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단칠정 四端七情
    인간의 네 가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마음[心]과 일곱 가지 감정[情]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사칠론·수양론.|내용 사단은 측은지심(惻隱之心) · 수오지심(羞惡之心) · 사양지심(辭讓之心) ·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마음(감정)으로서 각각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의 착한 본성[德]에서 발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사단칠정 四端七情
    맹자 성선설의 근거가 되는 사단은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을 말하는데, 각각 인·의·예·지의 실마리가 된다. 칠정은 〈예기〉 예운 편에 나오는 희·노·애·구·애·오·욕 등 사람이 가진 7가지 감정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성리학이 도입된 초기부터 16세기까지 사단칠정을 이기론으로 설명...
  • 사칠논쟁 (관련어 사단칠정)
    사칠논쟁(四七論爭)은 사단칠정론을 두고 벌어진 이황과 기대승의 성리학 논쟁을 말한다. 사단(四端)은 맹자의,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지단(仁之端),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지단(義之端),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지단(禮之端),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지단(智之端)이라고 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단(端)을 모아서...
    도서 위키백과
  • 사단칠정분이기왕복서 四端七情分理氣往復書
    2책. 목판본.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 天命圖說〉과 그에 대한 이황의 후서를 편수로 해서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편지를 집록했다. 원래 이황의 사단칠정이기설은 〈천명도설〉을 비판한 뒤에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을 모은 이 책의 앞부분에 〈천명도설〉을 실은 것이다. 이황은 정지운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사단칠정분이기왕복서 四端七情分理氣往復書
    는 형이하학적인 개념으로 통용된다. ‘사단칠정분이기’란 사단칠정을 이와 기로 갈라서 분속(分屬)시키는 데 대한 왕복논변한 글을 뜻한다. 즉 사단을 이에, 칠정을 기에 분속시키는 문제에 대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논란한 것이다. 그 발단은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 天命圖說>에서 시작된다. 정지운이...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황, 기대승
    성격 :
    서간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고봉집), 2권(퇴계전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농암선생사단칠정 農巖先生四端七精辨
    개설 조선 성리학을 정초시킨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에 관한 논의를 절충한 김창협의 견해 및 그의 학문이나 출처, 유가경전의 주요 구절에 대한 해석 등을 폭넓게 제시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김창협의 사단칠정설은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종합적 성찰을 시도하려는 의도에서 작성했으므로 많은 논란의...
    시대 :
    조선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이황・기대승의 사단칠정 논쟁
    본성과 통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간의 본성이 그대로 나타난 순수한 상태가 '사단'이다. 그런데 실제 인간의 마음은 만물의 현실적인 상태인 '기'에 좌우되기...따라서 인간의 마음속에는 선한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 나오는데, 그것이 '칠정'이다. 이처럼 이와 기를 분리하는 이황의 학설을 '이기이원론'이라고 한다...
    시대 :
    1559년
    국가/대륙 :
    한국
  • 이이 조선의 으뜸가는 학자
    것이 아니며, 다만 이와 기의 성질을 구분하여 형이상·형이하라고 말하는 것이다(기발이승일도설). 이러한 그의 이기관은 그대로 인간관에 반영된다. 먼저 사단칠정(四端七情)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면, 그는 칠정사단을 포괄한다고 주장했으며, 이에 따라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을 본래 하나의 성...
    출생 :
    1536(중종 31)
    사망 :
    1584(선조 17)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덕수(德水, 지금의 황해도 개풍군 덕수리)
    자 :
    숙헌(叔獻)
    호 :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이황 사단은 이가,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
    학자 지향형 인물로 한국의 성리학 발전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환갑을 바라보는 노학자가 30대에 불과한 젊은 학자 기대승과 8년 동안 편지로 '사단칠정 논쟁'을 한 일화가 유명하다. 말년에는 임명을 받고도 관직에 오르지 않는 등 임명과 사퇴를 반복하고, 50회의 사직서를 제출했다. 사액 서원의 효시가 되었고...
    출생 :
    1501년
    사망 :
    1570년
    국적 :
    한국
  • 이이・성혼의 사단칠정 논쟁
    이이와 성혼이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이황・기대승의 사단칠정 논쟁 참조)을 이어받아 편지를 주고받으며 사단칠정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이이는 기대승을 계승해 사단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칠정 가운데 선한 것을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이'는 머릿속에만 있는 이상일 뿐 현실에 나타나는...
    시대 :
    1572년
    국가/대륙 :
    한국
  • 사단칠정론 四端七情論
    사단칠정을 둘러싼 이 이론적(理氣論的) 논쟁으로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이 대표적이다. 사단이란 맹자가 말한 도덕적 가치의 실마리인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을 말하며, 칠정이란 <예기(禮記) >와 <중용(中庸) >에 나오는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慾)을 말한다. 퇴계...
  • 갈암집 葛庵集
    정만양(鄭萬陽) 및 조카 이만(李槾만)과 주로 교신했다. 성리학에 관해서는 신익황(申益幌)과의 6년간의 논변기록이 있다. 잡저(雜著)에 있는 〈율곡이씨사단칠정서변 栗谷李氏四端七情書辯〉 은 이이와 성혼의 사칠논변(四七論辯)에서 19조목을 뽑아 이이의 논설을 비판한 것이다. 그는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율곡전서 / 사단칠정논변
퇴계선생문집(권16) / 답기명언
천명도설 / 정지운
이황(李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