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고려 조회순 목록
-
삼별초 (三別抄) 삼별초는 고려시대 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의 명칭이다. 무신집권기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존재하던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말한다. ..
-
광종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 光宗) 949년 정종의 뒤를 이어 제4대 왕이 된 광종은 태조의 3남으로 정종의 친아우이며 태조의 제3왕비 신명순성왕후 유씨 소생이다. 즉위 당시 ..
-
공민왕 (고려 제31대 왕, 恭愍王) 친원 세력을 제거하고 개혁 정치를 추진한 고려 제31대 왕. 충숙왕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기이며 1351년 왕위에 올라 원명교체라는 대륙정세..
-
명심보감 (明心寶鑑) 수신양성(修身養性) · 안신입명(安身立命) 등에 관한 옛 명현들의 논술 및 면학권선(勉學權善)의 내용을 담은 동몽서(童蒙書). 아동학습서. ..
-
이자겸의 난 (rebellion of Lee Jagyeom) 1126년(인종 4) 왕실의 외척이었던 이자겸(李資謙)이 왕위를 찬탈하려고 일으킨 반란. 이자겸의 난은 척준경(拓俊京)과 그의 군사적 배경이..
-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은진미륵, 論山 灌燭寺 石造 彌勒菩薩 立像)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미륵보살입상. 201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 석조불상 중에서 가장 큰 불상으로서 크기가 ..
-
직지심체요절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直指心體要節) 고려의 고승 백운화상(白雲和尙) 경한(景閑)이 저술한 책. 원명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며, 약칭으로 〈직지심경〉이라고도 한다. 이..
-
봉선사 (운악사(雲岳寺), 奉先寺) 봉선사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에 있는 고려 전기 승려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한 사찰이다. 원래 이름은 운악사였으나, 조선 예종대에 세조를 추..
-
요동정벌 (遼東征伐) 14세기 중반 원나라에서 명나라로 정권이 교체되는 시기에 고려는 친명외교를 표방하면서도 원과의 외교관계를 이어갔다. 명나라는 요동에서 원의 ..
-
혜종 (고려 2대왕, 惠宗) 태조 왕건이 재위 26년 만인 943년 67세로 사망하자, 고려 제2대 임금에 혜종이 즉위했다. 혜종은 인덕(仁德)·명효(明孝)·선현(宣顯)..
-
음서제도 (공음, 蔭敍制度) 고려와 조선시대에 특권신분층인 공신과 양반 등의 신분을 우대하고 유지하기 위해 후손을 관리로 뽑았던 제도. 신라시대에 공신의 자식에게 관직을..
-
조계종 (曹溪宗) 불교의 한 종파. 고려시대의 11종(宗), 조선시대의 7종 가운데 하나이며, 근대 불교계 유일의 종파로 재발족되었던 종단이다. 고려시대에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