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
---|
요약 부석사 조사당 벽면에 그려졌던 고려시대의 벽화. 보살 2구와 사천왕 등 모두 6폭으로 화면의 손상이 심한 편이며, 현재 새로 지은 보호각에 진열되어 있다. 보살상은 풍만한 얼굴에 높고 화려한 보관을 썼으며 옆으로 약간 비튼 측면관으로 서 있다. 지물로는 칼과 창만 알아볼 수 있어 각 상의 명칭을 밝히기가 어렵다.
부석사 조사당 벽면에 그려졌던 고려시대의 벽화. 국보(1962.12.20 지정). 각 면 길이 약 205cm, 너비 약 75cm. 보살 2구와 사천왕 등 모두 6폭으로 화면의 손상이 심한 편이며, 현재 새로 지은 보호각에 진열되어 있다. 원래는 조사당 안쪽 입구에서부터 사천왕상, 보살상의 순으로 돌아가며 배치되어 있었다.
보살상은 풍만한 얼굴에 높고 화려한 보관을 썼으며 옆으로 약간 비튼 측면관으로 서 있다. 훼손이 심해 잘 보이지 않으나 한 상은 합장을 하고 있고, 다른 한 상은 지물을 들고 있는 것 같다. 이 두 보살상은 사천왕과 함께 배치된 것으로 보아 불교의 호법신인 범천과 제석천으로 추정된다. 지국천·증장천·광목천·다문천으로 구성된 사천왕은 갑옷과 투구를 걸친 무인형으로 악귀를 밟고 서 있는데 무서운 얼굴과 건장하고 당당한 자세에서 불법을 수호하는 위엄이 엿보인다.
지물로는 칼과 창만 알아볼 수 있어 각 상의 명칭을 밝히기가 어렵다. 이 벽화는 조사당의 건립과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뒤 몇 차례 보수되어 원래의 모습이 많이 손상되었지만 고려불화의 양식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비교적 오래된 작품으로서 중요한 예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