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개요
이 시기는 토키의 초기이다.
동시에 제2차 세계대전 전을 의미한다. 앞서 말한 것처럼 토키는 영화 발명 후 얼마 뒤부터 시험제작되고 있었는데, 본격적인 토키의 등장은 라디오의 증폭기가 사용되고부터이다. 1926년 미국의 워너브러더스사가 파산 직전으로 몰렸을 때 시험삼아 토키를 채용하여 부분적 토키 작품 〈돈 주앙〉을 만들었다. 이것이 성공적이었으므로 이듬해 완전한 토키 작품인 〈재즈 싱어〉(1927)를 만들었다. 이것이 성공하자 토키 융성의 계기가 되었고, 1928년 미국 영화는 전부 토키화되었다. 1929년 이후 유럽 여러 나라의 영화도 잇달아 토키 시대를 맞았다.
그러나 영화예술을 흑백 무성으로만 생각하고 있었던 영화예술가의 대부분은 토키에 반대했다.
그들은 무성영화의 예술성은 토키의 새로운 요소인 음성에 의해 파괴된다고 생각했었는데, 이윽고 그들도 영상과 음성의 두 요소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을 연구했다. 에이젠슈테인·푸도프킨·알렉산드로프 등의 세 사람은 영상과 음성의 두 요소를 독립적으로 생각한 끝에 그것을 몽타주(편집)할 것을 생각했다. 또 클레르는 영상과 음성을 비동시적으로 짜맞추는 것을 고안하여, 이것을 작품에 실험했다. 영화 예술가도 이미 기정사실인 토키를 자기 작품으로 만들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것은 1929~30년 무렵부터 시작해, 1935년에는 각국 모두 토키의 예술적 방법론이 대체로 수립되었다고 해도 무방한 상태가 되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컬러 영화가 출현했다(1935). 컬러 영화는 토키와는 달리 그리 심한 혼란을 일으키지 않았지만, 색채 디자인의 필요성이 역시 영화작법에 다소의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
그리하여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는 1939년까지의 10년 사이에 컬러 토키의 예술성이 일단은 완성되었다고 볼 수가 있다.
미국
처음에 미국 영화는 무대극과 흡사한 영화, 무대 그대로의 음악과 춤의 뮤지컬 영화에 시달렸다.
그러나 얼마 안 있어 이것도 가라앉고, 무대의 연출가로부터 영화감독으로 전향한 루벤 마물리안의 〈갈채 Applause〉(1929), 킹 비더의 〈할렐루야! Hallelujah!〉(1929), 루비치의 〈사랑의 행진 The Love Parade〉(1929), 슈테른베르크의 〈모로코 Morocco〉(1930) 등에 의해 음성요소를 적당히 배합하는 새로운 토키 작법이 성립되었다. 게다가 음악을 주로 한 뮤지컬 영화, 그리고 권총 소리를 들려주는 갱 영화라는 토키 특유의 두 장르가 여기에 새로 태어난 사실은 주목받을 만한 것이었다.
뮤지컬의 초기 대표작은 앞에 쓴 루비치의 〈사랑의 행진〉과 마물리안의 〈오늘밤은 사랑해주세요 Love me Tonight〉(1932), 로이드 베이컨의 〈42번가 42nd Street〉(1933) 등이다.
이에 반하여 갱 영화는 마물리언의 〈시가〉를 비롯하여 루이스 마일스던의 〈범죄 도시〉(1931), 머빈 르로이의 〈도망자 I Am a Fugitive from a Chain Gang〉(1932), 하워드 호크스의 〈스카페이스 Scarface〉(1932) 등의 명작을 낳았다.
존 포드의 〈내부의 적(敵) The Informer〉(1935)은 아일랜드 혁명의 밀고자를 다룬 걸작이고, 〈역마차 Stagecoach〉(1939)는 서부극의 전형적 작품으로, 이들은 갱 영화는 아니지만 넓은 뜻으로는 서부극 영화의 계통에 속한다.
1930년대 후반에 번영한 '미국적 희극'으로 옮기면, 포드와 함께 미국 영화를 나눈 프랭크 캐프라의 〈어느날 밤에 생긴 일 It Happened One Night〉(1934)로부터 〈우리 집의 낙원 You can't Take It with You〉(1938)을 거쳐 〈스미스 씨, 워싱턴에 가다 Mr. Smith Goes to Washington〉(1939)에 이르는 계열이 단연 주목을 끌었다. 하나같이 얼마쯤 상식적인 범주를 벗어난 주인공의 행동이 담긴 자유로운 인간의 정당한 모습이라고 하는 점에, 미국 영화에 있어서의 비판정신의 맹아를 찾을 수 있다.
채플린은 〈모던 타임스 Modern Times〉에서 근대문명의 비인간성을 비꼬았다.
토키 초기의 무대극의 실사는 이미 자취를 감추었지만, 토키 기법의 완성은 다시 무대극의 올바른 영화화를 환기시켰다. 윌리엄 와일러의 〈이 세 사람 These Three〉(1936)·〈데드 엔드 Dead End〉(1937), 캐프라의 〈우리집의 낙원〉이 그 전형적인 작품이다. 또한 1935년 마물리안의 〈허영의 도시 The Open City〉에 의해 시작된 컬러 영화는 이 시기 끝까지 미국 영화의 1/3을 차지하게 되었다.
월트 디즈니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1938), 빅터 플레밍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를 대표작으로 꼽는다.
프랑스
토키의 예술성을 먼저 독자적인 수법으로 수립한 것은 〈파리의 지붕 밑 Sous les toits de Paris〉(1930)·〈백만장자 Le Million〉(1931)·〈우리에게 자유를 A nous la liberté〉(1931)·〈파리제〉(1933) 등의 르네 클레르였다.
움직임과 리듬에 찬 장면 처리에 감미로운 샹송을 곁들인 그의 독창적인 작품이었다. 그의 풍자희극 〈마지막 억만장자〉(1934)는 시대가 너무 앞서 실패했다. 클레르는 1935년 영국으로 건너갔다가 뒤에 미국으로 갔다. 그의 작품이 환상적인 계통의 프랑스파 희극의 모델이 된 데 반하여, 자크 페데르는 〈위대한 놀이 Le Grand Jeu〉(1934)·〈미모사 하숙집 Pension Mimosas〉(1934)으로 프랑스풍의 리얼리즘 영화를 완성했다.
토키 시대가 되자 무성영화시대에는 배격되었던 문예작품의 영화화가 진행되어 말과 함께 자연히 영화 속으로 녹아들었다.
쥘리앵 뒤비비에는 그런 의미에서 정통파 문예영화의 기수가 되었다. 그는 〈홍당무 Poil de carotte〉(1932)를 시작으로 〈상선 테나시티 Le Paquebot Tenacity〉(1934)·〈마리아 샤들렌 Maria Chadelaine〉(1934)·〈땅끝을 가다 La Bandera〉(1935) 등 잇달아 훌륭한 문예영화를 발표했다. 그러나 그후로는 약간 경향을 바꾸어, 인기작 〈망향 Pépé le Moko〉(1937), 옴니버스 영화 〈무도회의 수첩 Un Carnet de bal〉(1937)을 만들었다.
이 옴니버스 영화는 토키 이후의 새로운 형식으로서 뒤비비에는 그후에도 종종 손을 댔는데,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각국에서 유행했다.
1935년은 토키 예술의 일단의 완성기이며, 이해를 경계로 하여 영화가 사상적 깊이를 더한 사실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그점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가는 무성영화 후기에 전위영화인으로 출발하여 개성적인 작품을 계속 만들어온 장 르누아르였다.
고리키 원작의 〈밑바닥 The Lower Depths〉(1936)에 이은 〈대환영(大幻影) La Grande Illusion〉(1937)은 국경을 초월한 인류애를 그려낸 휴머니즘의 걸작이었다. 또 〈게임의 규칙 La Règle de jeu〉(1939)은 부르주아를 비판한 뛰어난 영화로서 종래의 틀에 박힌 작법을 파기한 파격적인 작품이었다. 그 영향은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누벨 바그에까지 미쳤다.
이 시기 후반에 장편 처녀작을 만들고 즉각 일류감독이 된 신인은 마르셀 카르네였다.
〈제니의 집〉(1936)으로 시작되는 리얼리즘은 3번째 작품 〈안개 낀 부두 Quai des brumes〉(1938)로 완성되었다. 한편, 그에게는 어릿광대적인 희극 〈우스꽝스런 드라마〉(1937)라는 작품도 있다. 르누아르와 카르네의 활약은 클레르·페데르에 이은 프랑스 영화의 황금기를 출현시켰는데, 그밖에 장 브누아 레비의 〈아름다운 청춘〉(1936), 레오니드 모기의 〈창살 없는 감옥〉(1938), 피에르 쉬날의 〈죄와 벌〉(1935) 등도 각각 뛰어난 작품이다.
또 이 시대에는 극작가인 감독의 작품이 유행했는데, 그것도 토키에 의해 영화가 대사를 획득했기 때문이었다. 그 선두에 선 것이 마르셀 파뇰이며, 토키는 연극을 대신하는 것이라고 말하여 영화인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작품 〈빵집 마누라〉(1938)는 뜻밖에도 영화로 잘 만들어졌다. 연극의 왕이라고 일컬어졌던 사샤 기트리는 일인칭 말에 영상을 짜맞춘 별난 영화 〈트럼프 이야기〉(1936)를 발표하여 보는 이들을 놀라게 했는데, 이것은 기트리 자신의 이야기였다.
그러나 이 이단자를 태연히 받아들인 점에서 영화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벌써 형식적인 방법론의 시대는 지나가버린 것이다.
독일
독일 영화는 1933년을 경계로 하여 뚜렷이 2기로 나누어진다.
후기는 히틀러의 나치 시대로서, 영화는 국가시책의 도구가 되었다. 토키 초기에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독일도 먼저 음악을 영화에 채용했다. 발터 루트만은 〈세계의 멜로디〉(1929)에서, 음악을 다큐멘터리 영화에 채용하여 전위영화적인 몽타주를 만들었다. 파프스트는 브레히트와 바일의 오페라를 영화화하여, 영화로서는 드문 사회주의적인 영화 〈서푼짜리 오페라 Die Dreigroschenoper〉(1931)를 만들었고, 이어 갱 안의 국경을 초월한 동지애를 그린 〈탄갱 Kameradschaft〉(1931)을 발표했는데, 그후에 망명했다.
일반적인 영화음악으로서는, 오페레타 영화가 독일 특유의 발전을 이루었다. 현대물에는 빌헬름 티레의 〈가솔린 보이 3인조〉(1931)가, 역사물 오페레타로는 에리크 샤렐르의 〈회의는 춤춘다〉(1931)가 각각 대표작이다. 또 독일만의 것으로 청춘영화가 있는데 여교사와 여학생의 사랑을 그린 레오 티네 자간의 〈제복(制服)의 처녀〉(1931)는 그중 걸작이었다. 1933년 이후의 국가시책에 따른 영화로는 베를린 올림픽을 다룬 다큐멘터리 〈민족의 제전〉·〈미의 제전〉(1938) 등이 있다.
독일인은 아니지만, 같은 독일어권에 속하는 오스트리아인 빌리 포르스트는 1933년 이후 히틀러에게 정복될 때까지의 수년 동안 〈미완성 교향악〉(1933)·〈황혼의 빈 Maskerade〉(1934)·〈마주르카〉(1935) 등으로 빈의 정서를 묘사한 뛰어난 작품을 내보냈다.
영국
토키 영화시대에 들어서 비로소 영국 영화는 국제적인 영화가 되었다.
헝가리 출신의 제작자 겸 감독인 알렉산더 코르도가 런던 필름을 창설하여 그 자신이 감독한 〈헨리 8세의 사생활〉(1933)·〈그려진 인생〉(1936), 프랑스의 클레르에게 만들게 한 〈유령 서쪽으로 가다〉(1935)와 페데르 감독의 〈갑옷 없는 기사(騎士)〉(1937) 등의 우수 작품을 속속 발표했다. 그러나 영국인은 이것들을 무국적(無國籍) 영화라고 말했다. 이에 반해 순수한 영국 영화의 대표작은 알프레드 히치콕의 스릴러 〈39계단 The Thirty-Nine Steps〉(1935)과 빅터 새빌의 감상극 〈황혼의 노래〉(1934) 등이 있었는데, 히치콕 터치의 독자적인 스릴러 작법은 별격(別格)이다.
영국 영화로서 세계 영화에 영향을 미친 또 하나의 장르는, 존 그리어슨을 선두로 하는 다큐멘터리 필름파(派)의 작품이었다. 그 특징은 대상(對象)이 사회 기구 안에서 담당하는 기능적 의의를 해명함과 동시에 그 존재방식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점에 있다. 해리 와트, 배질 라이트의 〈야간 우편〉(1936)이 예술적으로도 가장 뛰어난 작품이다.
소련
1931년 니콜라이 에크는 부랑인의 갱생문제를 다룬 〈고생 안내서〉에서 현실을 교묘하게 왜곡한 뛰어난 영화를 만들었지만, 그후 소련 영화는 침체되었다.
여기에는 스탈린의 예술정책의 영향이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제약이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에이젠슈테인도 몽타주 이론의 형식주의나 그 자신의 코스모폴리터니즘을 비난받고서야 겨우 1938년에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Alexander Nevsky〉를 만들었다. 이 작품에는 몽타주적 효과는 별로 보이지 않고, 오히려 양식적 구도에 특징이 있으며, 주제도 스탈린주의에 순응한 감이 있다.
이탈리아
파시즘 정권은 영화 통제를 더욱더 엄격하게 했다.
대규모의 국책 영화가 몇 편 만들어졌다. 그 가운데서도 아우구스토 제니나가 아프리카에의 이탈리아군의 행동을 말하면서 사막의 행군을 리얼리즘으로 그린 〈리비아 백기대〉(1936)에서, 국책 영화라고 말할 수 없는 고뇌의 진실감을 북돋운 것은 예술가의 양심의 표현으로서 특기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 시대에 영화연구기관으로서 유럽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영화실험실 센터를, 무솔리니가 체네치다(영화 도시)에 창설한 것은 직접적으로는 국책에 공헌하지 못했지만, 전후의 이탈리아 영화의 융성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