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승육정참회 大乘六情懺悔서지사항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는 1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정신수대장경 45권에 수록된 글을 저본으로 하여 교감한 글이 한국불교전서 1권에 수록되어 있다. 대정신수대장경 수록본은 겸창(鎌倉) 시대의 사본으로 경도(京都) 보보리원(寶菩提院) 소장본을 저본으로 한 것이다. 내용 구체적으로 단락을...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실담 悉曇것이다. 실담은 인도에서 중국에 전래된 범어 문자를 총칭하며, 특히 동아시아에서는 중국 당대(唐代)에 지광(智廣: 760-830?)의 『실담자기(悉曇字記)』[대정신수대장경(이하 大正藏) No.2132]가 저술되고, 이 책이 일본에 전해져 오늘날 실담학을 이루는 모체가 되었다. 내용 『실담자기』 인도 고전어인 범어(梵語...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금광명최승왕경약찬 金光明最勝王經略贊있다. 특히, 호법과 문두루도량(文豆樓道場)의 공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독창적인 사상체계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지만, 간결하면서도 정확하게 『금광명경』의 호국불교적 성격을 밝히고 있다. 대정신수대장경간행회(大正新修大藏經刊行會)에 대장경 미수록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 시대 :
- 고대/남북국
- 저작자 :
- 경흥
- 창작/발표시기 :
- 신라시대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종수 일우(一愚), 宗壽을 전해받았고, 조계종 종정 효봉(曉峰)으로부터 조계종의 전계화상(傳戒和尙)을 위촉받았다. 1964년 파계사주지로 취임하여 이 절에서 대정신수대장경(新修大藏經)·고려대장경·卍속장경(續藏經)에 수록된 율전(律典)을 섭렵하여 계율정립에 힘을 기울였다. 또한, 매년 봄에 통도사·범어사·쌍계사·송광사 등에서...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8년
- 사망 :
- 1985년
- 경력 :
- 파계사 주지, 고운사 주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율사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본관 :
- 달성(達城)
-
금광명최승왕경 금광명경, 金光明最勝王經明最勝懺儀)」는 「법화삼매참의(法華三昧懺儀)」와 함께 현재 전래되는 불교의식의 기본이 되고 있다. 이 경에 대한 우리 나라 승려의 주석서는 9종이 있다. 이들 중 유일한 현존본이라고 전해지는 『금광명최승왕경약찬』은 대정신수대장경간행회(大正新修大藏經刊行會)에서 대장경 미수록본으로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
- 성격 :
- 불교경전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화엄경교분기 화엄오교지관(華嚴五敎止觀), 華嚴經敎分記사항 전체 1권.『고려대장경』에는 고려 승려 균여(均如)의 주석인『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와 함께 실려 있으며, 이 외에는 일본의『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에 『화엄오교지관』이란 이름으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중심을 이루는 내용은 화엄 오교관문(五敎觀門)에 진입하는 순서를 밝힌...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두순(杜順)
- 창작/발표시기 :
- 7세기
- 성격 :
-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불분권 1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
영천 묘봉암 목우자수심결 수심결(修心訣), 永川 妙峰庵 牧牛子修心訣우리나라 불교 수행에 가장 핵심적인 사상을 담고 있는 대표적인 책 가운데 한 권으로, 중국의 『명장(明藏)』, 『빈가대장경(頻伽大藏經)』,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에도 수록되어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전기 불교학과 불교 사상사를 비롯해 간경도감본 및 언해본 연구와 사찰 목판, 인쇄...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신편제종교장총록 속장목록(續藏目錄), 新編諸宗敎藏總錄의 필사본이 있으며, 간본으로는 1693년(숙종 19)에 간행된 것과 이를 바탕으로 삼고 다른 필사본과 대조하여 『대일본불교전서(大日本佛敎全書)』와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에 수록한 것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의천은 1073년(문종 27)에 「대세자집교장발원소(代世子集敎藏發願疏)」를 짓고 17년 동안...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반열반경소 권9~10 大般涅槃經疏 卷九~十책이 2권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표기가 잘못된 것이거나 또는 약소(略疏)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고려교경은 아니나 교장의 흔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고, 내용 또한 『대정신수대장경』이나 『대일본속장경』에도 수록되어 있지 않은 장소(章疏)로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