 있어서 즉흥연주의 전통이란 매우 중요한 음악적 특징으로 설명된다. 한국음악의 역사 상고시대의 음악 상고시대는 북쪽의 부여(夫餘) · 옥저(沃沮) · 예(濊)와 남쪽의 마한 · 진한 · 변한이 병존하였던 이른바 삼한시대로, 대략 3세기 이전을 가리킨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꽃꽂이
    확립된 또 하나의 전통기법인 ‘세이까(生花)’도 훨씬 앞선 연대인 우리 역사 속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7세기 통일신라시대의 십일면관세음보살입상...일본꽃문화에 크게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2. 고려시대의 꽃꽂이] ≪고려사≫ 명종 14년(1184)조에 “왕이 이미 기복(起復)하였으니 예절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나전칠기 螺鈿漆器
    신라시대 것이라는 점에 비추어 보면 평탈의 장식 칠기는 상당기간 제작되어 오면서 한국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평탈의 존재로 미루어 보거나 고려시대 나전의 발달된 모습으로 보아 나전칠기가 이미 통일신라시대에 존재하였고 그것이 점차 숙련되어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독자적인 양식을 이룩하여 중세...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김치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음식 중 하나. 예전에는 김치를 ‘지’라고 불렀다.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서 김치 담그기를 ‘감지’라고 했고, 1600년대 말엽의 요리서인 〈주방문(酒方文)〉에서는 김치를 ‘지히(沈菜)’라 했다. 지히가 '팀채'가 되고 다시 '딤채'로 변하고 '딤채'는 구개음화하여 '짐채'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