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스사
계몽사상의 보급
비판적인 계몽사상의 보급은 18세기 말 프랑스 대혁명의 발생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것은 살롱과 도서관, 프리메이슨 협회 등을 통해 부르주아 식자층 사이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그중 조프랑 부인의 살롱과 드팡 부인의 살롱이 유명했다. 드팡 부인의 살롱은 볼테르가 자주 드나들었던 곳으로 프랑스와 영국의 학문 교류에도 기여했다.
18세기 중엽이 되자 루이 15세의 애첩이었던 퐁파두르 부인의 살롱이 유명해졌다. 그곳은 1770년 이후 자유주의 계몽사상을 전국에 보급시키는 진원지 역할을 하였으며 당대의 이름난 학자인 다르장송과 말제브르, 쇼아죌 등이 출입하였다. 18세기 초의 학문적이고 문학적인 성격의 살롱이 이때에 와서는 이미 매우 정치적인 살롱으로 변화되어 있었다. 레스피나스 양의 살롱과 네케르 부인의 살롱은 특히 정치적인 성격을 가졌던 대표적인 살롱이었다.
아카데미는 살롱과는 달리 남성들만으로 구성된 좀 더 진지한 모임이었다. 프랑스 아카데미의 기원은 16세기에 설립된 콜레주 드 프랑스였다. 그 이후 17세기에 파리에 과학 아카데미가 창설되었고 18세기 중반에는 대부분의 중간 도시와 대도시에 시가 운영하는 시 아카데미가 세워졌다. 아카데미는 학문과 예술, 특히 과학을 연구하고 발달시키는 중심지였다.
신비주의적 비밀단체인 프리메이슨 협회 역시 계몽사상의 보급에 기여하였다. 1721년 영국에서 도입된 프리메이슨 협회는 신비주의적이고 상징주의적인 입회의식과 회원들 간의 자유, 평등, 박애 원칙으로 유명하였다. 그런데 그 협회의 회원 중에는 자유주의적 사상을 지닌 귀족이나 부르주아들이 많았는데 이들을 중심으로 계몽사상은 공유되고 전파되었다.
마지막으로 18세기 도시의 소학교와 중등학교(콜레주) 역시 계몽사상의 보급에 도움이 되었다. 당시 학생들은 계몽사상의 중요한 독자이자 청중이었다.
이처럼 계몽사상은 부르주아를 중심으로 보급되고 확산되었다. 게다가 점점 인쇄술이 발달하고 문자 해독 능력이 완만하게나마 증가하면서 계몽사상의 독자층도 급속히 확대되었다. 루이 14세 시대에는 궁정만이 사상과 문화적 취향을 창출하는 장소였지만 18세기가 되면 살롱과 아카데미를 통해 부르주아 엘리트들도 글을 읽고 토론과 논쟁에 가담했다. 그리고 그들의 주도로 공공 여론이 형성되었는데, 이후 그것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제 살롱과 카페에서 형성된 여론은 정치적 향방에 매우 중요해졌다.
그렇다면 민중, 농민과 노동자들은 계몽사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었을까? 대답은 부정적이다. 서적 보급률이 증가하였다고 하지만 여전히 민중들은 쉽게 서적을 손에 넣을 수 없었다. 그리고 그들 대다수는 문맹으로서 책을 구한다고 해도 그것을 읽을 수 없었다. 그래서 공공장소에서 책을 읽어주는 공적 독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 결과 계몽사상이 민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았지만, 샤르티에가 언급한 대로 최소한 민중들의 담론을 정치화시키는 데는 기여하였다. 민중들은 점차 광장과 선술집에서 사회와 정치 문제를 논하기 시작했고, 그것은 혁명 직전 반정부적 여론을 형성하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그것 역시 일부 지역에 국한되었다. 전체적으로 18세기의 농민과 노동자들은 계몽사상이나 정치에 무관심했다. 그렇다면 대혁명 이후 그들이 혁명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그것은 계몽사상의 영향 때문이라기보다는 1775년에서 1789년 사이에 악화된 사회적 대립과 경제적 침체의 결과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즉 그들의 혁명적 행동은 정치적 신념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생존을 위한 항거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