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맹자 맹가(孟軻), 孟子
    전국 시대 노나라 출신의 유교 사상가로, 공자의 유교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왕도 정치와 성선설을 주장했고, 역성혁명에 사상적 근거를 제공했다. 《맹자》는 주자학 이후로 《논어》, 《대학》, 《중용》과 더불어 ‘사서(四書)’의 하나로 유교의 주요 경전이 되었다.|왕도 정치를 주장한 민본주의자 맹자는 전...
    출생 :
    BC 372
    사망 :
    BC 287경
  • 맹자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
    추(鄒)나라의 유교 사상가. 맹자가 살던 전국시대는 학자와 문화인 등이 자기의 학설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발표하여 논쟁하고 토론하는 백가쟁명의 최전성기였다. 또 이 시기는 제자백가들이 등장하여 학문적으로 중흥기를 이루었다. 일찍이 공자를 본받아 배우려 하고, 공자의 손자인 자사에게 가르침을 받아 공자의 학...
    출생 :
    BC 372
    사망 :
    BC 289
    국적 :
    중국
  • 공자의 정통 후계자, 맹자 자여(子輿), 孟子
    본명은 맹가(孟軻)로 전국시대 노나라 산둥 성 부근에서 출생했다. 공자의 유교적 전통 속에서 자라며 그의 이상을 지지·발전시킨 유교의 후계자로 일컬어진다. 주요 사상은 성선설과 왕도 사상, 민본주의를 들 수 있다. 그가 제자인 만장과 주고받은 어록을 후학들이 모은 《맹자(孟子)》 7권이 남아 있다.|맹자는 ...
    출생 :
    BC 372
    사망 :
    BC 289
    본명 :
    맹가(孟軻)
    국적 :
    중국
  • 맹자 孟子, Mengtzu
    BC 4세기의 중국 철학자인 맹자가 쓴 유교 경전. (병). Mengzi. (웨). Mengtzu. (영). Mencius.|이 책의 제목은 '아성'이라는 칭호를 얻었던 맹자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2세기까지는 고전으로 널리 인정받지 못했지만, BC 2세기에 이미 〈맹자〉를 가르치기 위한 박사 직위가 설치되어 있었다. 성리학자인 주희(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맹자 孟子, Mengtzu
    공자의 정통유학을 계승 발전시켜 공자 다음의 아성으로 불린다. 젊은 학자 시절 공자의 손자인 자사의 문하생으로 수업했다. 이후 남을 가르치는 스승이 되었고 잠시 제 나라의 관리로도 일했다. 중국 역사상 전국시대라고 불리는 난세 속에서도 자신의 주장을 펴나갔다. 우선 백성에 대한 통치자의 의무를 지적했다. ...
    출생 :
    BC 371경, 중국의 고대 추(鄒)나라
    사망 :
    BC 289경, 중국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맹자 孟子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 맹자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경전.|내용 사서(四書: 논어·맹자·대학·중용) 중의 하나이다. 양혜왕(梁惠王)·공손추(公孫丑)·등문공(滕文公)·이루(離婁)·만장(萬章)·고자(告子)·진심(盡心)의 7편으로 되어 있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맹자의 저술임이 분명하지만, ...
    성격 :
    유교경전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맹자 Mencius, 孟子
    다른 뜻각주 부족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유학자이다. 전국 시대 추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가(軻)이고, 자는 자여(子輿) 또는 자거(子車), 자거(子居), 자전(子展) 등이다. 어릴 때부터 공자를 숭상하고, 공자의 사상을 발전시켜 유학을 후세에 전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생몰 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
    도서 위키백과
  • 맹자 (책) Mencius (book), 孟子 (書物)
    유교 《맹자(孟子)》는 사서오경에 속하는 유교 경전이다. 《맹자》는 전국시대의 유가였던 맹자가 각국의 제후들에게 유세를 하거나, 자신의 제자들과 대화를 나눈 것, 혹은 고자 등의 다른 사상가들과의 논쟁한 것을 기록한 어록이다. 《사기》에 따르면 《맹자》는 맹자 은퇴 후 제자인 만장(萬章) 등의 제자와 함께...
    도서 위키백과
  • 가난은 나라도 못 구한다? (관련어 맹자) 무리요 ‘거지 소년’과 맹자 ‘맹자’
    그림에서도 소외된 거지 기독교가 권력이 된 서양 중세 시대, 절대 빈곤에 빠져 있던 가난한 이들은 교회의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 교회와 성직자들은 점점 예수로부터 멀어져 갔다. 예수는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혹은 “나는 분명히 말한다.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
  • 맹자의 명언, 맹자의 효와 덕행
    효는 유가 사상의 뼈대를 이루는 근본 개념 가운데 하나다. 맹자 역시 자신의 저작에서 효에 대한 말을 많이 남기고 있다. “부모에 대해 효의 덕을 다하고, 형제간에 우애의 덕을 다하며, 자녀에 대해 자애로움의 덕을 다한다. 효, 제, 자애는 종적으로는 생명의 계승과 연속을 나타내며, 횡적으로는 친근한 애정의...
  • 맹자의 명언, 맹자의 호연지기
    통해 제나라 왕이 왕자가 되든 패자가 되든 사람들은 하등 이상하게 여기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선생님의 마음이 흔들리지 않을까요?” 맹자가 대답하였다. “아니다. 나는 마흔이 되고 난 뒤부터는 흔들리지 않는 부동심(不動心)을 갖게 되었다.” “그렇다면 선생님께서는 (제나라의 고대 용사) 맹분의...
  • 맹자의 시대와 사상 맹자에 대한 이해
    맹자가 살았던 시기는 전국 시대였다. 흔히 춘추 시대와 병칭되는 이 시기는 기원전 453년 춘추 시대에 중원 세력의 중심 역할을 했던 진(晉)나라가 한(韓), 위(魏), 조(趙) 세 나라로 나뉜 것을 기점으로 삼고 있다. 전국 시대에 접어들어 춘추 시대 초기 200여 개에 이르던 제후국들이 전쟁으로 병탄되는 등 극심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맹자
맹자
맹자
맹자
맹자
맹자
맹자
맹자
맹자
맹자
맹자(孟子)
맹자의 아성전
맹자언해 (孟子諺解)
성선설을 주장하는 맹자의 모습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의 교육을 위해 이사를 세 번 했다는 내용의 〈맹모교자도〉
효자열녀 채색칠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