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빌런 빌런은 무언가에 집착하거나 평범한 사람과 다른 행동을 보이는 괴짜를 일컫는 말이다. 이 용어는 라틴어 ‘.. 빌런(villain)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2. BEST 02 가스라이팅 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 '심리 지배'라고.. 등불 출처 다음백과
  3. BEST 03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질역재.. 삼재 부적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BEST 04 가결 어떤 회의에 상정된 안건을 승인하기로 하는 결정. 정상적인 논의와 표결에 따른 결정을 말한다. 가결에 필요한 의결정족수는 회의의 성격과 다루는 안건에 따라 따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회법>의 경우, 따로 .. 출처 다음백과
  5. 나혜석의 구미 만유 구미 만유기(歐米漫遊期) 일 년 팔 개월 간의 나의 생활은 이러하얏다. 단발을 하고 양복을 입고 이나 차.. 「비 오는 날 파리 거리」, 귀스타브 카유보트 출처 조선 사람의 세계여행
  6. 아모르 파티 운명에 대한 사랑.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운명관을 나타내는 용어다. 삶의 필연성을 긍정하고 사랑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운명에 대한 사랑을 뜻한다. 라틴어로 ‘사랑’을 뜻하는 아모르(Amor)와 ‘운명’을 뜻하.. 출처 다음백과
  7. 몬테네그로 유럽 남동부 발칸반도 아드리아 연안에 위치한 공화국. 몬테네그로는 발칸유럽 남동부 지역에 위치한 유럽 내.. 몬테네그로의 국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9.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민주화 운동. 5월 18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출처 다음백과
  10. 인조반정 1623년(광해군 15)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집권당인 대북파를 몰아내고 능양군(인조)을 왕으로 세운 .. 이원익 출처 다음백과
  11.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12. 사순 시기 기독교에서 재의 수요일에 시작해 부활절 전까지 계속되는 시기. 예수 그리스도가 광야에서 금식한 것을 본따.. 사순절(Lent) 출처 다음백과
  13. 한보 사태와 김현철 구속 한보철강이 부도를 냈다. 한보철강은 재계 순위 14위이던 한보그룹의 주력 기업이었다. 한보철강 부도는 정계 ・ 관계에 부당한 로비를 하고, 이를 통해 감당할 수 없는 빚을 끌어들여 사업을 확장하다 빚어진 일이었다.. 출처 세계사와 함께 보는 타임라인 한국사 5
  14. 윤달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윤달은 태음력상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다. 태음력에서의 1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이를 1년 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리플리증후군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자신이 만든 허구를 진실이라고 믿고 거짓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 태양은 가득히(1960) 출처 다음백과
  16. 인조의 가계도 [출생] 1595년 [사망] 1649년 [재위] 1623년 03월 ~ 1649년 05월 인조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7. 소시오패스 사회를 뜻하는‘소시오(socio)’와 병리 상태를 의미하는 ‘패시(pathy)’의 합성어로 법규 무시, .. 소시오패스 출처 똑소리나는 일반상식
  18. 숙종의 가계도 [출생] 1661년 [사망] 1720년 [재위] 1674년 08월 ~ 1720년 06월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9. 명일 ‘밝을 명(明)’에 ‘날 일(日)’이 조합된 이 단어는 글자 그대로 앞으로 밝아오는 날을 가리킨다. 지금.. 명일 출처 우리말 1000가지
  20. 초치 초치는 사전적 의미로 ‘불러들인다’는 뜻이지만 외교적 용어로 상대국의 행동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그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 상대국 외교관을 외교 당국 사무실로 부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실상 강한 항의..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