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소코토

다른 표기 언어 Sokoto
요약 테이블
위치 나이지리아 북서부
인구 3,702,676명 (2024년 추계)
면적 25,973㎢
언어 영어
대륙 아프리카
국가 나이지리아

요약 나이지리아 북서부의 주. 북쪽으로 니제르 공화국, 서쪽으로 베냉 공화국과 국경을 이룬다. 남부에는 사바나 식물이 자라며, 북부에는 가시덤불이 자란다. 1804년 풀라니족이 지하드를 일으키기 전까지 이 지역은 하우사족의 국가들인 고비르·잠파라·케비·야우리의 지배를 받았다. 1817년 우스만이 죽자 무하마드는 아버지에 이어 새로운 '사르킨 무술미'가 되었고, 소코토 최초의 술탄이 되었으며, 풀라니 제국의 정신적·정치적 지도자가 되었다.

소코토(Sokoto)

소코토 장터

ⓒ Jensbn/wikipedia | CC BY-SA 3.0

북쪽으로 니제르 공화국, 서쪽으로 베냉 공화국과 국경을 이루며, 남서쪽은 콰라 주, 남쪽은 나이저 주, 남동쪽은 카두나 주, 동쪽은 카치나 주와 접하고 있다.

이 주의 남부에는 사바나 식물이 자라며, 북부에는 가시덤불이 자란다. 소코토는 대부분이 건조지로, 점차 국경 너머 니제르에 펼쳐져 있는 사막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다. 우기는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이며, 10~3월에 먼지를 동반하는 사하라 열풍이 분다. 소코토 강은 소코토 주 남서쪽에서 나이저 강에 합류하는 나이저 강의 중요한 지류로서, 소코토 주의 물들은 모두 이 소코토 강과 그 지류들을 통해 빠져나간다.

1804년 풀라니족지하드(jihād:聖戰)를 일으키기 전까지 이 지역은 하우사족의 국가들인 고비르(북쪽)·잠파라(동쪽)·케비(서쪽)·야우리(남쪽)의 지배를 받았다. 1808년 풀라니족이 고비르의 하우사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지하드의 지도자 셰후(셰이크) 우스만 단 포디오는 현재의 나이지리아 중북부 지역 대부분과 베냉 북동부 일부, 니제르 남서부, 그리고 카메룬 북부에 걸친 자신의 광대한 영토(→ 풀라니 제국)를 2개의 영향권으로 나누었다. 1809년 우스만은 자신의 아들 무하마드 벨로를 소코토의 족장 겸 동부지역 토후국들의 대군주로, 그리고 자신의 형제인 아브둘라히 단 포디오를 서부 및 남부 지역 토후국들의 지배자로 앉혔다.

1817년 우스만이 죽자 무하마드는 아버지에 이어 새로운 '사르킨 무술미'('독실한 이슬람교도의 지도자'라는 뜻)가 되었고, 소코토 최초의 술탄이 되었으며, 풀라니 제국의 정신적·정치적 지도자가 되었다. 무하마드의 재임 기간(1817~37)중 소코토는 하우사족의 반란을 효과적으로 진압, 풀라니 제국을 지켰다.

소코토로부터 31㎞ 북북동쪽 리마 강에 위치한 우르노는 소코토 제국의 또다른 수도로서, 독일의 지리학자이며 탐험가인 하인리히 바르트가 1853년 영국 여왕 빅토리아를 대신해 교역협정에 서명한 곳도 소코토가 아닌 우르노였다. 1885년 영국은 내셔널아프리카회사(후에 로얄나이저회사가 됨)와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무역상의 새로운 권리를 추가로 획득했다.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식민지 확장은 저항에 부딪히게 되었다(대영제국).

1903년 소코토의 군대가 영국군에 패한 후 토후국과 제국 대부분이 영국의 북나이지리아 보호령으로 통합되었고, 이어 영국은 무하마두 아타히루 2세를 소코토의 술탄으로 임명했다. 전임 술탄이었던 무하마두 아타히루 1세는 영국군을 피해 달아났다가 같은 해 늦게 부르미(소코토에서 동남동쪽으로 696㎞ 떨어진 곳) 전투에서 피살되었다. 1933년 이래 소코토의 '사르다우나'(술탄)로 불려온 '사르킨 무술미'는 지금도 여전히 풀라니족의 정신적 지도자이며 또한 나이지리아의 이슬람교 지도자이다.

1966년에는 소코토의 '사르다우나'이자 북나이지리아의 총리인 아마두 벨로 경이 카두나(소코토에서 남동쪽으로 368㎞ 떨어진 곳)에서 이보족이 주도한 군사 쿠데타로 암살당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북부의 이보족에 대한 대량 학살극이 벌어졌고, 이는 곧 나이지리아 내란(1967~70)으로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현재의 소코토 주는 1967년까지만 해도 과거 나이지리아 북부지방의 일부였으며, 1967년에는 이전의 북서주(North-Western State)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 소코토 주에는 과거 풀라니 제국의 2대 토후국이었고 또한 콘타고라 토후국의 북부지역에 속했던 소코토와 간도가 포함되어 있다.

소코토 경제의 주된 기반은 농업으로, 강가의 범람원에서 땅콩·목화·담배·습지쌀·양파·사탕수수·인디고 등의 환금작물이 재배되며, 고지대에서는 수수·기장·쌀·동부·콩·카사바 등이 재배된다. 길이 약 4.8㎞로 세계에서 가장 긴 댐의 하나인 바콜로리 댐(소코토 강에 있음)은 1975년에 완공되었으며, 2만 4,000㏊에 달하는 소코토-리마 유역은 댐의 건설로 1년 내내 경작이 가능하다.

상당부분의 땅이 목축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소·염소·닭은 물론 소가죽·염소가죽·양가죽 및 가죽완제품 등을 수출한다. 석회석 및 고령토 매장지에 대한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어 주도인 소코토 시에는 시멘트 공장이 건설되기도 했다. 소코토 시에는 이밖에 무두질 공장과 현대적인 공설 도살장 및 냉동공장이 있다. 상공업 중심지인 구사우에는 현대화된 섬유공장과 종자유착유공장, 콩가공공장이 있다.

소코토 주는 나이지리아에서 2번째로 큰 주로 꼽히지만, 인구밀도는 매우 낮다. 풀라니족과 하우사족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많은 종족은 다카르키족(다카라와족)과 캄베리족이다. 인구의 대다수는 이슬람교도이다.

소코토 시에 소코토연방대학교(1975)가 있으며, 비르닌케비에는 공예연구소가 있다. 소코토 시는 북쪽의 니제르 공화국과 도로로 연결되며, 동쪽으로는 구사우·자리아·카노, 남으로는 비르닌케비 등의 도시와 연결되는 도로망이 있다. 또한 공항시설도 갖추고 있다. 북동쪽에 있는 퀴암바나 금렵지는 소코토의 주요관광지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프리카

아프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나이지리아 주요도시

추천항목


[Daum백과] 소코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