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향토음식 鄕土飮食새로운 향토요리가 개발되고 있다. 서울지방 서울은 양반음식이라고 하나 기실 생산하는 식료품은 별로 없다. 그러면서 음식이 사치스럽기는 개성·전주와 쌍벽을 이룬다. 특히 조선시대에서부터 계속 우리 나라의 수도였기에, 음식은 궁중의 풍속을 따라 격식이 복잡하고 맵시를 보는 전통이 전해졌다. 따라서 관북...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
현풍곰탕끓인다. 6. 24시간 정도 푹 끓인 후 대파는 마늘을 건져 내고 양지머리도 건져 납작하게 썬 다음 다시 넣는다. 7. 곰탕을 뚝배기에 담고 송송 썬 파, 후춧가루, 소금을 곁들인다. 참고사항 곰탕은 황해도의 해주곰탕, 전라도의 나주곰탕, 경상도의 현풍곰탕이 유명하며 현풍곰탕은 경상북도 달성군 현풍면의 향토음식...
- 분류 :
- 부식류 > 국 및 탕류 > 토장국 > 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수수부꾸미거피팥에 꿀과 계피가루를 쳐서 볶아 계피떡처럼 소를 넣고 보시기로 반달처럼 떠서 꿀을 찍어 먹는다.’라고 하였다. 수수부꾸미는 잡곡이 많이 나는 황해도의 전통 떡으로 모양이 사치하지 않고 색이 은은하며 구수한 고향의 맛을 내는 떡이다. 경기도에서 많이 나는 수수를 이용하여 만든 부침으로 찹쌀 부꾸미와...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기름을 이용하여 익히는 음식
-
냉콩국수콩국수와 깨국수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꽤 오래된 음식임을 알 수 있다. 냉콩국수는 냉콩국에 밀국수를 말아 먹는 것으로 냉콩국은 원래 충청도와 황해도 지방에서 많이 하는 음식인데, 이것이 점차 경기지방으로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콩국수는 전지역에서 애용하는 상용음식이나 밀국수 대신 차수수 경단을 사용...
- 분류 :
- 주식류 > 국수 및 수제비류 > 국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김치밥뜨거울 때 양념장을 넣어 비벼 먹는다. 참고사항 김치밥은 겨울철에 잘 익은 김장김치를 쌀에 섞어 짓는 별미식이다. 반찬이 없을 때 손쉽게 해먹을 수 있는 음식이며,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 잘 해먹었는데, 특히 농촌지역, 황해도, 평안도 지방에서 즐겨 만들어 먹었으며 서울, 경기 지방의 김치밥에는 쇠고기로 맛을...
- 분류 :
- 주식류 > 밥류 > 비빔밥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배피떡푹 쪄서 절구에 찧는다. 5. 찐 찹쌀을 조금씩 떼어 3의 녹두고물소를 넣고 6cm정도의 길이의 타원형으로 빚어서 콩가루를 묻힌다. 참고사항 개성지방의 향토음식으로 찹쌀을 불려 쪄서 절구에 치는 과정은 인절미와 같으나 녹두고물을 뭉쳐 소로 만들어 넣고 콩고물을 묻히는 것이 차이가 있다. 황해도 지방의 오쟁이떡...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달강어찌개 장대찌개간하고 어슷썬 대파를 넣는다. 참고사항 달강어는 충남에서는 닥재기, 전남에서는 장대, 동해안에서는 예달재, 함경도에서는 달재, 평안북도에서는 숫달재, 황해도에서는 줄어치라 불린다. 달강어는 몸이 가늘고 길며, 몸 전체에 가시가 나 있는 빗 모양의 거친 비닐이 있고, 등 쪽이 붉은색, 배 쪽이 흰색을 띄는...
- 분류 :
- 부식류 > 전골 및 찌개류 > 찌개 > 채소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음식 飮食것이 많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전복죽·전복소라회·자리회·옥돔미역국·오분자기찌개·자리젓·돼지족탕 등과 얍개·중개·솔편 등의 향토떡이 있다. [2.7. 황해도] 음식의 특성은 구수하고 소박하며, 떡이나 만두 등의 음식은 그 크기가 매우 큼직하다. 칼국수나 만두에는 닭고기를 많이 쓰며,김치가 맑고 시원하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되비지탕내용 황해도의 향토음식으로 유명하나 황해도를 비롯한 이북 전지역에서 즐기는 음식이다. 만드는 법은 돼지고기를 잘게 썰어 볶은 다음 되비지를 넣고 끓이는데,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오래 끓인다. 한소끔 끓으려고 할 때 배추 데친 것을 잘게 썰어 넣고 다시 약한 불에 끓인다. 표면에 노란 꺼풀이 생기게 되면...
- 성격 :
- 향토음식, 찌개
- 유형 :
- 물품
- 용도 :
- 의생활
- 분야 :
- 생활/식생활
-
음식디미방과 규합총서 조선의 맛을 탐색하다지방의 향토 음식과 일본 음식까지 도입해 『수문사설(鎪聞事說)』(1740년대 추정)을 내놓았다. 19세기에는 빙허각(憑虛閣) 이씨(李氏)가 전서(全書) 3부 11책 중 제1부인 『규합총서(閨閤叢書)』(1809년경)의 주사의(酒食議)에서 조리법을 상세히 풀어놓았다. 한편 청나라 조리서의 필사본인 『식경(食經)』이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