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팔리 삼장
    불교에서는 경전이 성립하게 된 역사적 사건을 결집이라 한다. 제자들이 기억하고 있는 가르침을 일제히 읊는다는 뜻에서 원래 합송(合誦)이라 했고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을 때 불설로 정하는 방법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이 결집방식은 불교 경전의 정확성과 확고한 권위를 대변한다. 전설에 의하면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팔리 삼장 Tipitaka
    남방불교 각 부파의 모든 전적. (산). Tripiṭaka.|대승임을 자처하는 부파들은 이들을 경멸의 뜻으로 소승(小乘)이라고 불렀다. 대승불교에서 이들 전적은 마치 그리스도교의 〈구약성서〉처럼 경전의 전신(前身)으로 생각된다. 거의 모두가 인도에서 석가모니 시대 이후 500년 사이(BC 500년경~서력기원초)에 씌어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대장경 (관련어 팔리 삼장) 일체경, 大藏經
    불교 성전, 즉 불전의 총칭인 동시에 그 불전들을 집합한 총서.|일체경이라고도 하고 약칭하여 장경이라고도 한다. 대장경에 수록되는 불전이란 경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붓다가 직접 설한 것으로 알려진 경(經)과 율은 물론이고, 그것들에 대한 일차적인 주석인 논과 이 논에 대한 주석인 소(疏) 등을 비롯하여 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팔리 삼장 (관련어 팔리삼장)
    팔리 삼장 팔리 삼장 또는 티피타카(띠삐따까, lang) 또는 팔리어 삼장은 3가지로 분류된 팔리어 불경을 함께 부르는 말이다. 삐따카는 광주리(바구니)라는 뜻이다. 3가지 분류는 각각 위나야 삐따까 숫따 삐따까 아비담마 삐따까 이며, 삼장(三藏)으로 한역(漢譯)되었다. 팔리에는 성전이라는 뜻도 있어서, 팔리라는 말...
    도서 위키백과
  • 삼장 三藏, Tipitaka
    三藏敎)라 하고, 삼장학자라 할 때의 삼장은 소승 부파불교의 경·율·논을 가리키는 것이 통례이다(팔리 삼장). 그리고 현장삼장(玄裝三藏) 또는 의정삼장(義淨三藏)이라 할 때의 삼장은 삼장사(三藏師)의 약칭이며 삼장성전 즉 '일체의 성전에 밝은 스님'의 뜻으로 최고의 학승을 일컫는 영예스런 칭호이다. 〈대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팔리 율장 Vinaya Pitaka
    율장은 전통적인 팔리 삼장 중에서 가장 초기에 형성된 가장 작은 부문으로서, 석가모니가 제정했다는 계율에 따라 비구와 비구니의 수도 생활 및 일상사를 규정하고 있다. 율장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 사이의 대화를 기록한 경장이나 경장에 대한 주석서로 구성된 논장에 비해 그 내용이 종파에 따라 크게 다르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팔리 문학 Pali literature
    주로 상좌부 불교의 정통적 경전들과 그 경전들에 대한 주석 문헌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팔리 삼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팔리 율장 律蔵 (パーリ), 巴利律藏
    팔리 삼장 팔리 율장 또는 위나야 삐따까(Vinaya Piṭaka)는 팔리어 불경 중 계율에 관한 부분을 묶은 것으로, 팔리 삼장의 첫번째 묶음이다. 숫따비방가 마하비방가 227계 — 비구계 빠라지까(Pārājikā, 바라이(波羅夷)) 4계 Saṅghādisesa(僧残法) 13계 Aniyata(不定法) 2계 Nissaggiya pācittiya(捨堕法) 30계...
    도서 위키백과
  • 팔리 경장
    팔리 삼장 팔리 경장 또는 숫타 삐따까는 팔리어 불경 중 경전을 모은 것으로, 팔리 삼장 중 두번째 묶음이다. 경의 길이에 따라 5개로 나뉘어 있어 5부(五部)라고도 한다. 대승불교 대장경 경장과 달리 주로 붓다가 생전에 말한 이야기들로 이루어져있다. 팔리 경장(숫타 니까야)는 길이에 따라 5개로 분류되었으므로...
    도서 위키백과
  • 팔리 논장 Abhidhamma Piṭaka, 論蔵
    팔리 삼장 팔리 논장 또는 아비담마 삐따까는 팔리어 불경 중 중요 논서를 모은 것으로, 팔리 삼장 중 마지막 3번째 묶음이다. 7개 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7론(七論)이라고도 하며, 이 7개 이외의 논서는 모두 주석서인 앗타까타나 장외(藏外)로 취급된다. 7개의 논서로 이루어져 있어 7론(七論)이라고도 한다. 담마...
    도서 위키백과
  • 팔리어 대장경 Pali Canon, パーリ仏典
    불 교 > 불교의 성전 > 파리어 성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팔리에는 성전이라는 뜻도 있어서, 팔리라는 말 자체가 팔리 삼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고전적으로 팔리 문헌은 팔리, 즉 삼장과 앗타까타, 즉 주석서 둘로 분류하기도 했다. 팔리어는 본래 서부 인도의 평민계층에서 쓰던 속어(俗語)이다. 고타마 붓다는...
    도서 위키백과
  • 대장경 삼장(三藏), 大藏經
    이다. 삼장, 일체경 그리고 대장경이란 말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두 모아 수록한 것을 말한다. 대장경은 현재 사용된 언어에 따라 팔리어 대장경, 한역 대장경, 티베트어 대장경, 몽골어와 만주어 대장경 등이 전래되고 있다. 내용 대장경은 부처님이 돌아가시고 난 뒤 제자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집대성할 필요를 느껴...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