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과거 소련이 존재했을 때의 집권당.
(영).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CPSU).
소련 공산당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WP)의 볼셰비키파(派)로부터 생겨났다.
1903년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의 주도하에 형성된 볼셰비키는 민주집중제에 의한 엄격한 당 규율을 바탕으로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실현을 지향했다(레닌). 1917년 RSDWP의 우파인 멘셰비키와 정식 결별했으며 10월혁명 성공 후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집권당이 되면서 이름을 전(全)러시아 공산당으로 바꾸었다(1918). 러시아 집권당이 된 볼셰비키는 이름을 러시아 공산당으로 바꾸었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수립된 후 1925년부터 다시 전연방 공산당으로 불리다가 1952년 마침내 소련 공산당으로 개칭되었다.
공산당은 자본주의와 제1차 세계대전 때 자본주의 정부를 지지한 제2인터내셔널의 사회주의자들에 대항하여 생겨났다. 이무렵 공산당이라는 명칭은 기타 사회주의자들과 구별하여 러시아의 레닌 추종세력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소련 공산당은 내전에서 승리한 뒤 1924년 레닌이 사망할 때까지 신경제정책(NEP)을 통하여 신중하게 제한된 자본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레닌이 죽자 강력한 서기장 요시프 스탈린과 그를 둘러싼 지도자들이 당 지도권 장악에 나서게 되었다. 스탈린 일파는 레온 트로츠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와 같은 경쟁자들을 쉽사리 물리쳤다.
1920년대 후반 측근인 니콜라이 부하린을 중심으로 급속한 공업화와 집산화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다. 스탈린은 1929년 부하린을 당 지도부에서 제거하고, 대숙청(1934~38)을 시작하여 당 내부에 남아 있는 반대 세력을 모조리 뿌리뽑고자 했다. 이 숙청에서 수천 명의 정적과 혐의자들이 반역자로 처형되었고, 수백만 명이 투옥되거나 강제노동수용소로 이송되었다. 1924년 약 47만 명이었던 공산당 당원수는 스탈린의 통치기간 동안 수백만 명으로 늘어났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뒤 스탈린은 당 내부에서 어떠한 도전도 받지 않았지만 지도부 내에서 그의 폭정과 무단통치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었다. 1953년 스탈린이 죽은 뒤 급속히 부상한 니키타 S.흐루시초프는 제20차 당대회에서 유명한 '비밀연설'을 통하여 스탈린의 지나친 폭정을 비판했다(흐루시초프). 이듬해 그는 경쟁자인 V.M.몰로토프와 G.M.말렌코프 및 이른바 '반당 분자들'을 물리치고 논란의 여지가 없는 명백한 지도자가 되었다.
흐루시초프는 당원들에 대한 피의 숙청을 중단시켰지만, 그의 충동적인 통치는 당간부들 사이에서 불만을 야기시켰고 1964년에 그들에 의해 축출되었다. 흐루시초프를 뒤이어 레오니드 I.브레주네프가 제1서기에 오르고 1982년 브레주네프가 죽자 유리 V.안드로포프가 소련 공산당 서기장직을 승계했다.
1985년 3월 당시 최연소 정치국원이던 미하일 S. 고르바초프가 소련 권력구조의 정점에 올랐던 것은 안드로포프가 15개월, 콘스탄틴 U.체르넨코가 13개월 만에 사망하는 비정상적인 정치변화 속에서 이루어졌다. 고르바초프는 공산당과 나아가 소련을 자유화·민주화하려고 애썼다.
대외적으로 소련 공산당은 국제공산당 조직인 코민테른과 코민포름을 주도했다.
공산당이 전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성공을 거두면서 소련 공산당의 주도권을 위협하는 세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48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 처음으로 소련 공산당에 도전했고, 1950년대말부터 1960년대초에 중국 공산당이 제기한 도전은 더욱 강력한 것이었다. 그러나 소련 공산당은 여전히 동유럽 위성국가들의 본보기로 남아 있었다. 1918년부터 1980년대말까지 소련 공산당은 소련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을 지배하는 획일적인 독점집권당이었다.
소련 정부를 관리·통제하도록 되어 있는 헌법과 그밖의 법령들은 사실상 공산당과 그 지도부의 정책에 종속되었다. 소련 공산당과 소련 정부는 헌법상 별개의 기관이지만 실제로는 공산당원이 정부의 고위공직을 모두 차지하고 있으며 공산당이 스스로 입안한 정책들에 대한 정부의 집행과정을 감시할 수 있는 것도 당과 정부기구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이러한 체제 때문이다.
경제구조를 개편하고 정치체제를 민주화하려는 고르바초프의 노력은 소련의 일당독재체제를 붕괴시켰다.
1990년 발트 3국을 비롯한 연방구성 공화국의 공산당들이 소련 공산당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고, 같은 해 소련 공산당은 헌법으로 보장된 공산당 독재를 포기하고 복수 야당을 합법화시켰다. 여러 공화국에서 자유선거가 실시됨에 따라 당원수의 감소가 이루어졌고 보리스 옐친의 경우처럼 이탈자들이 권력의 정상에 오르는 사태가 발생했다. 1990년 고르바초프는 당의 직접적인 행정관여를 금지시키려고 했지만 공산당은 여전히 개혁의 방해물로 남아 자유시장경제체제의 도입을 가로막았다.
1991년 8월 19일의 보수파 쿠데타로 중앙위원회는 불신의 대상이 되었고 소련 공산당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소련 공산당은 수개월 내에 자산의 몰수와 더불어 정부, 국내보안기구 및 소련군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다. 소련 공산당의 종언은 러시아 혁명으로 첫 실천의 깃발을 올린 이래 70여 년 간 세계 전역을 휩쓸었던 공산주의 이념이 그 종주국으로부터 배척을 받았다는 의미에서 극단적으로는 공산주의 이상의 실패로, 소극적으로는 공산주의 이상 실현의 한 양태였던 볼셰비즘의 파탄에 불과할 뿐이라는 등 다양한 평가를 불러일으켰다.
소련 공산당의 기본단위는 초급 당조직이다.
당조직은 공장과 정부관청, 학교, 집단농장, 군대의 단위부대 및 중요한 모든 조직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80년대 초반 공산당의 규모가 최고로 확장되었을 때는 39만 개의 초급 당 조직이 있었다. 이러한 가장 낮은 수준의 조직 위에는 약 3,000개의 지역구 당 위원회와 800여 개의 시위원회, 10개의 관구위원회, 149개의 주위원회 그리고 6개의 지구위원회와 14개의 연방공화국 위원회가 있다. 절정기에 소련 공산당 당원의 수는 1,900만 명에 달했으나 1990년에 들어 당의 세력과 위신이 실추되어감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었다.
명목상으로 소련 공산당의 최고기구는 당대회이다. 당 대회는 대개 5년마다 1번씩 소집되며 수천 명의 대의원들이 참석한다. 당대회는 형식상 300명가량의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을 선출한다. 중앙위원회는 적어도 1년에 2번 소집되고 다음 당대회가 열릴 때까지 당의 과업을 수행한다. 중앙위원회에서 다시 당위원회의 위원들이 선출되는데, 그 가운데 정치국과 서기국이 소련 국가권력의 핵심이다.
정치국은 24명의 정위원으로 구성되는 소련의 최고정책결정기구로서 국내외의 모든 공공 정책과 측면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정치국의 심의과정은 비공개가 원칙이다. 약 9명으로 구성되는 서기국은 당 기구의 일상적인 행정사무를 책임진다. 기구의 위원은 명목상 중앙위원회가 선출하지만 실제로는 그 기구들 스스로가 자격을 결정하며 거의 종신적인 임기를 갖는다. 미래의 당원을 양성하는 훈련장은 콤소몰이라고 불리는 공산주의청년동맹이며 여기서 새로운 후보당원의 70%가 배출되었다(콤소몰). 공산당의 주요간행물로 일간지인 〈프라우다 Pravda〉와 월간 잡지인 〈콤무니스트 Kommunist〉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프라우다〉는 기관지로서의 성격보다는 일반신문으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