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팔만대장경 국보 제 32호, 八萬大藏經대장경을 이웃 나라에 주었으면 장경각도 남아 있지 않았을 것 합천 해인사에는 국보 32호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 있습니다. 1995년 12월 9일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국보 52호)가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날입니다. 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도 중요하지만 실은 대장경이 더 중요하지요. 하마터면...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陜川 海印寺 大藏經板해인사 대장경판전에 보관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 대장경. 1236년 몽골의 침입을 불력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호국불교적인 의미에서 당시 최우를 중심으로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251년에 완성했다. 경판은 남해지방에서 많이 나는 후박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그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보통 세로 30cm, 가로 69.5cm 정...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
고려시대 불교사, 고려의 대장경 조판고려 때 조판된 대장경(大藏經)은 두 개인데, 하나는 초조대장경이고 다른 하나는 재조대장경이다. 현종 2년(1011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왕은 나주로 피난을 갔다. 이때 부처의 가피력으로 적을 물리치고자 대장경을 판각하기 시작해서 선종 4년(1087년)에 한반도 최초의 대장경을 완성했다. 이를 초조대장경이라 한다. ...
-
대장경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관련어 고려대장경)대장경(大藏經)은 경 · 율 · 논의 3장과 승려들의 저술과 어록(語錄) 등을 모은 총서를 말한다. 트리 피타카(tri-piṭaka)에서 tri는 ‘3’, piṭaka는 ‘바구니’라는 뜻이다. 고대 인도인들은 이 세 가지를 나뭇잎에 새겨 각각 바구니 속에 보관했기 때문에 3장이라 한다. 이 3장이 중국, 티베트, 한국, 일본, 그리고 ...
-
-
초조대장경 初雕大藏經중국 북송(北宋)의 관판 대장경(官版大藏經: 971∼983)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간행한 한역(漢譯) 대장경이다. 송나라 태조에 의해서 간행한 대장경이 991년 고려에 전래되자, 고려는 커다란 자극을 받고 대장경 간행을 준비하였을 것이다. 그러던 중 993년(성종 12)부터 거란의 침략이 시작되었고 1011년에는 현종...
- 시대 :
- 고려
- 성격 :
- 불교경전
- 유형 :
- 문헌
- 제작시기 :
- 고려 현종 연간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성암고서박물관, 호림박물관, 호암미술관, 개인 소장, 일본의 경도 난젠지(南禪寺)와 대마도
-
고려 팔만대장경 완성고려대장경이 15년 만에 완성돼 강화도성 서문 밖 판당(板堂)에 모셔졌다. 81,352장의 경판 안팎에 모두 글자를 새겨 16만여 쪽을 이룬다고 해서 ‘팔만대장경’으로도 불린다. 팔만대장경은 초조대장경(초조대장경 제작 시작 참조)을 기본으로 삼아 송과 거란의 대장경과 비교해 잘못된 것을 고치고 빠진 것은 보완해...
- 시대 :
- 1251년
- 국가/대륙 :
-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