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달구지
    말이나 소가 끄는 수레.|내용 본디 이름은 달구지이지만, 소가 끌면 ‘우차(牛車)’, 말이 끌면 ‘마차(馬車)’라고 부르며, 소가 끌어도 ‘마차’라고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달구지는 바퀴 수가 두 개와 네 개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앞의 것은 북한지방에서, 그리고 뒤의 것은 중부 이남의 평야지대에서 많이...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달구지
    말 또는 소가 끄는 수레의 하나.|소가 끌면 '우차', 말이 끌면 '마차'라고 부르며, 달구지 바퀴의 수효에 따라 네바퀴달구지·두바퀴달구지로 구분할 수 있다. 네바퀴달구지는 평야지방에서, 두바퀴달구지는 길이 험한 산악지대나 북한지방에서 쓰였다. 두바퀴달구지는 소가 끄는데 소의 등에 길마를 얹지 않고 쳇대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달구지 Bullock cart, 牛車
    달구지는 소나 말이 끄는 짐수레를 말한다. 일반 수레와 모양은 같지만 사람이 끄는 것은 손수레라고 부른다. 소달구지는 우차(牛車), 말달구지는 마차(馬車)라고도 부르고 둘을 합쳐 우마차라고 한다. 교통에 사용되는 바퀴의 발명은 유럽에서 처음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바퀴가 달린 차량의 증거는 기원전 제4천년...
    도서 위키백과
  • 달구지 lupine clover
    개요 산지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모여 나며, 비스듬히 서고, 높이 10-6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3-7장으로 된 손바닥 모양 겹잎이다.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3-4cm, 폭 0.6-1cm,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턱잎은 잎자루에 붙어서 줄기를 감싸며, 막질이다...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토끼풀속
    서식지 :
    높은 산의 풀밭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L.
    국내분포 :
    북부지방, 경기도, 제주도
    해외분포 :
    러시아(사할린,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중국(만주), 유럽
  • 달구지 Lupine clover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땅속에 원주형의 굵은 뿌리가 있다. 생육환경 숲가장자리, 관목림, 습지. 용도 중요한 목초중의 하나며 밀원식물이다. 관상용, 녹비로도 될 수 있다. 전초를 호흡기병, 임파선결핵, 치질, 신장염, 당뇨병, 황달, 버짐 등에 쓴다. 유사종 • 제주달구지풀 : 한라산정 근처에서 자라며, 전체가 작다...
    분류 :
    장미목 > 콩과 > 토끼풀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L.
    개화기 :
    8월, 9월, 7월, 6월
  • 제주달구지
    짧다. 열매 협과는 선상 타원모양으로 4-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높이는 약 15cm이며 줄기는 서고 전체에 털이 없다. 여러대가 모여 나와 비스듬히 자라며 보통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용도 관상용(정원수)으로 식재한다. 보호방법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특징 달구지풀보다 전체가 작다...
    분류 :
    장미목 > 콩과 > 토끼풀속
    꽃색 :
    붉은색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f. alpinus (Nakai) M.Park
    개화기 :
    7월, 6월, 8월, 9월
  • 개선갈퀴 조선갈퀴, Three-flower bedstraw
    개요 숲 속의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부분은 누워 자라고 윗부분은 거의 곧게 자라며, 높이 20-40cm, 네모지며, 모서리에 밑을 향한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거나 드물게 없다. 잎은 6장씩 돌려나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2-2.6cm, 폭 0.6-1.2cm, 가장자리에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다. 꽃은 5-7월에...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꼭두서니목 > 꼭두선이과 > 갈퀴덩굴속
    서식지 :
    숲 속의 습한 곳
    학명 :
    Galium trifloriforme Kom.
    국내분포 :
    평안북도, 경기도, 전라북도, 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
    러시아(극동), 일본, 중국(동북부), 북미
  • 개선갈퀴 달구지갈퀴
    분포지역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20~50cm이다. 잎 잎은 6개가 돌려나기하며 그 중 2개는 정상엽이고 4개는 탁엽에서 발달한 것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5~4cm, 폭 7~10mm로서 끝이 둥글며 주맥 끝이 돌출하고 밑부분이 좁으며 주맥이 대개 평활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이 거의 없다...
    분류 :
    용담목 > 꼭두서니과 > 갈퀴덩굴속
    꽃색 :
    백색
    학명 :
    Galium trifloriforme Kom.
    개화기 :
    8월, 7월
  • 제주달구지
    생물학적 특징 다년생 초본, 높이는 10-30cm, 털은 없음 잎은 호생, 장상복엽, 소엽은 3-5개, 장타원형, 길이 10-15mm, 폭 3-7mm, 예거치연, 엽병은 짧음, 탁엽은 초상형 꽃은 6-8월 홍자색 개화, 산형상 꽃받침은 5개, 화관은 접형화관 열매는 협과, 8~9월 결실. 용도 약용 : (지상부) 진정, 지혈 등에 사용한다. 특기...
    분류 :
    콩과(Leguminosae)
    서식지 :
    해발 1,500m 이상의 고지대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L. var. alpinum Nakai
    본초명 :
    야화구(野火球)
    분포지역 :
    한국(제주도)
    근연식물 :
    달구지풀
  • 제주달구지 산달구지풀
    잎이 달구지 굴대를 닮은 제주달구지풀은 달구지풀의 한 종류로 달구지풀보다는 약간 작다. 달구지풀은 키가 30㎝ 정도 되는데, 제주달구지풀의 키는 약 15㎝이다. 달구지풀은 꽃도 예쁘지만 특히 비파 모양의 잎이 꽃만큼이나 아름답다. 또한 잎의 모양이 차축, 즉 달구지의 굴대를 닮았다고 해서 달구지풀이라고 한다...
    분류 :
    콩과
    서식지 :
    반그늘 혹은 햇볕이 많이 드는 곳의 유기질 함량이 많은 곳
    꽃색 :
    짙은 홍색
    크기 :
    키는 약 15㎝ 정도
    학명 :
    Trifolium lupinaster f. alpinus (Nakai) M. Park
    용도 :
    관상용, 밀원식물
    분포지역 :
    제주도 한라산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6~9월
    결실기 :
    8~9월경
  • 달구지 Trifolium lupinaster, シャジクソウ
    생물 분류 달구지풀은 한국 북부 지방의 풀밭에서 많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원산이며,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중부, 북부 지방의 높지 않은 산지 초원에 자라는 풀로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북도의 산지 초원에서도 자라고 있으나 지금은...
    도서 위키백과
  • 수레
    한편, 1796년에 낙성된 수원성의 축성 경위를 적은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의 기록에는 평차(平車) · 발차(發車) 따위가 보인다. 평차는 일반 달구지보다 간단하며 발차는 평차보다 작고 통나무 바퀴를 달아 놓았다. 이러한 수레들은 일상용이라기보다 장기간에 걸치는 공사장에서 필요에 따라 만들어 쓴 것...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0건

달구지
달구지
달구지
달구지
달구지
달구지
소달구지
소달구지
멍에 / 달구지
달구지풀
달구지풀
달구지풀
달구지 부분명칭도
제주달구지풀
제주달구지풀
제주달구지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