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스사
낭만주의
19세기 전반기에 신고전주의와 합리주의에 반대해 낭만주의가 등장하였다. 그 시대의 젊은이들은 세기의 수많은 혁명과 전쟁을 통해 열정과 환희, 희망과 고뇌를 경험하였다. 그러한 경험을 겪으면서 그들은 고전적 전통을 파괴하고 새로운 혁신을 추구하였다. 이성보다는 감성을 중시하였으며 이국적인 것을 동경하여 과거를 이상시하였다. 이 시대 역사가 유행한 것도 그 때문이다.
샤토브리앙의 《르네》(1802년)와 스탈 부인의 《독일론》(1810년)에 의해 확립된 프랑스 낭만주의 문학은 라마르틴의 《명상시집》(1820년)과 빅토르 위고의 희곡 〈에르나니〉(1830년)에 의해 더욱 발달하였다.
낭만주의의 흔적이 가장 확연히 나타난 분야는 미술이었다. 낭만주의 미술가들은 신고전주의에서 나타나는 형체의 조화와 균형보다는 강렬한 색채와 격렬한 감정을 중요시하였다. 낭만주의 미술의 선두주자는 다비드의 제자인 그로(Gros)였다. 〈자파의 흑사병 환자〉와 〈에일로 전투〉에는 생생한 색채와 움직임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다. 그로에 의해 시작된 낭만주의 미술은 들라크루아에 의해 완성되었다. 들라크루아는 중세와 종교에서 많은 영감을 얻어 그것을 강열한 색채와 열정으로 표현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단테의 배〉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등이 있다.
프랑스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자는 베를리오즈이다. 그의 음악에는 인간의 열정과 환희, 고통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 고전주의의 틀을 벗어난 그의 작품은 대부분 균형이 없긴 하지만 유연한 선율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극작품으로 〈벤베누토 첼리니〉와 〈괴테의 지옥〉 등이 있으며, 교향곡에는 〈환상 교향곡〉과 〈장송과 개선 교향곡〉 등이 있다.
낭만주의는 종교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때 합리주의가 득세하면서 종교적 회의론이 팽배했는데 낭만주의가 등장해 사람들의 종교적 심성을 자극한 것이다. 신교도들 사이에서 '신앙 부흥 운동'이 일어났고 가톨릭신자들 사이에서 '라므네 운동'이 나타났다. 라므네 운동은 자유주의적 사제였던 펠리시테 드 라므네가 주도한 운동으로 신과 자유를 조화시키기 위한 운동이었다. 그러나 교황으로부터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