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쟁기 plow
    나무, ③ 한마루는 성에와 술을 연결하는 나무, ④ 보습은 술 끝에 끼우는 쇠로, 삽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⑤ 볏은 보습 위에 고정시키는 쇠판, ⑥ 보는 멍에로부터 고정된 봇줄을 고정시켜 소의 뒷다리가 봇줄에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⑦ 봇줄은 멍에의 양끝에서 아래로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소의 등 위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무정부주의 無政府主義, anarchism
    법규를 부인하고 재산을 압제의 수단으로 간주하며 죄란 사유재산과 권력에 따르는 사회적 산물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만약 인간이 법과 사회체계의 멍에로부터 벗어나 상호부조의 원리를 실천하게 된다면, 사회성과 타고난 기질의 자유로운 발전에 기인하는 진정한 의미의 정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
  • 말치레
    잡지 및 신라본기에 나타난 치레는 12종으로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① 능직(綾織)이나 견직(絹織) 요, ② 금꽃비단 방석, ③ 견포(絹布) 말굴레, ④ 견직 멍에, ⑤ 금·은·동으로 만든 말고리, ⑥ 금·은·동으로 만든 말방울, ⑦ 무늬비단 휘장, ⑧ 대발 휘장, ⑨ 자단향(紫檀香) 길마, ⑩ 털안장 언치, ⑪ 금·동...
    성격 :
    문화
    유형 :
    물품
    용도 :
    장식활동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반자
    꾸미는 데도 이용되고 있다. 고미천장의 고미혀는 드러나게 두는 것이 보통이다. 각(桷)과 같은 고미혀가 서까래 걸리듯 하는데 중앙에 설치한 멍에에 의지한다. 멍에와 고미혀가 수평으로 결구되면 착시현상으로 중앙부분이 늘어진 듯이 보이게 되므로 멍에를 올려 걸어 고미혀들이 중앙에서 솟은 듯이 보이게 만든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주생활
  • 선박
    飛荷 · 比牙 등)’라 이르고, 선수부의 이물비우는 둥그런 모양을 이루도록 하고, 선미부의 고물비우는 직선형으로 하여 뒤쪽으로 기울인다. ④ 배 위에 ‘멍에[駕 또는 駕木]’라고 하는 양재(梁材)를 얹는다. 멍에는[그림 2]와 [그림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최상 삼판인 동두틈을 꿰뚫고 놓이는데 그...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예레미야 Jeremiah
    잘 되기를 바라라고 권고했다. BC 594년에 주변국들의 밀사들이 유다로 와서 힘을 모아 바빌로니아에 대해 반란을 일으키자고 설득했을 때, 예레미야는 목에 멍에를 메고 돌아다니면서, 유다와 주변국들을 바빌로니아 왕의 손에 넘겨준 이는 야훼이기 때문에 그들은 반드시 바빌로니아의 멍에를 메게 될 것이라고 외쳤다...
    출생 :
    BC 650(?) 이후, 유다 아나돗
    사망 :
    BC 570경, 이집트
    국적 :
    성서
  • 써레
    끝이 뾰족한 이 6∼10개를 빗살처럼 나란히 박고, 위에는 손잡이를 가로대었다. 또, 토막나무에 대각을 이루도록 긴 나무를 박고 여기에 봇줄을 매어 소의 멍에에 잡아매었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봇줄을 매지 않고 양 나루채 자체가 소의 멍에까지 이르도록 길게 만든 것을 쓰기도 한다. 몸체는 보통 소나무로...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역축 役畜, draft animal
    축을 효과적으로 부리기 위해서는 장구가 필요하다. 장구는 동물의 근력을 사람의 손으로 조정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구를 말한다. 소의 경우에는 등에 메우는 멍에가 장구에 연결되며, 말의 경우에는 안을 채운 단단한 목줄이 쓰인다. 장구 자체는 멍에나 목줄을 쟁기에 연결하는 몇 가닥의 밧줄에 불과할 수도 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을자모양동기 동제을자형관금구(銅製乙字形管金具), 乙字─銅器
    이 가운데 평양 상리유적 출토의 을자모양동기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17.5cm, 18.4cm, 18.2cm 이다. 묘광 내에서는 대체로 권총형의 멍에머리[車衡頭]·고깔동기[笠形銅器: 삿갓모양동기]·통모양동기[筒形銅器]등의 수레 부속품들과 함께 출토되고 있다. 중국의 전한대(前漢代)부터 사용...
    시대 :
    선사/철기
    성격 :
    동기, 수레 부속품
    유형 :
    유물
    재질 :
    청동
    제작시기 :
    초기철기시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창방
    팔작이나 우진각 등 추녀가 있는 집에 주로 해당되며, 이 때는 익공의 운두에 맞는 큰 부재를 써서 한꺼번에 다듬어야 한다. 특수한 쓰임으로, 멍에창방·별창방이 있다. 멍에창방은 중층 이상의 건물에서 상층기둥의 아래쪽을 연결해주면서, 하층지붕 서까래의 뒤뿌리가 걸린다. 별창방은 뜬창방이라고도 하는데...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주생활
  • 대천 한내돌다리 한내돌다리, 大川 한내돌다리
    검은 사암을 제외하면 모두가 화강암으로 다듬어진 교각이며, 가장 긴 시렁돌의 길이는 454㎝이다. 다리의 폭은 238㎝로 3개의 시렁돌을 맞대어 만들었다. 멍에돌의 길이는 215∼310㎝였으며, 다리의 높이는 120㎝ 정도로 복원되었다. 다리의 축조방법은 장축 길이가 30∼100㎝쯤 되는 비교적 크지 않은 굄돌을 모래...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시스템서포트설치원
    받침대), 잭베이스(하부에 설치하여 수직재의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게 하는 조절형 받침대), 장선(거푸집 널 하부에 고정하고 상부하중을 멍에에 전달하는 부재), 멍에(장선을 지지하고 상부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기 위하여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하는 부재), 가새(작용하는 횡력에 견딜 수 있도록 수평재와...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6개월 초과 ~ 1년 이하
    작업강도 :
    힘든 작업
    작업장소 :
    실외
    육체활동 :
    균형감각, 웅크림, 손사용, 시각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관련없음
    직무기능(사물) :
    수동조작
    고용직업분류 :
    [7019]기타 건설 구조 기능원
    표준직업분류 :
    [7829]기타 건설 관련 기능 종사원
    표준산업분류 :
    [F421]기반조성 및 시설물 축조관련 전문공사업
    조사연도 :
    2014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1건

멍에
멍에 / 달구지
달구지
멍에섬
멍에섬
멍에섬
멍에섬
멍에섬
멍에섬
멍에섬 서쪽
멍에섬 해도
멍에섬 해도
멍에섬 해도
멍에섬 동쪽
멍에섬 해도
멍에섬 해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