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단칠정분이기왕복서

다른 표기 언어 四端七情分理氣往復書

요약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인 이황(李滉 : 1501~70)과 기대승(奇大升 : 1527~72)이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사단·칠정·이기에 관해서 8년여에 걸쳐 편지로 논쟁한 글을 모은 책(→ 사단칠정논쟁).

2권 2책. 목판본.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 天命圖說〉과 그에 대한 이황의 후서를 편수로 해서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편지를 집록했다.

이황(李滉)

이황 동상, 서울 남산공원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래 이황의 사단칠정이기설은 〈천명도설〉을 비판한 뒤에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을 모은 이 책의 앞부분에 〈천명도설〉을 실은 것이다. 이황은 정지운이 "사단은 이에서 발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다"고 한 것을 보고 "사단은 이의 발이요, 칠정은 기의 발이다"라고 수정했는데, 기대승이 여기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이황에게 보낸 편지에서, 사단과 칠정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단은 칠정 중에서 선(善)의 측면으로 발로된 정(情)들만을 가려 뽑은 것인데 사단과 칠정을 서로 대립시키고,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이와 기를 따로 떼어 각기 사단과 칠정에 분속시키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하는 이기일원론적 입장에서 이황의 이기이원론적 입장을 비판했다. 이러한 기대승의 반론에 따라 이황은 자신의 이론을 몇 차례에 걸쳐 수정하여 "사단은 이가 발해서 기가 따르고, 칠정은 기가 발해서 이가 탄다"라고 주장하게 된다. 그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이 편지들을 성리학 연구의 기본 자료의 하나로 읽게 되고, 이황과 기대승이 논쟁한 사단칠정이기에 대한 지식의 습득을 성리학 연구의 필수적 요건으로 삼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논구로 사단칠정론 중심의 한국 성리학의 심성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 중국 성리학의 수준을 능가하게 되었다. 또한 이 사단칠정설에서 발생한 이론적 차이가 영남학파·기호학파 또는 주리파·주기파라는 학파의 성립으로 발전했다. 이 책에 수록된 두 사람이 주고받은 편지들은 기대승의 〈고봉집 高峰集〉에는 〈양선생왕복서 兩先生往復書〉(3권)로, 이황의 〈퇴계전서 退溪全書〉에는 제16~17권에 〈논사단칠정서 論四端七情書〉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다. 규장각,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동양철학

동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사단칠정분이기왕복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