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중국 쓰촨 성[四川省], 1904. 8. 22 |
---|---|
사망 | 1997. 2. 19, 베이징[北京] |
국적 | 중국 |
요약
1970년대말과 1980년대에 중국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었다. 그는 많은 정통 공산주의 이론을 포기하고 중국 경제에 자유기업의 요소를 혼합시키고자 했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라는 말로 유명하다.
1976년 마오쩌둥이 죽고 4인방이 숙청된 후 비로소 그해 9월 마오쩌둥의 후계자인 화궈펑의 동의를 얻어 복직되었다. 덩은 중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자신의 독자적인 정책을 실행해나가기 시작했다. 그는 합의·타협·설득 등의 방법을 써서 중국의 정치·경제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친 중대한 개혁을 도모했다. 1994년 이후 공식석상에서 모습을 감춘 덩은 1997년 2월 지병으로 사망했다.
1970년대말과 1980년대에 중국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었다.
그는 많은 정통 공산주의 이론을 포기하고 중국 경제에 자유기업의 요소를 혼합시키고자 했다. 프랑스에서의 유학기간(1921~24)중 공산주의 운동에 적극 참가했으며, 그후 소련 유학(1925~26)을 마치고 귀국하여 장시[江西] 소비에트에서 지도적인 정치·군사 조직가가 되었다. 장시 소비에트는 마오쩌둥[毛澤東]이 중국 서남지방에 세운 공산당의 독자적인 지배지역이었다. 덩은 중국공산당의 장정(長征:1934~35)에 참여하여 중국 서북부의 새로운 근거지로 이동했다.
제2차 세계대전중 중국과 일본의 전쟁기간 내내 공산당의 팔로군(八路軍)에서 정치위원으로 있었다. 공산당이 패권을 차지한 뒤인 1952년 총리가 되었다. 1954년 중국공산당 총서기, 1955년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덩은 대외정책과 국내정치 면에서 모두 중요한 정책결정자였다. 덩은 류사오치[劉少奇] 같은 실용주의적인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이들 실용주의적인 지도자들은 중국의 경제발전을 위해서 물질적인 보상제도를 채택하고 기술·경영 면에서 숙련된 엘리트를 양성하자고 주장했다.
그결과 덩은 점점 마오쩌둥과 갈등을 빚게 되었다. 덩은 1960년대 후반 마오쩌둥을 추종하는 급진파가 일으킨 문화대혁명 과정에서 공격을 받고 1967~69년에 당과 행정부에서 차지하고 있던 고위직을 박탈당한 채 대중 앞에서 모습을 감추었다. 그러나 1973년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의 후원으로 복권되어 총리가 되었으며, 1975년에는 당 중앙위원회의 부주석, 정치국 위원 총참모장이 되었다.
저우언라이가 죽기 몇 달 전부터 정부를 효율적으로 이끌어간 덩은 저우언라이의 후계자로 널리 알려졌으나 1976년 1월 저우언라이가 죽자 마오쩌둥의 추종자였던 4인방(四人幇)에 의해 다시 권좌에서 밀려났다. 1976년 마오쩌둥이 죽고 4인방이 숙청된 후 비로소 그해 9월 마오쩌둥의 후계자인 화궈펑[華國鋒]의 동의를 얻어 복직되었다.
1977년 7월경 덩은 이미 고위직을 회복했으며 당과 정부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화궈펑과 권력투쟁을 벌였다. 덩이 화궈펑보다 노련한 정치력과 폭넓은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었으므로 화궈펑은 1980~81년에 총리직과 주석직을 내놓아야만 했고 이들 자리는 덩샤오핑 휘하의 인물들에게 돌아갔다. 자오쯔양[趙紫陽]이 정부 총리가 되었고 후야오방[胡耀邦]이 중국공산당 총서기가 되었는데 두 사람 다 덩의 지도노선을 따랐다.
이때부터 덩은 중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자신의 독자적인 정책을 실행해나가기 시작했다. 그는 합의·타협·설득 등의 방법을 써서 중국의 정치·경제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친 중대한 개혁을 도모했다. 그는 경제 운영에 있어서 지방분권적인 방향을 설정했다. 그리고 효과적·통제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융통성있는 장기적인 계획을 세웠다.
농민들에게는 자신의 생산물과 이윤에 대해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책임을 지게 했는데, 그결과 1981년 이 정책이 시행된 이래 몇 년 안 되어 농업생산이 크게 증가했다. 경제에 관한 결정을 내림에 있어서 개인의 책임에 비중을 두었고 근면과 창의력에 대한 물질적인 보상을 강조했다. 그리고 고등교육을 받아 중국 발전의 선봉에 설 기술자와 경영자들을 양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많은 기업체들을 중앙정부의 통제와 감독에서 벗어나게 했고, 공장 경영자들에게는 생산량을 결정하고 이윤을 추구할 권한을 부여했다.
대외정책에서는 서구와의 무역 및 문화적 유대를 강화했고 중국 기업에 대한 외국의 투자를 허용했다.
덩은 당과 정부 내에서의 최고위직을 피했다. 그러나 강력한 정치국 상임위원회 위원 겸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있으면서 군대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또한 중국공산당 부주석이기도 했다. 그가 당내에서 차지하고 있던 직위와 그의 주장은 권위가 있어서 1980년대 내내 중국의 주요 정책결정자였다.
1987년에 덩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사직함으로써 정치국과 정치국 내의 막강한 상임위원회 직위에서 물러났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기의 개혁에 반대하던 많은 연로한 당 지도자들이 은퇴하도록 만들었으며, 1987년 후야오방도 총서기직에서 물러나야만 했다. 덩은 군사위원 주석직은 계속 맡고 있었으며 당내에서의 결정적인 권위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1989년 4월 민주화된 정부를 요구하는 학생시위대의 세력 증대로 시위가 베이징으로부터 기타 도시로 번지기 시작하자 덩은 자신의 지도권에 대한 중대한 시련에 직면했다(톈안먼 사건). 덩샤오핑은 시위에 대한 무력진압을 지지하고 뒤이어 학생 지도자들과 시위 가담자들에 대한 재판과 그들에 대한 처형을 허용했다.
이에 따라 덩샤오핑의 정치적 거취가 불안해보였으나 부도옹(不倒翁)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위기를 잘 극복하여 중국 정계의 최고 실권자임을 증명했다. 1992년 10월 12일에 개최된 제14회 전국대표대회 제1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양상쿤[楊尙昆] 등의 고위급 정치가들을 요직에서 퇴진시키고, 개혁파 주룽지[朱鎔基] 부총리 등을 선출하여 개혁·개방 정책을 이끌 새로운 지도체제를 출범시켰다.
1994년 이후 공식석상에서 모습을 감춘 덩은 1997년 2월 지병으로 사망했다.→ 톈안먼 사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