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세기말적 재앙의 시대가 지나고 15세기 중반부터 경제가 서서히 회복되었고 인구도 증가하였다. 흔히 '16세기적 현상'이라고 불리는 이 경제 성장은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 때문이었다. 황금의 땅, 아메리카 대륙이 발견되면서 엄청난 양의 금과 은이 유럽으로 흘러 들어왔고 그에 힘입어 상업과 도시가 성장한 것이다.

그러나 상업 발달의 혜택이 모든 계층에게 고르게 분배된 것은 아니었다. 신대륙에서 들어온 금과 은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였지만 당시의 생산 수준으로는 증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물가가 급등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다.

이런 상황이 되자 상인이나 화폐 지대를 내는 농민들은 이익을 보았지만, 화폐 지대를 받는 영주나 도시 임금노동자들은 불이익을 보았다. 또한 영주들은 상인 부르주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곤해졌고, 이러한 경제적 빈곤은 영주들을 몰락시킨 요인이 되었다. 도시 하층민들은 절대적 빈곤에 허덕였다. 그들의 극심한 궁핍함을 해결하기 위해 1520년부터 빈민구제 대책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부르주아들은 16세기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급격히 성장하였다. 그런데 프랑스 부르주아들은 상업을 통해 얻은 이윤을 상업이나 금융업에 재투자하기보다는 토지를 구입하거나 관직으로 진출하는 데에 주로 사용하였다. 그들은 주로 법관이나 관료층으로 진출하였다. 이후 일정한 세금만 내면 관직을 세습시킬 수 있는 폴레트세가 제정되면서 부르주아들의 관직은 대대로 세습되었다. 관직을 세습시킬 수 있게 된 부르주아들은 새로운 귀족층을 형성하였다. 전통적인 혈통 귀족이 대검(帶劍) 귀족이라고 불린데 비해 새 귀족층은 법복(法服) 귀족이라고 불렸다. 국왕은 전통 귀족들을 견제하기 위해 이들 새 귀족들과 결탁하였다.

16세기에는 법률이나 문화에 관련된 고등교육을 받는 것이 필요했다.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윤선자 집필자 소개

서양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다양한 저술 활동 중이다. 현재는 전근대 사회의 샤리바리와 군주의 입성식을 비롯해 19세기 정치적 축제(기념제) 등을 연구중이며 고려대, 순천향대, 충북대 등에서 서양..펼쳐보기

출처

이야기 프랑스사
이야기 프랑스사 | 저자윤선자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주변국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프랑스의 역사를 살펴본다. 프랑스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면서, 어느 한 분야에 치중하지 않고 역사의 다양한 모습..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16세기적 현상이야기 프랑스사, 윤선자,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