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칠정 七政
    정치의 근간이 되는 7가지 자연물의 변화 원리.|내용 그 절도 있는 운행이 정사(政事)와 비슷하다고 하여 칠정이라 한다. 칠정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째 ≪서경≫에 나오는 일월과 오성, 둘째 북두칠성, 셋째 천지인 삼재와 춘하추동의 사시, 넷째 ≪위료자 尉繚子≫에서 말한 인(人)·정(正)·사(辭)·교(巧)·화(火...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도교
  • 칠정 七情
    기뻐하는 것[喜], 성내는 것[怒], 근심하는 것[憂], 생각하는 것[思], 슬퍼하는 것[悲], 놀라는 것[驚], 겁내는 것[恐] 등 일곱 가지의 정신정지 변화의 표현으로서 외계의 사물에 대한 반응.
    도서 향신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종교
  • 칠정 七情
    출처 필요 칠정(七情)은 유학에서 인간의 여러 가지 감정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칠정이라는 표현이 처음 나타나는 곳은 《예기》, <예운>편으로 인간의 여러 감정들을 기쁨(희,喜), 노여움(노,怒), 슬픔(애,哀), 두려움(구,懼), 사랑(애,愛), 싫어함(오,惡), 바람(욕, 欲)의 일곱으로 묶어 나타내었다. 후대에서는 대...
    도서 위키백과
  • 사단칠정 四端七情
    본성이 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단설은 맹자 성선설(性善說)의 근본으로서 인간의 도덕적 주체 내지 도덕적 규범의 근거를 이루고 있다. 칠정은 희(喜) · 노(怒) · 애(哀) · 구(懼) · 애(愛) · 오(惡) · 욕(欲)의 일곱 가지 감정인데, ≪예기≫ 예운편(禮運篇)에서 비롯하여 당(唐)의 한유(韓愈...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사단칠정 四端七情
    근거가 되는 사단은 측은지심(惻隱之心)·수오지심(羞惡之心)·사양지심(辭讓之心)·시비지심(是非之心)을 말하는데, 각각 인·의·예·지의 실마리가 된다. 칠정은 〈예기 禮記〉 예운(禮運)편에 나오는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欲) 등 사람이 가진 7가지 감정을 말한다. 사단과 칠정에...
  • 칠정추보관 七政推步官
    시헌력(時憲曆)의 계산법을 도입한 이후부터 역서 계산의 업무가 어려워지면서 이들 역서들의 편찬 업무를 분담하여 수행하도록 삼력수술관(三曆修述官)과 칠정추보관(七政推步官)의 직임을 설치하였다. 이후 삼력수술관은 일과와 내용삼력의 편찬을, 칠정추보관은 칠정력의 편찬을 전담하였다. 임무와 직능 칠정추보관...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제도/관직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이황 사단은 이가,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
    학자 지향형 인물로 한국의 성리학 발전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 환갑을 바라보는 노학자가 30대에 불과한 젊은 학자 기대승과 8년 동안 편지로 '사단칠정 논쟁'을 한 일화가 유명하다. 말년에는 임명을 받고도 관직에 오르지 않는 등 임명과 사퇴를 반복하고, 50회의 사직서를 제출했다. 사액 서원의 효시가 되었고...
    출생 :
    1501년
    사망 :
    1570년
    국적 :
    한국
  • 칠정고도 七政古圖
    周天各曜序次)」라는 항목이 있다. 이는 하늘을 운행하는 각 천체(天體)의 배열 순서를 설명한 것인데, 여기에 두 가지의 그림이 제시되어 있다. 하나가 「칠정서차고도(七政序次古圖)」이고, 다른 하나가 「칠정서차신도(七政序次新圖)」이다. 이는 태양계의 행성 구조론을 예시한 것으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칠정신도 七政新圖
    周天各曜序次)」라는 항목이 있다. 이는 하늘을 운행하는 각 천체의 배열 순서를 설명한 것인데, 여기에 두 가지의 그림이 제시되어 있다. 하나가 「칠정서차고도(七政序次古圖)」이고, 다른 하나가 「칠정서차신도(七政序次新圖)」이다. 이는 태양계의 행성 구조론을 예시한 것으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전자가...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사단칠정분이기왕복서 四端七情分理氣往復書
    2책. 목판본.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 天命圖說〉과 그에 대한 이황의 후서를 편수로 해서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편지를 집록했다. 원래 이황의 사단칠정이기설은 〈천명도설〉을 비판한 뒤에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을 모은 이 책의 앞부분에 〈천명도설〉을 실은 것이다. 이황은 정지운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사단칠정분이기왕복서 四端七情分理氣往復書
    성리학에서 사용되는 우주론적(宇宙論的)인 용어로서 대개 이(理)는 형이상학적인 개념이요, 기(氣)는 형이하학적인 개념으로 통용된다. ‘사단칠정분이기’란 사단과 칠정을 이와 기로 갈라서 분속(分屬)시키는 데 대한 왕복논변한 글을 뜻한다. 즉 사단을 이에, 칠정을 기에 분속시키는 문제에 대하여 그 타당성 여부...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황, 기대승
    성격 :
    서간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고봉집), 2권(퇴계전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농암선생사단칠정 農巖先生四端七精辨
    개설 조선 성리학을 정초시킨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에 관한 논의를 절충한 김창협의 견해 및 그의 학문이나 출처, 유가경전의 주요 구절에 대한 해석 등을 폭넓게 제시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김창협의 사단칠정설은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종합적 성찰을 시도하려는 의도에서 작성했으므로 많은 논란의...
    시대 :
    조선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5건

칠정백중력
칠정보법
칠정세초
칠정백중력
칠정백중력
칠정백중력
칠정백중력
칠정제장
칠정세초
칠정보법
칠정보법
칠정세초
칠정산외편
칠정산외편
칠정산외편
칠정산외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