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양론 修養論
    도덕적 삶을 위한 각성과 성장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상을 창출하는 과정과 방법이자 수기치인의 수기에 해당하는 유교이론.|내용 이 과정에는 사회적 교육과 예제(禮制)를 통해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과 내적인 각성의 방법을 통해 성취하는 두 가지 방향이 있다. 유학에 있어 수양이란 대체로 후자의 방법을 지적하...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수양론 修養論
    성현의 가르침을 믿고 받아들이고, 배우고 익히며 자기의 덕을 닦아서 성현의 경지에 도달하는 과정과 방법에 관한 이론.|〈서경 書經〉·〈시경 詩經〉 등 중국 고대의 경전에서는 천지와 인생을 관통하는 이법(理法)·법칙을 상제(上帝)의 도(道)라고 했으며, 〈중용 中庸〉·〈대학 大學〉에도 천도(天道)·천명(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사단칠정 (동의어 수양론) 四端七情
    인간의 네 가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마음[心]과 일곱 가지 감정[情]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사칠론·수양론.|내용 사단은 측은지심(惻隱之心) · 수오지심(羞惡之心) · 사양지심(辭讓之心) ·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마음(감정)으로서 각각 인(仁) · 의(義) · 예(禮) · 지(智)의 착한 본성[德]에서 발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심학 心學
    입장을 성종가(性宗家)로, 육왕학과 선학은 심종가(心宗家)로 일컫기도 한다. 여기에서 심학이라는 용어를 공유하는 세 가지 유형의 개념내용에 따라 ‘수양론적 심학[程朱學]’·‘본체론적 심학[陸王學]’·‘불성적 심학[佛敎]’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심학의 발전과정 마음을 이기(理氣) 개념으로 파악하는...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주리론 主理論
    있었으며, 그후 기대승의 견해를 계승한 이이에 의해 사단과 칠정을 모두 기발로 설명하는 이론이 제시되었다. 이 사단칠정론의 차이는 이기론·심성론·수양론을 포함하는 성리학 전체의 이론적 체계를 달리하는 것이었으며, 그후 이황과 이이의 제자·문인들에 의해 두 사람의 성리학이 계승·발전되면서 우리나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주기론 主氣論
    칠정을 모두 '기발이승'으로 설명하며 사단은 칠정 가운데서 선한 측면만을 가리키는 개념에 불과하다고 했다. 이러한 사단칠정론의 차이는 이기론·심성론·수양론을 포함하는 성리학 전체의 이론적 체계를 달리하는 것이었으며, 그후 이황과 이이의 제자·문인들에 의해 두 사람의 성리학이 계승·발전하면서 우리나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수광 李睟光
    존중하는 입장에 있으면서도 당시 주자학의 기본 문제인 태극·이기·사단·칠정 등의 성리학 이론에 뛰어들지 않고, 심성(心性)의 존양(存養)에 치중하는 수양론을 학문적 중추 문제로 삼은 사상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비록 성리학의 이론적 분석과 논변이 조선 후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지만, 이수광은 이러한...
    시대 :
    조선
    출생 :
    1563년(명종 18)
    사망 :
    1628년(인조 6) 12월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전주(全州)
  • 한의학 韓醫學
    등의 세분된 생리·병리·진단 이론과 임상명 및 치료이론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사상의학은 19세기 후반에 이제마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 인간론과 수양론을 중시하는 성리학적 입장에서 인간의 타고난 체질·기의 강약과 심성을 설명하고 약물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편벽된 성격과 감정의 수양·조절을 통하여 질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의학
  • 성리편 명유성리편, 性理編
    핵심 범주로 다시 요약 정리한 것이다. 내용 『성리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존재론과 심성론에 관한 것이라면, 다른 하나는 수양론과 관련된 것이다. 존재론과 심성론에 관련된 부분은 ‘이기총론(理氣總論)’을 필두로 ‘태극(太極)’, ‘천지(天地)’, ‘음양(陰陽)’, ‘일월(日月)’, ‘오행...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윤행임
    창작/발표시기 :
    1801년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7권/3책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애오잠 愛惡箴
    하여 다 나쁜 것은 아니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논어』의 “어진 사람이라야 사람을 좋아할 수도 있고, 사람을 미워할 수도 있다.”는 구절을 자기 수양론의 기본 명제로 삼아 해석한 글이다. 가상의 인물을 등장시켜 대화형식으로 내용을 전개시킨 수법도 두드러지지만, 같은 말의 반복사용에 따른 표현상의...
    시대 :
    고려
    저작자 :
    이달충
    창작/발표시기 :
    고려 후기
    성격 :
    잠(箴)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진괘 震卦
    단전(彖傳)」에서도 “‘우뢰가 올 때에 두려워한다’는 것은 두려워해 복을 이루는 것이다.”고 해석하고 있다. 역설적으로 보일 수도 있는 이 구절은 유교 수양론의 기저를 이루는 이른 바 계신공구(戒愼恐懼)를 말한 것이다. 경계하고 삼가고 두려워하고 위태로워 하는 태도로서 임하면 어떠한 위험과 고난도 극복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심경밀험 心經密驗
    않고 무엇을 위한 욕망인지를 중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약용은 『심경밀험』에서 성리학적 『심경』 해석과는 다른 자신의 독특한 마음이론과 마음 수양론을 보여주고 있다. 『심경밀험』은 분량상으로는 그다지 길지 않지만 정약용의 마음에 대한 견해, 수양론, 윤리론에 관한 진수를 담고 있어서 사상적으로 매우...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약용
    창작/발표시기 :
    1815년
    성격 :
    유학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