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원 法院
    군사재판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법회의가 있고, 군법회의에는 보통군법회의와 고등군법회의가 있으며, 법의 규정에 따라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다. 대법원은 최고법원이며, 대법원장을 포함하여 14인의 대법관을 둔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대법관이 아닌 법관을 재판관으로 둘 수 있는 2원적 구조를 취하고 있다...
    시대 :
    현대
    성격 :
    법제, 사법기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독일의 정치와 사회
    다르다. 주 법원이 연방 법원의 간섭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권한을 행사하는 영역이 있기는 하지만, 연방 법원은 각 주 법원이 국법을 동일하게 적용하는지를 감독한다. 연방최고법원최고 법원으로 하며 민사·형사 소송을 관장하는 일반 법원 외에, 행정·노동·사회보장·조세 문제를 관할하는 4개의 전문 법원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독일
  • 프랑스 회계법원 Chambre des Comptes
    원래 왕이 주재하는 최고법원(파를망)의 한 부서였던 이 법원은 1320년에 별개의 독립기관으로 확립되었다. 조직은 왕의 최고법원을 본떠 1명의 수석법관과 여러 명의 법관들, 변호사, 판사 및 검찰관이 있었다. 이 회계법원의 공직은 처음에는 임명되었지만 16세기에 이르자 매매되거나 세습되었다. 이 법원은 단순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일본 최고재판소 日本最高裁判所, Supreme Court of Japan
    최고재판소는 독일의 연방헌법법원과 마찬가지로 사법심사권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주로 미국의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 일본 최고재판소는 대심원의 후신이다. 1875년에 창설된 대심원은 메이지 헌법[明治憲法 : 1889]에 따라 1890년에 형사 및 민사 사건을 최종 심리하는 최고법원으로 개편되었다. 대심원은 법무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사법부 司法府
    민사지방법원과 형사지방법원 및 가정법원의 지원은 2개 또는 3개를 합하여 1개의 지원으로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대법원과 각급 법원은 사법관할권을 분장하게 된다. 대법원은 최고법원이며, 대법원장과 대법원판사로 구성되지만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대법원판사가 아닌 법관을 둘 수 있다. 대법원에는 전원합의체...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기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법원(法源)
    법원이 구체적인 재판을 통하여 법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흠결된 법을 보충하며 법을 사회의 변화에 맞게 조절해가는 것은 극히 중요한 것이다. 특히 최고법원(대법원)의 판결에서 명확하게 선언된 법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의견은 하급법원의 장차의 재판이나 나아가서는 일반인들의 법생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법
  • 상소 上訴, appeal
    달라지는 나라들도 있다. 프랑스의 경우 상소법원은 사실문제에 관한 사건들을 재심하며, 법률의 해석에 관한 상소는 파기원(破棄院 Cour de Cassation:최고법원)이 심리한다. 한편 국참사원(國參事院 Conseil d' État)은 사실문제에 관한 상소와 별개의 행정법원체계로부터 나오는 법률의 해석에 관한 상소를 모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대법원 大法院, Supreme Court of Korea
    개요 대한민국 최고법원이자, 사법부의 최고 기관. 헌법과 법률의 구체적 해석과 적용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의 심급제도는 3심제를 원칙으로 하나, 헌법상 요구되는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법률로서 2심제를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최종심은 반드시 대법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비상...
    설립 :
    1899년 (평리원)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19
    사이트 :
    http://www.scourt.go.kr/supreme/supreme.html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 헌법
  • 영국고등법원 英國高等法院, High Court of Justice
    1. 11~부활절 전 수요일), 부활제(부활절 후 둘째 화요일~5월 마지막 월요일 전주의 금요일), 트리니티(5월 마지막 월요일 후 둘째 화요일~7. 31) 등 1년에 4회 개정기가 있다. 고등법원최고법원(Supreme Court of Judicature)의 일부로, 항소법원(Court of Appeal)의 바로 밑에, 형사법원(Crown Court)의 위에 위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파를망 Parlement
    을 도전할 수 없는 권위로 간주되도록 하여 결국 왕권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루이 9세는 파를망을 특별항소법원에 설치했다. 특별항소법원은 현재 파리에 위치한 근대 최고법원 자리에 있었다. 특별항소법원은 '그랑 샹브르'(대법정)로 불리면서 파를망의 핵심적인 역할을 그대로 유지시켰다. 이밖에 14세기에 신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프랑스
  • 법원의 조직
    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하며, 법원최고 법원인 대법원과 각급 법원으로 조직된다(헌법 제101조). 법원의 종류에는 대법원·고등 법원·지방 법원·가정 법원이 있다. 지방 법원은 필요에 따라 이를 민사 지방 법원과 형사 지방 법원으로 나눌 수 있다. 지방 법원과 가정 법원의 사무의 일부를 처리하게...
    도서 다음백과
  • 대법원 大法院, Supreme Court of Korea
    내용 오늘날 국가조직은 삼권분립을 원칙으로 하여 입법권은 국회에, 행정권은 행정부에, 사법권은 법원에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대법원은 법원최고기관이며, 최고법원이다. 「헌법」과 「법원조직법」에 의하여 설치된 독립된 기관으로서, 대법원장을 포함한 14인의 대법관으로 구성된다. 대법원장은 국회의 동의...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기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