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망종 소만과 하지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6월 6일 무렵이다. 망종은 논보리나 벼 등 씨앗에 수염.. 절기도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더 파이브 <더 파이브>는 2010년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스토리를 작가가 .. 더 파이브 출처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된 만화
  3. BEST 03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BEST 04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5.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6. 팝페라 팝과 오페라의 경계를 넘나드는 음악 장르 또는 대중화한 오페라 팝과 오페라의 경계를 넘나드는 음악 장르 .. 사라 브라이트만 출처 똑소리나는 일반상식
  7. 영주 무섬마을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에 있는 무섬마을은 안동의 하회마을, 예천의 회룡포, 영월의 선암마을과 청령..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8. 휴스 미국의 제조업자·비행조종사·영화제작자. 대중 앞에 나서기를 싫어한 것으로 유명했으며, 대중을 피해서 은둔.. 휴스(Howard Robard Hughes) 출처 다음백과
  9. 하지 24절기의 하나.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5월, 양력으로 6월 21일께가 된다. 북반구에 있어서 낮이 가장 길며, 정오의 태양 높이도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다. 북극지방에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단장의미아리고개 1956년에 발표된 대중가요. 사단조, 2/4박자, 27마디 가창부, 2절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반야월 작사, 이재호 작곡, 이해연 노래로 녹음되어 1957년에 오아시스레코드에서 음반이 발매되었다. 한국전쟁 당..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12.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롯데월드타워 출처 다음백과
  13.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4. 절기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 절기도 출처 다음백과
  15. 보리암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금산(錦山) 남쪽 봉우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암자. .. 남해 보리암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 구인사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있는 대한불교천태종의 총본산 사찰. 원각 상월(圓覺上月, 1911~1974)이 .. 구인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마곡사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640년(신라 선덕여왕 9)에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온 자장 율사가 통도사·.. 마곡사대웅보전 출처 다음백과
  18. 도슨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전문 안내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사.. 도슨트 출처 다음백과
  19. 화양연화 왕자웨이의 멜로 영화? 언뜻 어울리지 않는 것 같지만 가만 생각해 보니 그의 영화들은 항상 멜로드라마가 .. 화양연화 출처 영화는 쉬지 않는다
  20.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