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5·4운동의 지도자로서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1917)의 승리 이후 공산주의자가 된 리다자오, 천두슈 등의 혁명가들이 창당했다.
1920년대의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마오쩌둥, 류사오치, 리리싼 등의 공산당원들은 도시 노동조합의 결성을 시작했다. 1924년 공산당은 국민당과 최초로 합작하여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으나, 장제스 휘하의 국민당으로부터 대대적인 숙청을 당했다. 공산당원들은 농촌지역에서 농민들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하여 1931년 중국 남부에서 인구 1,000만 명의 중화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했다. 그러나 국민정부의 공산당 토벌작전으로 붕괴된 후 마오쩌둥과 공산당 잔류부대는 중국 서북부로 향하는 장정(1934~35)의 길에 올라 산시의 옌안에 정착했다. 약 4,000만 명의 당원을 거느리고 있는 중국공산당은 세계 최대 규모이며, 중국 정치를 지배하는 통일체적, 독점적인 정당이다.
5·4운동의 지도자로서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1917)의 승리 이후 공산주의자가 된 리다자오[李大釗]·천두슈[陳獨秀] 등의 혁명가들이 창당했다.
1920년대의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마오쩌둥[毛澤東]·류사오치[劉少奇]·리리싼[李立三] 등의 공산당원들은 도시 노동조합의 결성을 시작했다.
1924년 공산당은 국민당과 최초로 합작했는데 제1차 국공합작은 처음에는 상당히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상하이[上海]를 군벌 수중에서 탈환한 뒤, 장제스[蔣介石] 휘하의 국민당이 공산당원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하자 1927년 공산당은 지하로 숨게 되었다. 마오쩌둥 같은 대부분의 공산당 간부들은 도시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대상으로 한 혁명활동을 포기하고 농촌으로 갔다.
농촌지역에서 공산당원들은 농민들의 지지를 얻는 데 크게 성공하여 1931년 남부 중국에서 인구 1,000만 명의 중화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했다. 그러나 이 정부는 국민정부의 공산당 토벌작전으로 붕괴되었고, 마오쩌둥과 공산당 잔류부대는 중국 서북부로 향하는 장정(長征:1934~35)의 길에 올라 산시[陝西]의 옌안[延安]에 정착했다.
이 과정에서 마오쩌둥은 당내 최고 지도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고 1976년 죽을 때까지 이 자리를 유지했다. 장정기간에 마오쩌둥을 지지한 주요지도자로는 저우언라이[周恩來]·주더[朱德]가 있다.
1936년에 일어난 시안[西安] 사건으로 장제스는 공산당 토벌작전을 중지하고, 일본에 대항하기 위하여 공산당과 통일전선을 수립할 수밖에 없었다. 장제스의 국민정부군이 충칭[重慶]에 정착하여 전쟁에 적극 참여하지 않은 반면, 공산당은 일본군 침략자들과 맞서 싸움으로써 자신들의 세력을 크게 팽창시켰다.
항일전쟁이 끝날 무렵 공산당은 무려 1억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고, 농민·노동자·중산층·소자본가 들의 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정치제도와 전투경험이 많은 군대를 장악했다. 1946년 내전이 다시 발생했을 때 공산당의 토지개혁제도는 더욱더 농민의 지지를 얻은 반면, 국민정부는 부조리와 부패로 인하여 자신들에 대한 최소한의 지지까지도 잃었다. 참패한 국민정부의 잔류부대는 타이완으로 도망쳤고, 1949년에 공산당과 그 동맹자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
1949년 이후 중국의 발전과정을 둘러싸고 당내에는 의견의 대립이 심각하게 발생했다. 처음에 공산당은 소련식 발전을 모범으로 삼고 소련과 긴밀한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중국공산당과 소련 공산당(CPSU)은 곧 대외정책과 이념문제로 분규를 빚게 되어, 1950년대말 중국공산당과 소련 공산당 사이의 긴밀한 유대관계가 끊어졌다.
중국공산당은 국내에서 대약진운동 등의 대담한 계획들을 세워 중국 산업발전에 박차를 가하려 했지만 그 결과는 미약했다.
1966년 중국의 사회적·경제적 발전과정을 둘러싸고 당내의 기타 몇몇 지도자들과 심한 의견 차이를 보이던 마오쩌둥은 문화대혁명을 일으켰다. 그후 마오쩌둥 휘하의 당내 좌파와 류사오치·덩샤오핑[鄧小平]이 이끄는 우파 사이에 거센 권력투쟁이 시작되었다.
문화대혁명기간에 류사오치·덩샤오핑을 포함한 우파 지도자들은 권좌에서 실각했다. 1971년부터 마오쩌둥·저우언라이가 죽은 1976년까지 좌파와 우파 간에 불안한 휴전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얼마 후 마오쩌둥의 미망인을 포함한 4인방(四人幇)의 좌파 지도자들이 체포되었고, 숙청과 복권이 거듭되던 덩샤오핑이 다시 정치 전면에 나서 권력을 장악했다.
문화대혁명이 공식적으로 끝난 후 산업·농업·과학기술·국방의 4부문 현대화 계획이 채택되었다. 또한 예술과 교육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었고 혁명 이념에 대한 강조도 약화되었다. 마오쩌둥이 죽은 후 1981년까지 화궈펑[華國鋒]이 당 주석으로 있다가 덩샤오핑의 신임을 받은 후야오방[胡耀邦]이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후 1987년에 역시 덩샤오핑의 신임을 받고 있던 자오쯔양[趙紫陽]이 후야오방의 자리를 물려받았다. 그러나 자오쯔양도 1989년 4월에 일어난 톈안먼[天安門] 사건으로 같은 해 6월에 물러나고 그 자리에 장쩌민[江澤民]이 취임했다.
약 4,000만 명의 당원을 거느리고 있는 중국공산당은 세계 최대규모이며, 중국 정치를 지배하는 통일체적·독점적인 정당이다.
중국의 현행 헌법(1982)에는 중국공산당에 관한 언급이 없다. 그러나 중국공산당은 중국의 유일한 정책결정기구이며, 중앙과 각 성(省) 및 하급지방의 정부기관이 당의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중국공산당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대략 5년마다 한 번씩 1,500명 이상의 대표가 전부 모이는 전국대표대회를 열어 약 200명에 달하는 당 중앙위원회 위원들을 선출한다. 중앙위원회는 대략 1년에 1번씩 회의를 소집하며, 약 20명에 이르는 정치국 위원들을 선출한다.
정치국은 당의 지도적인 기관이며, 6~7명의 최고위급 지도자로 구성되는 정치국 상무위원회는 당뿐만 아니라 중국 전체에 대한 최고의 지도권을 행사한다. 실제로 당내의 권력은 위에서 아래로 행사되며, 정치국 같은 보다 소수의 강력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기관이 중앙위원회같이 좀더 큰 기관의 구성원을 비밀리에 결정한다. 당 서기처는 당의 일상적인 행정업무를 총괄한다. 서기처의 총서기가 당의 공식적인 최고관리이다. 당에는 중앙기율검사위원회가 있어서 당원들의 비행을 조사하고 그 당원을 처벌한다. 또 중앙군사위원회가 있어서 군대의 지배권을 행사한다.
중국공산당은 각 도시·읍·촌락·학교·지구(地區)·주요작업장 등에 당의 소조(小組)를 두고 있다. 중국공산당의 주요기관지로는 일간지 〈런민르바오 人民日報〉와 월간 이론지 〈훙치 紅旗〉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