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삼재

다른 표기 언어 三災 동의어 삼재액, 삼재운
요약 테이블
유형 개념
분야 종교·철학/민간신앙

요약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내용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있다. 사람에게 드는 삼재년(三災年) 또는 액년(厄年)은 해마다 누구에게나 드는 것이 아니다.

십이지(十二支)로 따져 들게 되는데, 사(巳) · 유(酉) · 축(丑)이 든 해에 태어난 사람은 해(亥) · 자(子) · 축(丑)이 되는 해에 삼재가 들고, 신(申) · 자(子) · 진(辰)이 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인(寅) · 묘(卯) · 진(辰)이 되는 해에 삼재가 들며, 해(亥) · 묘(卯) · 미(未)가 든 해에 출생한 사람은 사(巳) · 오(午) · 미(未)가 되는 해에 삼재가 들고, 인(寅) · 오(午) · 술(戌)이 든 해에 출생한 사람은 신(申) · 유(酉) · 술(戌)이 되는 해에 삼재가 든다.

따라서, 사람은 9년마다 주기적으로 삼재년을 맞이하게 되는데, 삼재운(三災運)이 든 첫해를 ‘들삼재’, 둘째 해를 ‘누울삼재’, 셋째 해를 ‘날삼재’라 한다. 가장 불길한 삼재년은 들삼재이고, 그 다음 불길한 삼재년은 누울삼재 · 날삼재의 차례이다.

삼재액이 들면 그에 대한 예방법으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세 마리 매〔鷹〕를 그려 방문 위에 가로 댄 나무〔門楣〕에 붙인다고 하였다. 현 풍속에서는 머리가 셋이고 몸뚱이가 하나인 매를 붉은 물감으로 그려 방문 위에 붙이거나, 삼재가 든 사람의 옷을 세 갈림길에 나가서 태우고 빌거나, 첫 호랑이날〔初寅日〕과 첫 말날〔初午日〕에 세 갈림길에 나가서 밥 세 그릇과 과실을 차리고 촛불을 켜놓고 빈다.

정월 보름에 삼재가 든 사람의 버선본을 종이로 오려 대나무에 끼워 지붕의 용마루에 꽂아놓고 동쪽을 향해 일곱 번 절을 하거나, 달집 태울 때 자기 옷의 동정을 태우거나 삼재 부적(符籍)을 무당이나 경문쟁이〔經文匠〕으로부터 받아 몸에 지니는 풍속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 『한국민속학개설(韓國民俗學槪說)』(이두현 외, 1974)
  • ・ 『한국세시풍속(韓國歲時風俗)』(임동권, 서문당, 1973)
  • ・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문화재관리국, 1972)
  • ・ 『한국(韓國)의 세시풍속(歲時風俗)』(최상수, 홍인문화사, 196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화재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삼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