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주도의 향토음식
    제주도는 외딴섬으로 쌀농사는 적고 대신 밭벼가 약간 있으며, 밭곡식은 조·피·보리·메밀 등 잡곡이 주가 된다. 따라서 예전의 식사는 통상 잡곡밥에 된장을 푼 배춧국·콩잎국·무국 등을 곁들이고 각종 자반을 놓았다. 제주도 음식은 재료가 간단하고 대체로 짠 편이며 해물은 회로 즐겨 먹는다. 또 기후가 따뜻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식
  • 오메기떡
    식재료 차조 1kg, 콩가루 170g(2컵), 팥고물 230g(2컵), 반죽물 400mL(2컵), 소금 약간 조리방법 1. 차조를 8시간 정도 물에 불려 건져 소금을 넣어 빻아 가루로 만든다. 2. 차조가루를 50℃ 정도의 미지근한 물로 반죽을 하여 지름 5cm 정도로 둥글게 빚어 가운데 구멍을 낸다. 3. 2를 끓는 물에 삶아서 건져 낸 후...
    분류 :
    떡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향토음식 鄕土飮食
    한편으로는 향토 별미로서 사랑을 받는 음식이 되었다. 강원도의 감자는 하얀 분이 많이 나고 질척거리지 않으며 특히 맛이 좋다. 옥수수도 알이 굵고 차진 것이 유명한 찰옥수수이다. 감자로 음식을 만드는 법이 많은데 통으로 쓰기도 하나 주로 강판에 갈아서 녹말을 내어 이용하는 것이 특색이다. 이렇게 하면 상당히...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식생활
  • 함흥냉면 咸興冷麵
    향토음식이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다. 함흥냉면도 그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감자녹말을 주원료로 하여 매우 질긴 국수를 만들고, 함흥지방 바닷가에서...월남민에 의해서 남쪽지방에도 알려지게 되었는데, 함경도지방과는 풍토가 달라 재료에 차이가 난다. 냉면국수에 들어가는 녹말이 감자녹말에서 제주도의...
    성격 :
    향토음식, 국수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식생활
  • 양하국 양애국
    잘 볶아 물을 붓고 끓여 육수를 만든다). 3. 양하는 빨리 익혀 먹는 것이므로 국물이 끓으면 양하를 넣고 간을 한 후 보릿가루를 풀어 낸다. 참고사항 ·제주도에서‘양애’라고 불리는 양하는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독특한 향이 있으며 예로부터 남부 지방 특히 제주도에서 많이 심었다. ·늦은 봄에는 양하의 줄기...
    분류 :
    부식류 > 국 및 탕류 > 맑은국 > 어패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상동술 삼동술
    넓은 병에 상동열매를 넣고 소주를 부어 찬 곳에 보관한다. 2. 2개월 정도 지난 후에 면포에 걸러 다른 병에 보관해 둔다. 참고사항 상동나무 열매는 제주도의 중산간 지대에서 주로 열리는데, 특히 남제주군 안덕면 서광리의 ‘삼박구석’ 이라는 일대에서 많이 열린다. 상동열매는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 중에 따며 잘...
    분류 :
    발효식품류 > 주류 > 기타류
    성격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꿩메밀칼국수 꿩마말칼국수
    3. 육수에 채 썬 무를 넣고 국물이 끓으면 메밀국수를 넣고 한소끔 끓인 다음 소금이나 국간장으로 간을 하고 달걀을 풀어 넣는다. 칼국수를 대접에 담고 김가루, 깨소금, 잘게 찢어 놓은 꿩고기를 고명으로 얹는다. 참고사항 제주도의 관광자원이기도 한 꿩은 메밀과 잘 어울리는 식품으로 겨울철 별미로 먹는 음식이다...
    분류 :
    주식류 > 국수 및 수제비류 > 국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좁쌀밥 조팝
    가을과 겨울에는 보리를 섞은 조밥을 먹었고 가끔 톳밥이나 파래밥, 고구마밥(감제밥)도 먹었다. 제조 사람들은 일 년의 반 이상을 조밥을 먹고 지냈는데, 제주도의 화신회토 토양이 조를 키우는데 적절하여 조의 수확이 잘 되었기 때문이다. 좀쌀은 크게 차조와 메조로 나누는데 차조를 흐린좁살, 메조를 모인좁쌀...
    분류 :
    주식류 > 밥류 > 잡곡 및 견과류밥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메밀총떡 메밀전병
    중 하나로서 고산지대 자갈밭에서 수확한 것이 품질이 좋아 이를 이용한 음식이 많다. 메밀은 특히 우리나라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며, 제주도에서는 ''빙떡''이라는 유사한 음식이 있다. ·전병소의 재료로 능쟁이나물과 말린 고춧잎을 데쳐서 사용했는데, 최근에는 배추김치와 돼지고기를 섞어서...
    분류 :
    떡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기름을 이용하여 익히는 음식
  • 다금바리회
    초고추장 적량 조리방법 1. 다금바리의 껍질을 벗기고 살을 얇게 저민다. 2. 1에 초고추장을 곁들인다. 참고사항 농어목 농어과의 바닷물고기이다. 제주도에서는 구문쟁이, 부산에서는 뻘농어로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근처의 남해안에서 발견되는 열대성 어류로 주로 깊이가 100~200cm 정도인 다소 깊은 바다로...
    분류 :
    부식류 > 회류 > 생회 > 어패류
    성격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날것에 조미료를 곁들여 먹는 음식
  • 자리돔구이 자리구이
    식재료 자리돔(자리) 500g, 소금 2작은술 조리방법 1. 자리돔을 통째로 굵은 소금을 뿌려 굽는다. 참고사항 ㆍ자리는 ''자리돔''을 칭하며 제주도 명물 중의 하나로 색깔이 검은 도미과에 속하는 생선이다. 5~8월까지 제주도 근해에서 잡히는데, 보리베기가 한창인 무렵의 것이 가장 맛이 좋다. ㆍ자리돔구이를 제상에...
    분류 :
    부식류 > 구이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굽는 음식
  • 닭제골
    얹어 그 위에 대꼬챙이를 걸쳐 놓는다. 4. 대꼬챙이 위에 닭을 얹어 뚜껑을 덮고 중탕을 하여 빈 뚝배기 속에 받아진 닭의 진국을 마신다. 참고사항 제주도에서는 대부분 봄 병아리를 사다가 집에서 놓아 기르는 경우가 많다. 이 병아리는 음력 6월 20일 경이면 먹음직스런 중닭이 된다. 음력 6월 20일을 이 고장에서는...
    분류 :
    부식류 > 조림류 > 지짐이 > 육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