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욕구요구욕망 말하는 짐승으로서의 인간의 본성
    라캉의 욕망은 그와 유사한 개념들인 욕구요구 등과 함께 놓임으로써 좀더 분명하게 개념화될 수 있다. 흔히 사람의 욕심에는 끝이 없다고 한다. 말 타면 견마(牽馬) 잡히고 싶다는 속담처럼, 하나를 얻으면 또다른 하나를 바라는 것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느낄 수 있는 사람의 욕심의 구조다. 이를 논리적으로 개...
  • 인정투쟁 이론 왜 우리는 ‘SNS 자기과시’에 중독되는가?
    인정의 욕구'가 모든 사람에게 충족되는 사회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후쿠야마의 의도엔 논란이 있을망정, 다음과 같은 진술에 공감하긴 어렵지 않다. "우리가 노동을 하고 돈을 버는 동기는 먹고살기 위함이 아니라, 그러한 활동을 통해서만 우리는 승인받고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돈은 물질적인 것이...
  • 구조주의 윤리철학 언어와 구조 안의 인간
    욕구요구를 구분하는 라캉의 문제의식은 욕구의 진정한 의미를 복원함으로써 욕망이 해방될 가능성을 연다. “요구에 의해 가려진 욕구는 필연적으로 요구를 초월한 형태로 다시 나타난다.” 욕구는 사랑이라는 요구로 바뀜으로써 자신의 특성을 상실한다. 욕구가 주체 스스로에 의한 것이라면 요구는 타자와의...
  • 인간에 대한 이해
    무의식적 욕망이 문명의 억압적 형태나 요구에 저항할 수 있기에 자유를 자극한다. 특히 성적 충동은 훨씬 완강하게 자유로운 충족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리비도는 배고픔과 마찬가지로 본능을 드러내는 힘이다. 배고픔이 영양 섭취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힘이듯이 리비도는 성적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힘이다...
  • 199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환경에 주목했던 90년대 문학
    속수 무책으로 방관만 하고 있어야 하나? 현단계에서 요구되는 문학적 상상력은 인간의 생존의 근거를 위협하는 환경 파괴, 환경 훼손에 대한 주체의 대응...둔 윤리와 생활 양식에 대한 확신으로부터 나와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과잉의, 또는 잉여적인 개체의 욕구, 또는 욕망의 포기와 폐기 위에서 대안적 삶의 양식...
    시기 :
    1994년
  • 바보가 등장하는, 온달전
    요구하는 등 언어 내적 동력성이 매우 강하므로 그 의미망을 확대해야 한다. 이러한 바보 유형의 인물은 우리의 문학 작품에 상당량 있는 것으로 미루어 민중과 친숙한 인물형임에 틀림없다. 사전에서 정의하는 바보 유형이나, 우리 현대 소설의 인물 유형 중에서도 바보는 흔히 볼 수 있다. ㆍ고전 문학의 바보 유형...
  • 동기 動機, motive
    오랫동안 욕구(need)와 욕망(desire)을 인간성격의 주요소로 여겨왔지만 연구자들이 동기라는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환경에 대한 심리적 적응에 적용된 뒤부터였다(다윈설). 이론가들은 다윈의 생각과 동기 사이에는 2가지 중요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첫째, 인간은 동물계의 일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경제 經濟, economy
    희생이 요구되는 '경제재'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경제활동의 대상이 되는 것은 바로 선택의 문제를 수반하는 경제재이며, 경제재에 포함되는 모든 재화의...용역을 지배해서 만족을 얻는 구체적인 소비 활동을 통해 비로소 욕망을 충족시키게 된다. 그러나 모든 재화가 곧바로 생활에 이용될 수 있는 완성재 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더욱 촉진된다. 항문기 동안에 배변을 통한 어린이의 쾌락은 주위의 자기통제 요구와 대립된다. 4~6세까지 지속되는 3번째 기간은 남근기인데, 그는 남성의 성욕...공포를 동반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남자 어린이가 어머니와 자고 싶어하는 욕망과 이를 충족시키는 데 방해가 되는 아버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욕구)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정신분석학 인식론
    충동이 큰 역할을 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은 성적 욕망을 문화와 예술을 통해 표출해왔고, 이 과정에서 예술 형식의 발전에 상당히 기여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가 성적 욕구나 억압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성 개념은 상당히 포괄적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이다. “성...
  • 정신분석학의 윤리철학 무의식의 발견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뿌리 깊은 불신이다. 만약 문명이 욕망 충족의 결과라면 개인이 문명에 불만을 가질 이유가 전혀 없다. 두 손 번쩍 들고 반길 일이어야 한다. 문명이 요구하는 온갖 금지를 불편하게 여기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문명이 욕망을 억누르고 만들어졌음을 반증한다. “문명은 어느 정도의 본능...
  • 르네상스 윤리철학 인간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
    타고난 욕구를 억누를 수 있다고 보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 “수녀가 되면 무욕의 석녀가 된다든가, 곡괭이와 삽질을 하고 나쁜 음식을 먹으며 빈곤 속에서 허덕이는 노동자는 육욕을 잊어버린다는 생각은 어리석은 것이다.” 종교적 형식을 강제하거나 물질적 억제를 하더라도 본능인 이상 막을 수 없다. 선한 자만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