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고려 조회순 목록
-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 雲鶴文 梅甁) 고려시대의 청자 매병.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아가리는 작고 낮게 밖으로 벌어져 있으며, 어깨는 넓고 당당하게 발달되었고 몸 아래쪽으..
-
왜구 (일본인 해적, 倭寇) 왜구는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우리 나라와 중국 해안에서 약탈을 하던 일본의 해적이다. 일본 정국의 불안정으로 남부 지방 일부 세력이 해적..
-
조위총의 난 (趙位寵의 亂) 조위총의 난은 1174년(명종 4)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무신정권(武臣政權)에 반발해 일으킨 저항이다. 이 저항은 1173년..
-
전시과 (田柴科) 전시과는 고려시대 국가에서 전지(田地)와 시지(柴地)를 분급한 토지제도이다. 협의로는 문무 관료 및 직역(職役) 부담자에 대한 수조지(收租地..
-
권문세족 (권문세가(權門勢家), 權門世族) 고려후기 정치세력으로 고려 전기의 문벌귀족, 조선의 양반사대부와 비견되는 지배층. 권문세가 고려 후기의 지배세력은 1170년에 일어난 무신난..
-
최지몽 (최총진(崔聰進), 崔知夢) 최지몽은 고려 전기에 내의령·좌집정·수내사령 등을 역임하며 태조부터 성종까지 섬겼던 문신이다. 그는 천문과 복서에 정통해서 태조의 후삼국통일..
-
연미정 (燕尾亭)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고려시대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정자. 1995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
-
노비안검법 (奴婢按檢法) 고려 광종 때 사노비 가운데 본래 양인이었던 자들을 노비신분에서 해방시키고자 시행한 법. 고려 초기의 호족들은 후삼국시기의 혼란기에 얻은 포..
-
문종 (왕휘(王徽), 文宗) 문종은 고려 전기 제1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046~1083년이며, 형인 제10대 왕 정종에게 아들이 있었지만 형제 상속의 형태를 취해..
-
최영장군설화 (崔瑩將軍說話) 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에 관한 설화. 최영은 무장으로서 수많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고 간신의 발호를 징치한 인물로서, 그의 행적은 『고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