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국가의전 서열 국가의전 서열은 외교 의례나 국가 기념일 등 공식적인 행사에서 국가 주요 요인의 서열로서, 외교부에서 발간하는 의전 실무편람에 따른다. 이 서열이 실제 권한이나 권력의 서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국가..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2. BEST 02 프란치스코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제266대 교황이다. 본명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Jorge M.. 프란치스코 교황(Pope Francis)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3. BEST 03 콘클라베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모이는 추기경들의 회의와 이때 그들이 엄격히 격리되는 방식을 일컫는 말. 초대 교회에서 로마 주교는 다른 도시에서 주교를 선출하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선출되었다..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파기자판 사후심 법원이 상소이유가 있다고 인정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에 대해 스스로 재판하는 것. 항소법원이 심리한 결과 항소이유가 있다고 인정된 때에는 원심판결을 파기해야 하며, 원심판결을 파기한 경우에는 파기환송.. 출처 다음백과
  6. 추기경 로마 교황청의 종신직 고위 성직자. 주요 교구의 주교이며 교황의 특사로도 일한다. 6세기초 로마의 7개 .. 추기경(cardinal) 출처 다음백과
  7.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8. 흉노족 지금도 우린 가을을 가리켜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라고 표현한다. 해석하면 ‘하늘은 높고 말은 살.. 말이 흉노족을 짓밟고 있는 마답흉노상 출처 지도에서 사라진 사람들
  9. 성녕대군 조선전기 제3대왕 태종의 넷째 아들인 왕자. 이름은 이종(李褈)[원문은 이종(李礻+重)]. 조선 제3대 왕 태종의 넷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민제(閔霽)의 딸인 원경왕후(元敬王后)이다. 부인은 창녕성씨(昌寧成氏)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곽선 고려후기 양광, 전라도체찰사를 역임한 문신. 1376년(우왕 2) 왜구의 침입이 심해지자 양광·전라도체찰사에 임명되어, 장수·수령들이 방어하는 근태를 살피고 돌아와 전라도원수 하을지가 정해진 인원 이상으로 연호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추기경 추기경은 교황이 선임하는 최고 고문으로, 교황 다음의 고위 성직자이다. 추기경이란 말은 문에 달린 경첩을 의미하는 라틴어 ‘cardo’에서 온 말로, 교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직책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추..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2.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13.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14. 빌런 빌런은 무언가에 집착하거나 평범한 사람과 다른 행동을 보이는 괴짜를 일컫는 말이다. 이 용어는 라틴어 ‘.. 빌런(villain)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5. 과식, 콜레스테롤도 높인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걱정돼 기름진 음식을 피해도, 과식하면 콜레스테롤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에서 1만 4000여 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식사 횟수와 식사량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하.. 출처 과학향기
  16.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7. 대법원장 사법부의 최고상급기관인 대법원의 우두머리가 되는 지위.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며, 그 자격은.. 법원장 회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김한로 조선 전기에, 판한성부사, 예조판서, 의정부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아버지는 광산군(光山君) 김자빈(金子贇)이고, 태종의 장남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장인이다. 1383년(우왕 9) 문과에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국제전화 국가번호 국제전화를 위해 만든 국가별 지정번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국제전화를 위해 만든 국가별 지정번호다.. 전 세계의 지역별 국가번호를 색깔별로 나타낸 지도 출처 다음백과
  20. 49재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