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맹자 맹가(孟軻), 孟子전국 시대 노나라 출신의 유교 사상가로, 공자의 유교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왕도 정치와 성선설을 주장했고, 역성혁명에 사상적 근거를 제공했다. 《맹자》는 주자학 이후로 《논어》, 《대학》, 《중용》과 더불어 ‘사서(四書)’의 하나로 유교의 주요 경전이 되었다. 왕도 정치를 주장한 민본주의자 맹자는 전...
- 출생 :
- BC 372
- 사망 :
- BC 287경
-
맹자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추(鄒)나라의 유교 사상가. 맹자가 살던 전국시대는 학자와 문화인 등이 자기의 학설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발표하여 논쟁하고 토론하는 백가쟁명의 최전성기였다. 또 이 시기는 제자백가들이 등장하여 학문적으로 중흥기를 이루었다. 일찍이 공자를 본받아 배우려 하고, 공자의 손자인 자사에게 가르침을 받아 공자의 학...
- 출생 :
- BC 372
- 사망 :
- BC 289
- 국적 :
- 중국
-
공자의 정통 후계자, 맹자 자여(子輿), 孟子본명은 맹가(孟軻)로 전국시대 노나라 산둥 성 부근에서 출생했다. 공자의 유교적 전통 속에서 자라며 그의 이상을 지지·발전시킨 유교의 후계자로 일컬어진다. 주요 사상은 성선설과 왕도 사상, 민본주의를 들 수 있다. 그가 제자인 만장과 주고받은 어록을 후학들이 모은 《맹자(孟子)》 7권이 남아 있다. 맹자는 ...
- 출생 :
- BC 372
- 사망 :
- BC 289
- 본명 :
- 맹가(孟軻)
- 국적 :
- 중국
-
-
-
맹자 孟子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 맹자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경전. 내용 사서(四書: 논어·맹자·대학·중용) 중의 하나이다. 양혜왕(梁惠王)·공손추(公孫丑)·등문공(滕文公)·이루(離婁)·만장(萬章)·고자(告子)·진심(盡心)의 7편으로 되어 있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맹자의 저술임이 분명하지만, ...
- 성격 :
- 유교경전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가난은 나라도 못 구한다? (관련어 맹자) 무리요 ‘거지 소년’과 맹자 ‘맹자’그림에서도 소외된 거지 기독교가 권력이 된 서양 중세 시대, 절대 빈곤에 빠져 있던 가난한 이들은 교회의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 교회와 성직자들은 점점 예수로부터 멀어져 갔다. 예수는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혹은 “나는 분명히 말한다.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
-
맹자의 명언, 맹자의 효와 덕행효는 유가 사상의 뼈대를 이루는 근본 개념 가운데 하나다. 맹자 역시 자신의 저작에서 효에 대한 말을 많이 남기고 있다. “부모에 대해 효의 덕을 다하고, 형제간에 우애의 덕을 다하며, 자녀에 대해 자애로움의 덕을 다한다. 효, 제, 자애는 종적으로는 생명의 계승과 연속을 나타내며, 횡적으로는 친근한 애정의...
-
맹자의 명언, 맹자의 호연지기통해 제나라 왕이 왕자가 되든 패자가 되든 사람들은 하등 이상하게 여기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선생님의 마음이 흔들리지 않을까요?” 맹자가 대답하였다. “아니다. 나는 마흔이 되고 난 뒤부터는 흔들리지 않는 부동심(不動心)을 갖게 되었다.” “그렇다면 선생님께서는 (제나라의 고대 용사) 맹분의...
-
맹자의 시대와 사상 맹자에 대한 이해맹자가 살았던 시기는 전국 시대였다. 흔히 춘추 시대와 병칭되는 이 시기는 기원전 453년 춘추 시대에 중원 세력의 중심 역할을 했던 진(晉)나라가 한(韓), 위(魏), 조(趙) 세 나라로 나뉜 것을 기점으로 삼고 있다. 전국 시대에 접어들어 춘추 시대 초기 200여 개에 이르던 제후국들이 전쟁으로 병탄되는 등 극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