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지정 디뎡, 地定축지정도 볼 수 있다. 나무말뚝지정은 한양도읍을 만들면서 많이 사용한 지정법이다. 경복궁에서 숭례문에 이르는 지역은 원래 지반이 낮고 뻘 지반이어서 바로 건물을 짓는 것은 불가하다. 그래서 나무말뚝을 격자형으로 촘촘히 박고 그 위에 적심석으로 기초를 하고 집을 지었다. 최근 시전행랑과 서울시청부지 등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대가리 박고 자살하자노래 정보 대가리 박고 자살하자는 포크밴드인 '교문앞병아리'가 2017년 6월 27일에 발매한 노래이다. 흔히 '자살송'으로 알려져 있다. 유튜브에서 조회수 146만...2018년 6월 19일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청소년보호위원회가 유해매체로 지정, 2018년 7월 4일에 관보에 고시해 2018년 7월 11일부터 효력이 발생하였다...도서 위키백과
-
-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대나무 어살, 南海 知足海峽 竹防簾비롯된 명칭이다. 대나무 어살이라고도 한다. 죽방렴은 어살의 한 종류인데, ‘전통어로방식-어살(漁箭)’이 2019년 4월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죽방렴은 수심이 얕은 바다에 밀물이 들어오는 방향에서 볼 때 V자 형태의 참나무로 기둥을 박고 좁아드는 끝 부분에 대나무 발과 그물을 쳐 놓은...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어업문화의 경관, 지족해협 죽방렴말목을 박고 대나무를 발처럼 엮어 세워 물이 빠진 후 갇힌 고기를 잡는 방식을 말한다. 죽방렴은 간만의 차가 큰 해역에서 예전부터 사용되었는데 만에 따라 그 규모나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 남해군은 한반도 남쪽 연안의 크고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큰 섬은 남해도, 그다음으로는 창선도인데 두 섬 사이의...
- 문화재 지정 :
- 명승 제71호
- 소재지 :
- 경남 남해군
-
덕수리 불미공예 德修里 불미工藝내용 1986년 제주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불미’는 풀무의 제주도 방언이다. 제주도 주물공예의 형태는 그 규모나 방법에 따라 손풀무와...진다. 전자는 땅바닥에 장방형으로 골을 파서 중간에 굴대를 가로 박고, 그 위에 골에 맞는 판자를 걸쳐서 한쪽에 세 사람씩 서서 판자의 두 끝을 디뎌가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울북 구덕북못으로 박고 가죽끈으로 조인다. 북통의 넓이는 22cm, 지름은 33cm 정도이다. 북을 구덕(광주리)에 올려 놓고 치기 때문에 ‘구덕북’이라고도 한다. 사용 방법...친다. 왼손은 삼동막살장구의 궁받이(북편) 가락에 해당하고 오른손은 채받이(채편) 가락에 해당한다. 1980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송순주섞어 놓는다. 7. 6에 송순가루를 넣고 15~16℃에서 14일간 발효시킨다. <숙성시키기> 8. 밑술에서 걸러진 소주를 7에 넣고 2~3달 동안숙성시킨 후 용수를 박고 술을 떠 낸다. 참고사항 ·송순주는 중요 무형문화재 제 6호로 지정되었다. ·소나무는 세계 도처에 100여 종의 품종이 있으나 대부분은 북반구에 분포하고...
- 분류 :
- 발효식품류 > 주류 > 약주 및 탁주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