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양주시는 경기북부의 중심 도시로서 지리적으로 서울과 인접해 있고 북한산 국립공원, 불곡산, 천보산, 감악산 등 수려한 자연경관이 있다. 내륙에 있으므로 한서의 차가 심하여 1월 평균기온 -5.4℃, 8월 평균기온 26℃이다. 또 강수량의 편차도 큰 편이며 연강수량 1,300mm로, 비가 많이 내리는 곳 중의 하나이다. 총면적에서 임야가 차지하는 비율이 61%를 넘는 산지지형으로 경지면적이 적다. 논농사가 밭농사보다 약간 우세하나, 대소비지인 서울과 가까워 주곡작물보다는 원예작물에 치중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 부추, 시설채소, 딸기, 배, 콩, 찰토마토, 마늘, 허브차, 인삼, 버섯, 축산물은 한우, 계란, 가공식품은 벌꿀, 된장 등이 있다.
주요 식재
딸기
양주골 참새벽딸기라 불리며, 다른지역에 비해 기온이 낮고 성숙기간이 길어 질감이 치밀하며 물크러짐이 적다. 또한 당도가 높을 뿐아니라 수도권과 인접해 새벽에 수확한 딸기를 소비자에게 당일 공급할 수 있어 신선도 면에서 전국 최고를 자랑한다.
ㆍ가공 식품 : 딸기잼
쌀
양주골쌀은 전국 RPC(미곡종합처리장)대표 브랜드쌀 품질평가 최우수상(2010년), 양주골쌀 경기도 G마크 인증(2012~13년), 탑라이스 우수상(2012년) 등을 수상했다.
한우
일관된 사료 공급을 위하여 양주축협의 사양관리 지도를 받고 있으며 양주축산업협동조합과 협약을 체결하여 사육단계별로 주문생산사료를 공급받아 이용. 또한, 양주골한우는 전국한우고급육품평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2001년 제5회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출품한 한우를 대상으로 한 경매에서 1마리에 역대 국내 최고가인 17백만원에 낙찰되는 등 고급육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다. 연간 사육두수는 4,800두 정도이다.
식재 생산 현황
[농산물]
딸기
친환경 재배기술과 핵심재배기술(건조, 난방) 생산으로 당도가 높고 영양이 풍부하다. 오전 수확 후 오후 제품 출하로 신선도를 유지한다(일일수확⇀선별⇀출하시스템). 한수이북 딸기 최초 재배로 당도·경도가 우수하다.
ㆍ생산시기 : 12월~익년 6월 초
마늘
안전하고 건강한 무농약 마늘이다. 통이 둥글고 껍질이 팽팽하고 딱딱하여 저장력이 우수하다. 알리신 성분이 풍부하여 매운맛이 강하며 항균, 살균 작용이 탁월하다.
ㆍ생산시기 : 6월~8월
버섯
우수한 자연조건을 이용하여 깨끗한 환경에서 재배한다. 칼륨, 미네랄 등의 함량이 풍부하며 향이 좋고 깊은 맛을 낸다. 현대화된 기계설비를 이용하여 생산한 고품질 버섯이다.
ㆍ생산시기 : 연중
배
과원 토양검정 및 생육진단에 의한 적정 시비 및 친환경 농업으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한다. 일교차가 크고 온도조건이 알맞아 과즙이 많고 당도가 높아 맛과 품질이 우수하다.
ㆍ생산시기 : 9월~11월
부추(영양부추)
전통적으로 재배되어 오던 토종부추를 상품화한다. 솔잎같이 생겨 솔부추, 실 같다고 하여 실부추라고도 한다. 매운맛을 내는 '알린'이 풍부하고 향기가 일반부추보다 진하다.
ㆍ생산시기 : 연중
부추(재래부추)
신선하고 영양이 많으며 최고의 품질과 맛을 자랑한다. 철저한 생산관리와 엄격한 자체 심사로 품질을 보증할 수 있으며 매운맛을 내는 '알린'이 풍부하여 향기가 일반부추보다 진하다.
ㆍ생산시기 : 연중
시설채소(애호박, 오이 등)
비타민, 섬유질 등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우수하다.
ㆍ생산시기 : 연중
쌀(양주골눈부신햇쌀)
키토산 등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하여 품질의 고급화를 추구하고 쌀겨, 오리농법 등 친환경농법을 이용하여 생산한다.
ㆍ생산시기 : 10월
인삼
재배의 생력화 및 안전 농약 사용 요령 준수에 의한 핵심재배 기술 생산으로 고품질의 인삼을 생산한다.
ㆍ생산시기 : 7월~9월
찰토마토
봄부터 가을까지 연중생산과 철저한 선별시스템으로 소비자에게 양주골 토마토를 안전하게 공급한다. 당도가 높고 과육이 단단하여 저장성이 우수하다.
ㆍ생산시기 : 5월~10월
허브차
유기농으로 재배, 세척, 건조하여 자가생산한다.
[축산물]
계란
최고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유통의 체계화로 빠른 배송을 한다.
ㆍ생산시기 : 연중
[가공식품]
된장
따스한 햇살과 신선한 바람으로 인해 깊은 맛과 향기를 자랑한다. 간장을 담가서 장물을 떠내고 건더기를 쓰는 재래식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ㆍ생산시기 : 연중
벌꿀
양봉연구회 회원 20명이 생산한 제품을 '양주벌꿀' 공동 상표로 판매한다. 양주밤의 명성을 이어 밤꿀의 맛과 향이 우수하다. 철저한 생산관리와 엄격한 자체심사로 생산한 보증된 품질이다.
ㆍ생산시기 : 3월~10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전체목차
식재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양주시의 식재 – 대한민국 8도 식재 총서, 농림축산 식품,aT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