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둥비우

다른 표기 언어 Tung Piwu , 董必武
요약 테이블
출생 1886. 3. 5
사망 1975. 4. 2, 중국 베이징
국적 중국

요약 중국공산당 창당인 중의 한 사람.
(병). Dong Biwu. (웨). Tung Piwu.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에 참가했으며 쑨원[孫文]이 이끄는 중국동맹회에 가입했다. 1914년과 1917년 2차례에 걸쳐 일본에 건너가 법률 공부를 했고, 귀국 후 변호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러시아 10월혁명과 중국 5·4운동의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주의를 받아들여 선전하기 시작했다.

1920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우한[武漢]에 공산주의 조직을 만들고, 1921년 중국공산당을 창당하게 되는 제1차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 참석했다. 이어 중국공산당 우한 지방위원회 서기직과 중국공산당 후베이 성[湖北省] 성위원(省委員)을 맡았다. 국공합작 기간은 국민당 제2차 전국대표대회(1926)에 참석하여 중앙집행위원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7년 공산당의 무장혁명(武裝革命)이 실패로 돌아간 후 비밀활동을 시작했으며, 1928년 소련으로 유학을 떠났다. 1932년에 귀국하여 장시 성[江西省] 동남부와 푸젠 성[福建省] 서부에 있던 중국공산당 근거지로 들어가서 마르크스 공산주의 학교 부교장, 중국공산당 중앙당무위원회 서기, 공농검찰(工農檢察) 위원회 대리주임 등을 역임했다. 1934년 10월 장정(長征)에 참가하여 1935년 산시 성[陝西省] 북부에 도달한 후 중국공산당 중앙당교(中央黨校)의 교장직을 맡았다.

항일전쟁 시기에 그는 국민정부와 담판한 중국공산당 대표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리고 중국공산당 중앙 장강국(長江局) 위원으로 있다가 남방국(南方局) 위원을 맡아 국민정부의 전시(戰時) 소재지인 우한·충칭[重慶]에서 항일민족통일전선사업을 진행했고, 국민참정회에 공산당측 참정원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그는 1941년 환남(皖南) 사변이 일어난 후에 덩잉차오[鄧穎超] 등과 함께 참정회에 대한 출석을 거부했다.

194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연합 제헌회의에 참석했으며, 항일전쟁에서 승리한 후에 중국공산당측 대표의 일원으로서 국민정부와 담판을 진행했고, 1946년 충칭에서 열린 정치협상회의에 참석했다. 국민정부와 공산당의 전면적인 내전이 폭발한 뒤인 1947년 봄에 옌안[延安]으로 철수했다. 1949년 이후 중앙인민정부위원, 정무원(政務院) 부총리, 최고인민법원 원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政協) 제2차 전국위원회 부주석,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주석 대리 등을 역임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둥비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