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종전협정 조인식
    조선 영토를 점령했다”고 못박으며 건준은 물론 상하이임시정부마저 하나의 정파로만 인정했다. 그러고는 조선총독부의 기구와 인력을 당분간 유지하다가 군정을 실시했다. 한편 8월 11일 웅기에 상륙한 소련군은 치스차코프 대장 명의의 포고문을 통해 ‘해방군’을 자처하며 직접 군정에 나서지 않고 공산주의자들을...
    간행/발행 :
    매일신보 호외(1945년 09월 10일)매일신보(1945년 09월 11일)
  • 태종(조선) 太宗
    정종이 물러난 후 왕위에 올랐다. 태종은 이색 계열의 인물을 중용하여 중앙 행정 기구의 개혁에 착수하여 6조 직계제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였으며 사병을 완전히 혁파하고 군정 체제를 정비하였다. 또한 호패법을 실시하여 세금과 호구 파악을 안정시켰으며 노비중분법을 시행하여 오랜 노비 소송을 종결시켰다...
    도서 다음백과
  • 유형유고 維馨遺稿
    효정전의 화재에 대해 범인을 확실히 단정할 수는 없으나 요망한 무당의 소행일 가능성이 많다고 보고하고 있다. 책문인 「삼정책(三政策)」은 전정(田政)·군정(軍政)·환곡(還穀) 등 삼정의 문란이 극심함을 말하고, 개선책을 건의한 글이다. 특히, 군정에 있어서는 군적(軍籍)의 연혁에서 시작하여 역사적 변천 과정...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면우
    창작/발표시기 :
    1907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6권 3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 농지개혁 農地改革
    규정한 것으로 임시적인 정책에 지나지 않았다. 귀속농지는 미군정이 1946년 2월 21일 신한공사(新韓公社)를 설립하여 접수·관리하다가, 1948년 3월 22일 군정법령 제172호로 신한공사를 해체하고 '중앙토지행정처'(군정법령 제173호)를 설치하면서 분배를 시작했다. 귀속농지의 분배조건은 호당 2정보를 초과하지 않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토지
  • 리쥔 李俊, Li Jun
    해방 선봉대에 참가한 적이 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산시성의 팔로군(八路軍)이 만든 학교에서 수학하다, 1938년 옌안(延安)으로 건너가서 항일군정대학(抗日軍政大學)에 들어갔다. 1939년 항일군정대학을 졸업한 뒤, 1940년부터는 팔로군과 해방군에서 주로 문예 선전 공작활동에 복무하면서 문화 교원...
    출생 :
    1922년 3월 2일, 중국 산시(山西)성 윈청(运城)
    사망 :
    2013년 1월 7일
    데뷔 :
    <회족부대>(回民支隊, 1959)
  • 중추부 中樞府
    堂上官)으로서 소임이 없는 사람들을 소속시켜 대우하던 기관이다. 조선은 건국초에 고려의 관제를 거의 그대로 이어받아 왕명출납·병기(兵機:군사기밀)·군정·숙위·경비(警備)·차섭(差攝:행정사무 분담) 등의 일을 맡는 중추원(中樞院)을 설치했다. 관원으로는 정2품의 판사(判事) 1명을 장관으로 하여 종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국방부 MND, 國防部
    침략으로부터 국가를 보위하고, 평화통일을 뒷받침하며, 지역안정과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정부행정기관이다. 국방부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며, 국방분야에 대해 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을 보좌하는 것이다. 세부 업무로는 국방관계 내·외 귀빈의 초청과...
    설립 :
    1948년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사이트 :
    국방부 홈페이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미소 공동위원회 미국과 소련의 대립 그리고 남북 분단
    임시정부 수립, 미소 공동위원회 속개, 토지 개혁과 중요 산업 국유화, 친일파 및 민족 반역자 처벌조례 성안 등 좌우합작 7원칙을 발표했다. 하지만 미 군정이 12월 좌우 합작위원회와 한민당 인사를 중심으로 하고 김규식을 의장으로 하는 남조선 과도입법의원을 구성하자, 여운형을 비롯한 중도 좌파는 남한만의 입법...
    시대 :
    1946년
  • 남산의 봉화
    포, 서쪽은 세 포, 남쪽은 여섯 포, 북쪽은 한 포가 배치돼 있으며 밤마다 기병 두 명이 시간 보고를 전하고 야간 순찰을 한다. - 《만기요람(萬機要覽)》 <군정> 편 남산은 봉수대가 다섯 개 있고 봉수대 아래로는 민가들이 부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양부는 행정 조직상 5부(동부·서부·남부·북부·중부) 52방으로...
    관련 장소 :
    남산
  • 제1차 왕자의 난 스스로 권좌를 움켜 쥔 태종 이방원
    또 도평의사사를 의정부(議政府)로, 중추원(中樞院)을 삼군부(三軍府)로 고치고 양쪽을 겸직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로써 정무는 의정부가, 군정은 삼군부가 담당해 정무와 군정을 분리시켰다. 이 모든 것이 방원의 뜻에 따른 것이었다. 당초 정종은 권력에 대한 욕심이 많지 않았고, 동생인 방원이 조정을 거의 장악한...
    시대 :
    1398년
  • 호포제 戶布制
    호포론자들은 양반층에게 군역면제 특권을 인정하면서 상민에게만 과중한 역을 담당시킨 것이 군역제의 모순이라며, 양반호에 대한 군역부과를 통해 군정의 폐단을 고치려 했다. 반면 양반지배층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이해에 손실을 가져오는 호포론에 적극 반대하는 이들이 있었다. 허적(許積)·허목(許穆)·권대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전정 田政
    전제(田制)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토지제도 및 전세(田稅) 수취제도 등을 포괄하였다. 양인 농민을 주 대상으로 하여 군포(軍布)를 징수하는 수취행정인 군정(軍政), 환곡(還穀)을 분배하고 징수하는 수취행정인 환정(還政)과 더불어 삼정(三政)으로 불리었다. 전정은 크게 보면 양전제(量田制)와 수세제(收稅制) 두 계통...
    시대 :
    조선
    성격 :
    수취행정제도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미 군정 시대
개성 구군정 정측면
조선의용군 혁명군정학교
고려혁명군정의회 선포문(1921)
고려혁명군정의회 선포문(1921)
북로군정소 사관연성소 졸업식
광복 직후 조직된 군정경찰
고려혁명군정의회 선포문(1921. 9. 30)
김재원 선생과 아놀드 군정장관과 최순봉
고려혁명군정의회에서 발표한 선포문(1921.9.30.) 
서로군정서원에 관한 일본 측 보고(1922.3.1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