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살영락본업경소

다른 표기 언어 菩薩瓔珞本業經疏

요약 〈보살영락본업경〉에 대한 원효의 주석서.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 新編諸宗敎藏總錄〉에 의하면 상·중·하의 3권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 하권만이 남아있다.

〈원효전집〉·〈한국불교전서〉·〈대일본속장경 大日本續藏經〉·〈대정신수대장경 大正新修大藏經〉 등에 수록되어 있으며, 〈동문선 東文選〉 제83권에 이 책의 서문이 수록되어 전하고 있다.

이 책은 〈보살영락본업경〉에 대한 유일한 주석서이나 하권만이 현존하므로 전체적인 모습은 알 수 없다. 이 하권에서는 8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보살영락본업경〉의 제3품인 〈현성학관품 賢聖學觀品〉의 후반에서부터 해석하고 있다.

원효는 대립적인 관점을 떠난 중도(中道)의 경지에서는 무엇을 지켜야 한다는 규범으로서의 계율은 있을 수 없다고 한다(二諦中道 乃無可道之律). 즉 이와 같은 경지에서는 어떠한 행위를 해도 도리에 거슬리지 않는 자유로운 행위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신과 타자, 있음과 없음 등의 양변(兩邊)에 집착하여 스스로 자유롭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외적 강제로서의 계율을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형식적인 계율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보살계는 이제중도(二諦中道)의 기반 위에서 가능하다고 한다.

원효의 다른 현존 저술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는 이 책은 원효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불교

불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보살영락본업경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