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레 미제라블 자기희생과 속죄를 통해 성자로 거듭나는 한 인간의 거룩한 이야기. 역사, 사회, 철학, 종교, 인간사의 .. 레 미제라블 출처 세계문학전집
  3. BEST 03 유연전 조선 중기에 이항복(李恒福)이 지은 유연(柳淵)의 전(傳).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 오랜 기간이 지난 뒤에.. 백사집(권16) / 잡저 유연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BEST 04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감독은 빅터 플레밍, 각본은 시드니 하워드가 맡았다. 원작은 퓰리처상을 수상한 마거릿 미첼의 동명 소설이..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출처 다음백과
  5. 영주 무섬마을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물수리’의 우리말 이름을 가진 전통마을이다. 때로는 중국 섬계 지역의 지형과 비슷하다 하여 ‘섬계마을’이라고도 불린다. 40여 가구의 전통가옥이 마을을 이루고 있는데 이..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6.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7. 비비안 리 탁월한 미모의 소유자인 비비안 리는 편견을 깨고 출중한 연기력을 보여주면서 할리우드의 톱스타가 됐다. 그.. 비비안 리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8. 남해 용문사 괘불탱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용문사에 소장된 1769년에 제작된 괘불. 보물 제1446호. 삼베바탕에 .. 남해 용문사 괘불탱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남해 용문사 목조 사천왕상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조성된 불교조각상. 사천왕상. 200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천왕은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외호신으로, 사찰 경내로 들어서는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나카야마 미호 나카야마 미호는 일본의 영화배우이자 가수다. 1985년 TV 드라마와 가수로 데뷔하여 아이돌 가수로 인기.. 나카야마 미호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11.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12.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13.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14. 임을 위한 행진곡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추모하는 노래이자,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민중가요. 1981년 5월, 백기완의 미발표 장시 「묏비나리」(1980)의 한 부분을 차용하여 소설가 황석영이 가사를 짓고, 전남..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현수교 가장 오래된 시공형태의 하나이지만 현대에도 가장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현수교는 항해 가능한 유수 위에 .. 현수교 출처 다음백과
  16.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7.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18. 차례 지내는 순서 명절에 지내는 제사인 차례를 지내는 방식. 이전에는 명절과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꼭두새벽부터 차례를 지.. 차례 지내는 순서 출처 다음백과
  19. 김용현 해방 이후 「강릉농악」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농악인. 국가무형유산 강릉농악 전(前) 예능보유자. 1923년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진리 하평 출생. 하평에는 역사가 깊은 농악대가 있었는데, 김용현이 15세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제사상에 놓인 음식에 정해진 자리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느 문화이든지 그들이 생각하는 우주의 모습은 모든 문화 속에 배어 있습니다. 절에 가서 법당에 그려놓은.. 출처 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