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
---|---|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양지와 습기가 약간 있는 곳 |
꽃색 | 노란색 |
크기 | 키는 약 10~15㎝ 정도 |
학명 |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
용도 | 관상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 |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
개화기 | 4~5월 |
결실기 | 6~7월경 |
눈 속에 피는 봄의 여신
이른 봄 눈 속에서도 피는 꽃 중 하나가 복수초다. 주변에는 아직 눈이 쌓여 있지만 복수초는 키 작은 가지 위에 노란 꽃을 피우곤 한다. 그런데 이것은 눈 속에서 올라와 핀 것이 아니라 먼저 꽃이 핀 상태에서 눈이 내린 것이다.
복수초는 복을 받으며 장수하라는 뜻이 담겨 있는데,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과 중국에서도 그렇게 부른다. 특히 일본에서는 새해가 되면 복수초를 선물하는 풍습이 남아 있다. 또 일본에는 복수초에 대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오랜 옛날 안개의 성에 아름다운 여신 구노가 살고 있었는데 아버지는 구노를 토룡의 신에게 시집보내려고 했다. 토룡의 신을 좋아하지 않았던 구노는 결혼식 날 어디론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아버지와 토룡의 신은 사방으로 찾아 헤매다가 며칠 만에 구노를 발견했다. 화가 난 아버지는 구노를 한 포기 풀로 만들어 버렸는데, 이듬해 이 풀에서 구노와 같이 아름답고 가녀린 노란 꽃이 피어났고, 이 꽃이 바로 복수초이다.
복수초는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양지와 습기가 약간 있는 곳에서 자란다. 키는 10~15㎝이고, 잎은 3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둔하고 털이 없다.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면 꽃 뒤쪽으로 잎이 전개되기 시작한다.
꽃은 4~5월에 피며, 크기는 4~6㎝로 줄기 끝에 한 송이가 달린다. 꽃잎이 아주 많은 것이 특징이다. 꽃 한 가운데는 노란색 수술이 가득 모여 있고, 그 수술 속에 돌기가 여러 개 난 연둣빛 암술이 들어 있다. 열매는 6~7월경에 별사탕처럼 울퉁불퉁하게 달린다.
복수초는 우리나라에는 최근 3종류가 보고되어 있다. 제주도에서 자라는 세복수초와 개복수초, 그리고 복수초가 바로 그것이다. 여름이 되면 온도가 올라가 말라죽고 자취를 감추고 마는 것이 이들 복수초들의 특징이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가지복수초, 가지복소초, 눈색이꽃, 복풀이라고도 하고 또 지방에 따라 얼음새꽃, 원단화라고도 한다.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해서 ‘설연’이라는 이름도 있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꽃말은 ‘영원한 행복’이다.
직접 가꾸기
복수초는 6~7월에 결실되는 종자를 화분에 바로 뿌리거나 가을에 포기를 나눈다. 화분이나 화단에 심는데, 양지 바른 곳과 물 빠짐이 좋게 해야 한다. 화분에 심은 꽃은 그 해에는 꽃이 탐스럽게 피지만 다음 해부터는 꽃이 작게 피는 게 특이하다. 생육 때문이므로 퇴비를 추가로 줘야 본래 크기의 꽃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물은 자주 주지 않아도 된다. 또 유기질이 많은 흙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까운 식물들
• 세복수초 : 꽃송이가 크고 꽃이 필 때 잎이 같이 올라온다. 봄날 한라산에 눈이 내리면 세복수꽃은 마치 눈 속에 피어난 것처럼 된다.
• 개복수초 : 가지가 갈려져 꽃이 세 개까지 달린다. 덕적도와 백아도 등에 분포한다.
• 가지복수초 : 복수초에 비해 가지가 더 잘게 갈라지며 갈라진 잎조각이 가늘다. 경기도 광릉에 분포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0..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복수초 – 야생화 백과사전 : 봄편, 정연옥, 가람누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